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신의주(南新義州) 유동(柳洞) 박시봉방(朴時逢方)

어느사이에나는아내도없고,또,아내와같이살던집도없어지고그리고살뜰한부모며동생들과도멀리떨어져서,그어느바람세인쓸쓸한거리끝에헤메이었다.바로날도저물어서바람은더욱세게불고,추위는점점더해오는데,나는어느목수(木手)네집헌삿을깐,한방에들어서쥔을붙이었다이리하여나는이습내나는춥고,누긋한방에서,낮이나밤이나나는나혼자도너무많은것같이생각하며,딜옹배기에북덕불이라도담겨오면,이것을안고손을쬐며재위에뜻없이글자를쓰기도하며,또문밖에나가지두않고자리에누워서,머리에손깍지베개를하고굴기도하면서,나는내슬픔이며어리석음이며를소처럼연하여쌔김질하는것이었다.내가슴이꽉메어올적이며,내눈에뜨거운것이핑괴일적이며,또내스스로화끈낯이붉도록부끄러울적이며,나는내슬픔과어리석음에눌리어죽을수밖에없는것을느끼는것이었다.그러나잠시뒤에나는고개를들어,허연문창을바라보든가또눈을떠서높은천정을쳐다보는것인데,이때나는내뜻이며힘으로,나를이끌어가는것이힘든일인것을생각하고,이것들보다더크고,높은것이있어서,나를마음대로굴려가는것을생각하는것인데,이렇게하여여러날이지나는동안에,내어지러운마음에는슬픔이며,한탄이며,가라앉을것은차츰앙금이되어가라앉고,외로운생각만이드는때쯤해서는,더러나줏손에쌀랑쌀랑싸락눈이와서문창을치기도하는때도있는데,나는이런저녁에는화로를더욱다가끼며,무릎을꿇어보며,어니먼산뒷옆에바우섶에따로외로이서서어두어오는데하이야니눈을맞을,그마른잎새에는쌀랑쌀랑소리도나며눈을맞을,그드물다는굳고정한갈매나무라는나무를생각하는것이었다.

-1948年作-

바람벽에비춰진자신의모습을보며’나는이세상에서가난하고외롭고높고쓸쓸하니살어가도록태어났다’라고읊는재북시인백석.한동안잊혀졌었지만80년대이후월북시인들의해금과함께그는다시주목받기시작했다.짙은향토성과고향상실의외로움을고스란히담아낸백석의시.그속에는백석의생애가있다.

백석

본명은백기행(夔行).1912년평안북도정주에서태어났으며,오산중학과일본도쿄아오야마학원을졸업하였다.1935년「조선일보」에’정주성’을발표하면서주목을받았고,1936년첫시집<사슴>을출판하였다.방언을즐겨쓰면서도모더니즘을발전적으로수용한시들을발표하였다.’모닥불’,’고향’,’여우난골족’,’팔원’등대표작은토속적이고향토색이짙은서정시들이다.토속적,민족적이면서도특이한경지를개척하는데성공한시인으로,8.15광복후에는고향에머물렀다.1963년을전후하여협동농장에서사망한것으로알려졌으나,최근사망연도가1995년임이밝혀졌다.

모던한향토성

그의데뷔작인<정주성>은백석의작품세계의근원이되는고향정주를배경으로한다.평안북도정주는백석에게중요한시적소재가됨과동시에고향이라는주제를이끌어낸곳이기도하다.1936년25세에시집『사슴』을통해발표한33편의초기시에서는고향에서볼수있는다양한인간군상과향토적소재,향토음식이자주등장한다.달밤에목매어죽은수절과부,신장님달련이라고하는가즈랑집할머니,찰쌀탁주,호박잎에싸오는붕어곰,콩가루차떡등이다.<여우난골族><모닥불>등과같은작품을보면고향의정겨움을느낄수있다.백석은산문으로시를풀어내고감정을직접적으로드러내지않는다.그의시가어린시절고향에서의추억을꺼내보는듯한느낌이드는것도이때문이다.토속어와방언을그대로사용하는것도특징이다.백석의시는한국인의삶의방식을표출하고전통적세계를시를통해보여주는역할을하며시어확대에기여한다는평가를받는다.

백석이활발히활동하던1930년대중반은모더니즘문학활동이가장활발하던시기였다.백석의시는당대시적흐름과는거리가있다.시인임화는『사슴』을통해발표한백석의시를시골뜨기의문학이라고혹평한바있다.1930년대모더니즘시인들은서구적인것을동경하고시인들은그들의작품속에서서구세계를표현하고자하였다.반면백석은시단의흐름에휩쓸리지않았다.토속적인시적대상의객관화와감정의절제를통해모더니즘의기법적특징을독창적으로보여주고있다.이렇게전통성과현대성을동시에보여주는백석의시를시인김기림은주책없는향토주의와는명료하게구별되는모더니티를품고있다고평가했다.

고향을떠나떠도는생활의시작

백석의아버지는조선일보사진부에서일했었고조선일보의초기운영자방응모와인연이깊었다.백석또한이런인연으로조선일보의후원을받아일본의청산학원에서영문학을공부하며유학생활을했다.졸업후시집조선일보에서2년동안기자로활동하고시집『사슴』을발간한백석은1936년,함흥영생고보에서영어교사로교편을잡는다.이무렵백석의시는기존의시와차이를보인다.고향을추억하며대상을객관적으로묘사하던초기시와는달리주관적이며낭만적인감정을드러내고자신를작품속에포함시킨다.변모하게된주된이유는연인자야와의만남이다.1936년가을,우연한자리에서만나게된백석과자야는급속도로가까워진다.자야라는애칭은백석이당시자야가읽던<당시선집>에나오는이백의시<자야오가>에서따와지어준것이다.

자야와만난지일년여가넘은1937년,백석은부모가정해준신부와결혼을한다.봉건적중매결혼을한백석은신부와초례만치르고자야곁으로돌아오지만자야는백석을떠나서울로내려간다.이후백석은자야를보기위해서울을찾는다.교사직을관두고서울에서<여성>지의편집일을맡기도한다.부모님의성화에못이겨다시한번다른여인과결혼을하지만백석은또다시자야곁으로돌아오게된다.이러한과정은백석에게큰고통이되었고자야를떠나만주에서떠돌이생활을하게된계기가된다.백석이자야와연을맺지못하고힘들어하는모습은1938년발표한<나와나타샤와흰당나귀>통해엿볼수있다.이시를포함해백석의중기시는외롭고슬픈,때로는식민지지식인의고통이배여있는작품으로변모하게된다.

차가운북방의생활

만주에서백석은여러번직업을옮긴다.측량보조원,측량서기,세관원,심지어소작인생활까지한다.만주와신의주를거치며안정적이지못한생활을한백석은번뇌와괴로움을시를통해표현했다.<고향><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등의시에서는고향상실감을근원으로하여백석자신이느끼는외로움과쓸쓸함을직접적으로표현하고있다.<흰바람벽이있어>의백석은서늘한북방에서어머니와연인을생각하는모습이다.흰벽에스크린처럼투영된자신과사랑하는이들의모습을본다.고향을떠나적막한생활을이어나가는시인의우울한내면세계가잘드러나있다.함흥영생고보에서백석에게수업을들었던제자가이무렵백석을찾아갔을때그의모습은매우초라했다고전해진다.백석은식민지시대의지식인으로,조국과고향을떠난유랑객으로,사랑하는사람과헤어진사람으로북방에서힘겨운나날을보낸다.

분단이기록한백석

백석은일제치하에서도자유로운시창작활동을했고,카프로대표되는사회주의계열이나어떤시단의흐름에도휩쓸리지않는모습을보여줬다.반면분단이후의창작활동을살펴보면당과조국의이념에지지하는내용을담고있다.분단이후백석의행적과작품활동에대해자세하게알려진바는없다.다만<조선문학>을통해발표된창작시와번역시,아동문학평론을통해유추할뿐이다.백석은당에소속된준공무원시인으로서의전형적인활동을한듯하다.

고향을향하는백석의시선

어린시절서울을처음다녀온백석은"건건쩝쩔음한내음새나고저녁때같이서글픈거리"라고서울을표현했다.정주보다번화하고신문명이유입된서울을서글픈거리라고느낀백석의내면세계는1930년대,서구문명을좇는당대모더니즘시와는다른모습의시를창작하면서표현되었다.백석의이러한정신은새로운문명의홍수속에서도고향의내음이나는시를쓸수있었던밑바탕이되기도했다.그의작품에서는항상고향을향하는따뜻한,하지만쓸쓸한시선이느껴진다.

[출처]젊은지성손기은기자가쓴백석인물탐구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