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한도》는바다건너외딴섬에나락처럼떨어져있는자신을위해
머나먼청나라에서귀한책을구해보내준이상적에대한고마움의표시로
추사가그림을그리고글을쓴것이다.
추사는《세한도》에서
‘권세와이익을위해모인자는권세와이익이다하면성글어진다’는사마천의말과
‘겨울이되어서야소나무와잣나무가시들지않음을알게된다’는공자의말씀을들어
‘성인께서특별히소나무와잣나무를칭찬한것은
단지시들지않는곧고굳센정절때문만이아니다.
겨울이라마음속에느낀바가있어그런것이다’라는말로
이상적이시속의변화에도흔들리지않는의리를갖고있음을칭찬하였다.
“고맙네!우선,이《세한도》를보게나(藕船是賞)”
이상적은이작품을받아들고눈물을흘리며추사에게
‘아!제가어떤사람이기에권세나이익을좇지않고
스스로초연히세상의풍조에서벗어났겠습니까?
다만보잘것없는제마음을스스로그칠수없어그런것입니다’라는편지를올렸다.
그리고작품오른쪽귀퉁이에‘길이스승님의가르침과은혜를잊지않겠다’는뜻을담아
<장무상망>인장을찍어스승을향한감사와존경의마음을남겼다.
또한그는세한도를청나라에가지고가
그곳문인16인의글을받아스승의뜻을기렸다.
이인장에쓰인<長毋相忘>은한나라때동경(銅鏡)에보이는「
장무상망」「장상사무상망(長相思毋相忘,오랫동안서로그리워하고서로잊지않다)」
「불구상견장무상망(久不相見長毋相忘,오랫동안서로보지않아도길이잊지않다)」
「견일지광장무상망(見日之光長毋相忘,떠오르는햇빛처럼길이서로잊지않다)」등의글귀와
감천궁(甘泉宮)에서출토된「장무상망」이새겨진기와에서빌어온것으로
인장의형태를네모나게하고자법(字法)을반듯하게바꾼것이다.
여기서毋(무)자는‘없다’‘말다’라는뜻으로無자와통하는글자이다.
이인장은추사는물론이며추사의스승인담계옹방강(覃谿翁方綱,1733-1818)과
추사와동갑내기인아들성원옹수곤(星原翁樹崑,1786-1815)에게도같은글귀의인장이있다.
또추사의평생지기인이재권돈인(彛齋權敦仁,1783-1859)과
추사학예파의형당유재소(蘅堂劉在韶,1829-1911),역매오경석(亦梅吳慶錫,1831-1879)등도
이글귀의인장을즐겨사용했다.
헌종이소장한인장을모은『보소당인존(寶蘇堂印存)』에도비슷한인장이많이실려있다.
이상적이청나라문인들이《세한도》에남긴글을낱장으로베껴놓은
둘째장과셋째장그리고송나라신기질(辛棄疾,1140-1207)의사(詞)
「축영대근(祝英臺近)」을
낱장으로쓴둘째장과셋째장을잇는부분에도같은인장을찍었다.
《세한도》속한귀퉁이에자리하고있는이<장무상망>의붉은색네글자는
스승에대한제자의도리는무엇이며
또세속권력이나이익과는무관하게몸과마음의의리를지키는것이
무엇인가를말해주는듯한인장이다.
“우선!이런일은세상에언제나있는일이아닐세”(《세한도》의추사글)
“아닙니다.스승님!이모든것은정치판에있는사람들에게는맞지않으므로
저절로맑고깨끗한곳에계신분에게돌아가기마련입니다.
이그림과글을본사람들이제가정말로속된세계에서벗어나
권세와이익의밖에서초연하다고생각할까두려울뿐입니다.
어찌부끄러운일이아니겠습니까?
당치않은일일뿐입니다.”(이상적이추사에게올린편지글에서)
‘장무상망’은이처럼스승추사김정희와우선이상적의변치않는의리와
감동적인이야기를담고있는인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