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라는 교실

‘지구’ 라는 교실

-Salman Kahn의 ‘나는 공짜로 공부 한다’를 읽고

 

 

20130626_120531_6fd30f99fe15c778896719ee350bde4a

 

어느 봄날 오후 식탁에서 저녁을 기다리면서 아이에게 속도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단위 거리를 단위시간으로 미분하면 속도가 되고 다시 단위속도를 단위시간으로 미분하면 단위시간당 속도의 변화율 즉 가속도가 구해진다.”고 말하자 집사람이 “그게 그렇게 깊은 뜻이 있었냐?”고 물었다. 산부인과 전문의이고 시쳇말로 고교시절 국영수는 날렸다고 하는 우등생조차도 미적분을 그저 공식에 맞춰 풀 줄만 알았지 그 깊고도 아름다운 뉴튼 역학의 절대시간이나 절대공간에 대한 통일성에 대하여서는 생각할 겨를이 없이 지나 온 것 같았다.

 

20130626_120630_5f6b7177463bfdfeb7f7f1d39ee70799

 

 

몇 주 전쯤 약리학 강의시간에 우연히 “깨달음과 가르치는 것 이상의 큰 기쁨은 없으며 우리들이 공부하고 있는 이 책을 펼치면 언제나 즐거움을 느낀다.”고 하자 모두들 웃고 있었다. 도저히 수긍할 수 없다는 표정이었다. 한편으로는 그들이 이해도 되나 또 한편으로는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그저 점수에만 연연해온 학생들의 지식체계가 너무 부실하고 구멍투성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20130626_120704_464361eb875912ff76938894b8e2ba64

 

 

후배 감염학교수가 20분간 자료를 정리해 와서 발표를 한 학생을 보고 “네가 발표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보라.”고 하자 “그런 것을 가르쳐 주는 학원이 없어서 배우지 못했다.”는 답변을 들었다면서 황당해 했다.

 

20130626_120753_6043792217f7ab42782a6dd1755b7cc0

 

 

살만 칸의 ‘나는 공짜로 공부한다.’를 읽으면서 우리들의 교육 체계가 흘러온 역사와 배경 그리고 현재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과 가능한 개선책과 대안들에 다시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20130626_120827_22a9c6620db112bb0405726d7f867700

 

 

“나의 기본 교육철학은 단순하고 지극히 개인적이다. 나는 내가 배우고 싶었던 방식으로 가르치고 싶었다. 즉, 학생들에게 순수한 배움의 기쁨, 우주의 이치를 이해할 때 겪는 흥분을 전달하고 싶었다. 수학과 과학의 논리뿐 아니라 아름다움도 전해주고 싶었다.”

정말로 공감이 가고 진정으로 가르침을 사랑하는 저자의 모습이다.

 

20130626_120903_c0e0bbfc90d5e3bbd72768e3ca71f311

 

 

“나는 학생들이 하나의 수업과 다음 수업 사이의 연관성과 진행을 보게끔 돕고 싶었다. 단순한 정보의 습득에서 한 번에 하나씩 개념을 흡수하며 진정한 통달의 경지로 발전할 수 있는 직관을 연마하게끔 돕고 싶었다. 한마디로 나는 흥분을 되살리고 싶었다. 능동적 학습 참여와 이에 따르는 자연스러운 흥분, 기존의 커리큘럼이 때로 억압하는 듯한 흥분을.”

매우 공감이 가는 내용이고 나 또한 지난 오랜 세월 동안 점수나 진급 그리고 깊이 있는 이해와 지적 체계의 진실한 내면화를 위한 노력과 갈등 속에서 번민하였던 학부시절을 떠올리게 한다.

 

20130626_121000_5754f846b88543d2e67a796640e70d9f

 

 

그러나 질문과 발표를 포함한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열정과 태도는 하루아침에 구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아주 어린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시절부터 적극적으로 격려해주고 부추겨 주어야 한다.

 

20130626_121034_d1a11a4a2e77534700063b5ba0ffc5e1

 

 

사실 완전학습의 개념은 아마도 1970년대 초, 중학교 시절에 문교부에서 ‘완전학습 시리즈’를 출간해서 한 때 학생들에게 판매가 된 적이 있었으나 그 때는 너무 불필요하게 읽어야 할 분량이 많아서 별로 효과를 거두지 못했던 것 같다.

 

20130626_121113_d24da1b7995eb756d4a0c75d7c53ddac

 

 

이번에 살만 칸이 제시하는 유튜브를 사용한 학습 방법은 이러한 불필요한 예시나 지시문의 문제를 잘 해결하고 무엇보다 1:1의 교육효과를 최대로 살렸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이며 또한 전 세계의 다양한 교육 또는 사회 환경에서도 비교적 접근성이 양호하며 경제적이라는 데에 매우 강력한 장점을 갖춘 교육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0130626_121147_8e5ede1a6ccb8aad18edc7e4b5a78f32

 

 

각기 다른 다양한 분야의 낱낱의 지식들이 쌓여서 어느 순간 융합에 성공하면 그 지식체계는 하나의 유기체처럼 살아서 움직이며 그러한 각고의 노력 후에 얻는 성취의 희열은 좀처럼 잊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음의 지난한 학문과 연구의 과정을 참고 수행해 갈 수 있는 강력한 추진력과 끈기를 제공한다.

 

20130626_121221_d42f8a8d0433a46dca67b5437c1d74fb

 

 

그러나 현재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상업화된 사교육의 선행학습과 어쩌면 반쯤은 포기해버린 공교육의 책임감 속에서 그저 어설픈 지식의 조각이나 아니면 잘 요리되고 포장된 입에 맛는 몇 가지 상품화된 지식의 파편들에 만족하면서 진정한 학문과 배움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기회 자체가 박탈된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가 든다.

 

20130626_121256_151b9b79e1809ea9196e5c63f9b891bb

 

 

지식의 역사에서 파피루스에 필사한 초기의 필사본은 오늘날 좋은 집 한 채 정도의 가격이었으며 그 후의 목판 인쇄본도 지금으로 따지면 고급차 한 대 값 정도라고 한다. 실제로 한국에도 인터넷이 일상화되기 전인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권의 전공서적은 바로 권력의 표상이었다.

 

20130626_121331_f17e43f09bb72c64fa66cf6dd4604b20

 

 

나는 이 책이 현재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많은 교육과 배움의 문제점들을 직시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원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개선하는데 있어서 길잡이가 되는 많은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20130626_121406_990deaa2ac7af670e2cedc241c227cdb

 

 

저자는 말하고 있다.

“지식은 계속되며 생각은 흐른다.”

많은 가르치시는 분들의 일독을 권한다.

감사합니다.

 

20130626_121451_89ac8947a04437f3c329c9703945462a

 

 

2013년 6월 26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 대 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