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과 내가 서로 따른 결과가 인식이다.

대상과 내가 서로 따른 결과가 인식이다.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은 틀렸다.’를 읽고

 

 

20110107_113134_351df7f055bf49fdcbf183a9648c6ca4

 

 

 

2006년 4월 중견교수를 위한 교수법 워크숍에 참석했을 때 한 연자 분께서 모두(冒頭)에 질문을 하셨다. “이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결론은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었다.

 

 

20110107_150627_c224dbfa3e2856cd0f72549588e9c3f1

 

 

 

 

서울의대에 계시는 백 상호 교수님께서 ‘21세기 의학교육의 변화’라는 강의록의 서두에 “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나 아무리 불확실한 미래사회의 변화라도 거기에는 10년(decade) 단위로 바뀌어 가는 추세(trend)가 있고 추세는 장시간 지속되는 특성이 있어 어느 정도 앞으로 다가올 변화를 가늠할 수 있다.”고 적혀 있었다.

 

 

 

20110107_150649_48bfc33fc72df30b16e8dc0c8c030e82

 

 

 

이번에 리뷰를 쓰게된 Magnus Lindkvist의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은 틀렸다.(Everything we know is wrong!)’라는 다소 도발적인 제목의 책은 지금까지 공부하고 경험하면서 내면화된 생각들과도 깊은 연관성이 있고 평상시에 사물을 보는 시각과도 일치하는 점이 많아서 매우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20110107_150708_5af61fe1dca3ffc4d1d1186eb8555102

 

 

 

 

이 책은 인식의 문제와 그에 따른 오류에 대하여 지적하고 있고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놓치기 쉬운 일곱 개의 사각지대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20110107_150919_b48f3e5687b5f1cf8521264d9d38e3fc

 

 

 

 

그리고 가능하면 이미 가공된 2차 정보보다 몸소 겪어서 습득한 현장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모든 새로운 창작물은 사실은 어딘가에서 모방하고 복제되어서 다소 변형된 것이라는 저자의 주장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고 여겨진다.

 

 

20110107_150939_6d8155166f3c9e905f7d4d5d64880368

 

 

 

 

저자는 ‘인간은 타인을 복사하는 동물이며 그러므로 정보는 권력이며 잠재적으로 돈’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트렌드에 대한 통찰력을 저해하는 일곱 개의 사각지대를 분류하고 이를 논거로 해서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애들은 1. 점진주의의 시각장애, 2. 사소한 변화들로 인한 시각장애, 3. 돌연성의 시각장애, 4. 직선적인 사고방식에 의한 시각장애, 5. 현재주의에 따른 시각장애, 6. 근시안에 의한 시각장애, 7. 비관주의에 의한 시각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20110107_150958_d182023de11c910dc8655ff9106ff421

 

 

 

 

1장에서, 인간의 지각능력에 대한 여러 가지 실험의 결과, 어떤 것을 인지할 수 있는 한계는 12초 보다 빠른 변화라고 한다. 그러므로 느린 변화에 대하여서는 우리의 행동이나 사고방식에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 지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항도 전혀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들에게 가끔씩 걸음을 멈추고 자기 주변을 돌아보라고 충고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들의 가치관이나 미래에 대한 전망이 지속적으로 시대에 맞게 업데이트 되지 못하고 단단하게 굳어져서 맹목적인 도그마로 변하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20110107_151016_4038bf52d04586c2c2364b06abf6dc18

 

 

 

 

2장에서는, 인터넷에 의하여 국경선이 무너지고 있는 분화(fragmentation)를 언급하면서 국가라는 것도 유통 유효기간이 거의 다 되어 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국경선이란 인간의 마음속에서 인위적으로 창조된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에 의한 초대형 시장은 다양성의 극한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환경은 R&D의 의미가 Rip off와 Duplicate의 첫 글자가 되어야 할 정도로 그 의미가 이 세상 어딘가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아이디어들을 훔치고 베끼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110107_151035_cc26db6d9991926047de6ac2e03e29f1

 

 

 

 

3장에서, 정보는 전염성이 있고 모방은 트렌드 전파의 가장 진지한 형태라고 저자는 기술하고 있다. 어떤 일들이 아주 갑작스럽고 예기치 못한 것일 때, 그런 대상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고 그러므로 우리들은 그것에 적응해야 할지의 여부도 판단하지 못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110107_151107_43b50d49c017bfa78e16e81c36370b0e

 

 

 

 

4장에서, 트렌드는 흔히 직선형의 움직임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그것은 환상에 불과하며 오늘날 증권시장은 1000분의 1초 단위로 움직이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돈 자랑은 이미 신분의 상징이 아니며 오히려 자기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시간의 자랑이 신분의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20110107_151124_ac9478e136e8c2b4b9f0031fd1efa2f4

 

 

 

5장에서, 우리들의 수명이 증가하는 속도는 평균적으로 하루 다섯 시간이라고 한다. 이 다섯 시간이 축적되는 것의 파급효과는 대단히 크며, 결과적으로 노년층 사람들의 전형적인 견해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것을 요구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가장 위대한 아이디어는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이며 그러므로 아무것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말라고 충고하고 있다.

 

 

20110107_151141_49785f14000677387ad5192630b5e1e1

 

 

 

 

“지난 20년 동안 비행기 여행은 한때는 호화롭고 영광스럽기까지 했던 것들이 이제는 졸아 들어서 줄이나 길게 서야 하는 것으로 되었다.”는 푸념으로 시작되는 6장에서는 사람의 눈은 절대로 거짓말을 하지 않지만 시각은 거짓말을 한다고 밝히면서 ‘시각이 낳는 위험들’과 ‘인식의 함정’에 대하여 기술하면서 이러한 원인들로서 우리들의 인식 과정에 내재해 있는 세 가지의 유형 즉, 아무런 패턴도 없는데서 어떠한 패턴들을 보려는 경향, 확실한 증거를 찾으려고 하는 경향, 선입관으로 갖고 있던 편견들을 써먹으려고 하는 경향을 들고 있다. 또한 우리가 우리들의 시각을 한정된 시간과 공간으로만 제한할 때에는 현재의 일상생활을 형성하게 된 아주 장기적이고 복잡하면서도 중요한 갖가지 요소들을 보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20110107_151224_e0f5939bc7fe12a67daa2bc86ccc3ef8

 

 

 

 

7장에서, 물고기가 물을 발견할 수 없는 것처럼 우리는 우리가 당연히 생각하는 것, 일상적으로 여기는 것은 전혀 보지 못한다고 한다. 더군다나 사람들은 손실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지 때문에 (우리는 이득을 사랑하는 것보다 훨씬 강하게 손해를 싫어한다.) 일어나는 상황에 대하여 낙관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보다 걱정하는 사람들이 더욱 많아진다고 한다. 또한 인간은 거의 모든 것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복사한다고 한다.

 

 

20110107_151245_f54000756225bbb312965905662fd1bb

 

 

 

 

여러분이 아는 것은 모두 틀렸다고 주장하는 저자는 비슬라바 침브르스카의 말을 인용함으로써 끝을 맺고 있다.

“영감이 무엇이든, 그것은 끊임없이 ‘나는 모른다’로부터 탄생한다.”

잘 요약되고 정리된 글들에 익숙한 분들에게는 다소 난삽하고 뒤죽박죽으로 여겨질 수도 있는 책이지만 나름대로는 깊이 있는 안목으로 서양인의 입장에서 오감과 그에 따른 인식의 문제를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오류와 관련 시켜서 조리 있게 잘 설득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20110107_151302_70a543a24c75b9a2505dbcaab82d459a

 

 

 

 

저자도 밝히고 있듯이 우리들은 어느 정도의 기준이나 범위로 인식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질 수있고 우리들이 이러한 오류를 깊이 인식하고 보정해 갈 때 보다 사실에 가까운 인식과 트렌드의 예측이 가능해질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노자는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언자무지(言者無知)요 지자무언(知者無言)이라.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

 

 

20110107_114226_e0edf095d92165118d28b957f9758a40

 

 

2011년 1월7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