한시 강의=김삿갓과 관련하여 2

이상하게김삿갓이야기를하다가이렇게다른데로흘러버렸습니다.

기왕버린몸,어설픈한시강의를시작했으니

또책을잡혀,만사람의우스개거리가되더라도몇마디더하고자합니다.

모두가다아는이야기지만저도새삼스레옛날노트를보게되어

고마웠습니다.

#대구법對句法

한시(漢詩)에있어서많이쓰는표현법입니다.

두줄(구句)이상대(相對)되거나상응(相應)되는구(句)로구성하는법입니다.

①글자수가같고

②문장성분의배열이거의일치합니다.

③문장의해석순서가거의같습니다.


우리시에도대구법은자주적용됩니다.


동네서제일작은집순이네오막살이

동네서제일큰나무순이네살구나무


위시에서작은집큰나무,오막살이살구나무

같은위치에놓으면서대를이루는말을놓아극대화의효과를꾀했습니다.

①절구(絶句)는4줄로된시인데1구부터기승전결이라하고

기구(起句)와승구(承句)가대(對)를이루거나,

전구(轉句)와결구(結句)가대(對)를이루게씁니다.

②율시(律詩)는8줄로된시인데2구씩수함경미라고하고

함-3구(句)와4구(句)

경-5구(句)와6구(句)가대(對)를이루게지었습니다.

대구(對句)를할경우의이점은

시적(詩的)인운률(韻律)의효과와뜻을강조하는데효과가큽니다

月白雪白山水白월백설백산수백:달도희고눈도희고산수도희니

山深夜深客愁深산심야심객수심:산도깊고밤도깊고나그네근심도깊다.



#쌍관의

글자하나에두가지의미가들어있는것을말합니다.

지난번竹詩에서대竹은‘대로‘로해석만했었는데

쌍관의는특히한자에서음과뜻,두가지로풀이가가능한방법입니다.

은근슬쩍비꼬거나의도를숨기고자할때에이방법을쓰는데

김삿갓이풍자로많이쓰던표현법입니다.


天長去無執천장거무집:하늘은멀어서가도잡히지않고

花老蹀不來화로접불래:꽃이늙으니나비도오지않네

菊樹寒沙發국수한사발:국화는찬모래에피었고

技影半從地기영반종지:꽃가지그림자반쯤드리웠네

江亭貧士過강정빈사과:강가정자를가난한선비가지나가다가

大醉伏松下대취복송하:너무취해소나무아래엎어졌구나

月移山影改월이산영개:달기울자산그림자바뀌고

通市求利來통시구리래:저자에는돈을벌러오는구나


뜻으로새기면이렇게그럴듯한뜻인데

이시는사실은김삿갓이걸인행색으로다닐때구린내나는숙소와

형편없는밥상을받고주인을놀려주기위해말장난으로쓴시입니다.

한글로쓴음대로그가의도하는바는

천장에는거미집,화로에는접불냄새,국수한사발에,

간장반종이,강정빈사과대추,복숭아.워리사냥개는짖고,

통시구린내나는집을풍자한시입니다.

**조선중기선비김일손은절에서공부를하다가신발이다헤어졌는데

너무가난하여신발살돈이없었습니다.

발은시리고그렇다고선비체면에신발을사달라고바로말할수도없어서

생각다못하여장인에게아래와같은편지를썼습니다.


文王沒武王出周公周公召公召公太公太公:문왕이죽고무왕이나니주공,소공,태공

문왕몰무왕출주공주공소공소공태공태공:그들을도운다.

장인은도무지무슨말이지알수가없었습니다.

한참을고개를갸웃거리다가드디어무릎을치고는

신발두켤레를사위에게사서보냈다합니다.


문왕의이름은=

무왕의이름은=

주공의이름은=旦(아침)

소공의이름은=奭夕(저녁)

태공의이름은=望(바랄)


창이떨어져발이나왔으니아침저녁바라고바랍니다.(신발을사주시기를)


한시의쌍관의에집중해보면,이런재미가숨어있습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