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인 엘리트가 본 Bob Dylan의 노벨 문학상

555639.jpg-r_1280_720-f_jpg-q_x-xxyxx내가 고리타분한 사람인 탓인지는 몰라도 미국의 가수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의아해했었다. 문학이 타격을 받았다고 논평하는 사람들도 많다.

어쩌면 노벨 문학상조차도 이제는 민주주의를 원하는가? 이런 생각조차도 들었었다. 여러사람이 좋아하는 가수를 문학수상자로 뽑았다니 말이다. 중.고교시절 좋아하는 대중가요들이 있긴 했었지만 그렇다고 대중가수를 숭배해 본 기억이 나에겐 없다. 사람들이 그렇게 열광하는 엘비스 프레슬리도 엘톤 존도 존 레논도… 물론 존레논의 노래는 정말 훌륭하다는 생각은 있었다. 조금 전 유튜브로 프랑스인 기자였으며 작가이기도 하고 현 TV5Monde의 사장인 Yve BIGOT씨의 증언을 들었다.

Bob DYLAN은 사실 15년 전부터 노벨 문학상 후보자로 거론이 되곤 했었다고 한다. 이브씨는 딜란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자기일처럼 기뻐하는 사람이었다.

미국의 대학에서는 딜란의 샹송가사가 교재로 쓰여지고 있다고 한다. 이브씨에 의하면 딜란의 샹송은 우리의 존재를 이해하게 해주는 노래들이라고 한다. 그는 심지어 딜란을 피카소, 마르셀 푸르스트 그리고 까뮈에까지 비교하면서 그에게 열광한다. 딜란의 상송가사가  두꺼운 책으로 출판된 것도 있다면서 그의 책을 읽어보면 딜란이 노벨 문학상을 받을만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도 한다.

딜란이 60년대 70년대 노래를 부를때는 마치 미친 사람같던때도 있었지만 요즘에 와서 표현방식이 많이 바꾸어졌다고 하면서 딜란이 미국의 국보급 사람이라고 아니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국보급 사람으로서 20세기에 태어난 가장 뛰어난 천재중의 한사람이라고 열변을 토한다. 나도 어렸을때 송창식의 노래 가사가 얼마나 사람의 심정을 잘 표현하는지 놀래고 놀랬던 적은 있다. 그렇다면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런데 송창식의 노래가사는 한국적 정서에서만 이해 가능하다는 결점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또 그의 노래가사는 가장 한국적이라는 점을 두각시켜보면 어떻게 될까? 아! 또’ 강남스타일’은 안될까?

 

프랑스인 엘리트가 본 Bob Dylan의 노벨 문학상”에 대한 7개의 생각

  1. 오늘 컴열자마자 관심가는 뉴스는 빕 딜런은 수상 발표 후 24시간이나 지난 시간까지 침묵을 하고있다네요. 어쩌면 수상 거부 조짐도 있지않을까…일각에선 추측한다는 설도있고, 그간 노벨문학상 거부한 싸르트르 등 몇 몇 작가들 소개도 있었고…솔제니친은 수상후 러시아에 돌아 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하여 거부했다가 망명 중에 다시 수상하기도 했다는 등…
    일부에는 노벨문학상이 지나치게 대중적으로 흘러간다는 우려도 있지만 저 개인적인 소감은 모든 경계가 무너지는 요즈음 예술 세계에서 다소 파격이지만 하지만 찬성입니다
    시기적절한 때 좋은 포스팅 고맙게 잘 읽었어요 세실리아님 ^^
    멋진 시월 잘 보내길바랍니다

    • 아마도 사르트르는 인간세계의 부조리함을 생각해서 거부했었겠죠.
      실존주의 철학은 어쩌면 인간의 꿈을 깨어버리는 결과를 낳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꿈을 꿀 수 있다는 것도 행복이거든요. 참나무님!

  2. 공감합니다.
    가수가 문학상을 받아서 의아한것도.
    엘비스 프레슬리 크리프 리차드 앨톤존 존레논 …..
    열광하지는 않았어도 알게 모르게 그 노래를 듣고 청춘의 한때를 살았고.
    김민기 양희은 송창식을 비롯한 통기타가수들 노래를
    좋아했구요.

    우리 문학계에서 해마다 노벨문학상이 행여 나올까 해서 기다리는데 요원하네요.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 최수니 님, 공감하셨다니 반갑습니다.
      한국 사람들의 정서를 스웨덴 한림원 사람들이 이해하는 것이 요원한 것인지도 모르죠.
      일본인들의 정서는 비교적 매우 이성적이기때문에 어쩌면 노벨상이 많이 나온것같아요.
      그런가하면 한국인들은 유럽인들이 볼때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어요.

  3. 노래 가사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된 밥 딜런, 참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노벨상이 권위주의에 집착하지 않고 이렇게 파격적으로 수상자를 결정한
    용기도 대단하고요.

    우리나라 몇몇 시인들도 늘 거론은 되었지만 막상 상하고는 거리가 멀었는데
    부럽기도 합니다.

    • 데레사님, 저는 이런 현상들이 민주주의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옛날에는 소수의 특권계층만 누리던 혜택들이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게 되었쟎아요. 예를 들면 동성애자라고 숨어 살던 사람들이
      사회에서 떳떳하게 살게 되었다던지 불구라고 소외되었던 사람들의 편리를
      위해서 공공 화장실까지 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진다든지..등드
      이 모든 것이 민주주의 확산의 결과인 듯싶습니다.

참나무. 에 응답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