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본 메일 ———
보낸사람: xxx받는사람: xxx날짜: 2011년 12월 30일 금요일, 09시 37분 45초 +0900
제목: 김사인시인 안상학씨가
몇 해 전,…
제 홈페이지에 올려준 글입니다.
말 할 기회가 있어야 불지요…안상학
말이 느리기로 유명한 사람 중에 김사인 시인이 있습니다.
한 번은 불교티비에 무슨 좌담을 하는데 김시인이 주인공이었습니다.
말 빠르고 정확한 대담자가 질문을 하면 김시인은 몇 번인가 눈을 꿈뻑이며 입모양을 만드느라 애를 씁니다.
아니면, 할 말을 머릿속에서 다 해보고 입을 여는 것만 같습니다.
당연히, 나같은 시청자는 속이 타고, 애가 타고,
저러다가 종래에는 말이 나오지 않으면 어떡하나 노심초사합니다.
그 방송을 다 보느라 온 몸에 힘이 들어가고 주먹을 얼마나 쥐었던지, 참 사람 애타게 하는 사람입니다.
김사인 시인이 태어난 곳은 충북 보은입니다.
한 번은 안동에서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술자리에서 이런 농담을 했습니다.
각 지방색을 농담으로 만든 건데요,
안: 팔십년대에 그 놈의 운동 하다가 숱하게 잡혀가서 고문을 받은 청년학생들이 많은데요,
각 지방 마다 입이 무거운 정도가 다르다네요.
경상도, 이 지방 사람들 성격 답게, 불면 화끈하게 다 불어 버린다네요.
한 번 고문하고 입을 열면 남김없이 다 나온다네요.
두고두고 고문해도 꼭 그렇게만 대답한다네요.
전라도, 참 미칠 지경이라네요. 한 번 고문하면 그만큼 불고,
다음 날 또 고문하면 또 그만큼 불고,
다 됐나 싶어 그만할까 하다 또 고문하면 또 그만큼 불고, 하하,
충청도, 참 환장한다네요.
아무리 고문해도 불지를 않는다네요.
몰라요, 냅둬요, 지가 뭐 아남유,
뭐 이런 말이 충청도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지만, 하여간 불지를 않는다네요,
김: (눈을 몇번인가 꿈뻑거리며 입모양을 만든다 ) 하하, 그건 아무래도 아닌 것 같고,
음,,,,뭔,,,,말을,,,,하려고 하면 또 묻고, 뭔가 불려고 하면 또 때리고 해서 말을 하고 싶어도,,,
말 할,,,기회가 없어서,,,그런 거 아닐까,,,( 아무렇지도 않은 듯 또 눈을 꿈벅거리며,,,입을 다문다.)
우스개지만, 앞의 이야기가 완결판이었는데, 이후 김사인 시인의 탁월한 견해를 추가하였습니다.
이 이야기는 소설가 한창훈이 언젠가 나에게 들려준 건데요, 마지막 이야기는
‘충청도는 고문을 해도 불지 않겠지만 우선 잡히지를 않는다’는 게 결론이었지요.
얼마나 웃었던지요.
이 이야기는 지방색을 우화적으로 표현한 것이지, 지역을 욕하거나 비방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말 많은 사람이야 많지만, 말 느린 사람은 보기 드물죠.
말이 많으면 실수를 많이 하는 법인데, 말이 느리고 중정한 사람은 절대 말 실수는 하지 않더군요.
동화작가 박기범도 참 말이 느리기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것이지만,
보는 사람은 속이 터질 지경이랍니다. 하하.
작년 12월 16일 제 12회 청담 시 낭독회 공식 일정이 끝나고 그 날 주인공 김사인 시인을 모시고몇 몇 분과 환담하는 시간을 가졌지요 위에 올린대로 말이 느리기로 소문난 시인이라 어떤 얘길 하는사이 사이도 길어서 하실 말씀 끝난 줄 알고 다른 사람이 말을 해서 ‘마치 시인의 말을 중간에 끓는 듯한 무례를 범하는 것 같’다 하던 사람도 있어서 저도 한마디 더 보탭니다…^^
김 사인 시인 좋아하시는 분이나
그 날 청담 모임에 참석하신 분들께 알리고 싶어
오지랍 넓게제가 청한 메일 공개합니다
문단은 읽기 좋게 제맘대로 . . .
두 분께 정말 죄송하고 또 고맙습니다아~~^^*
My Grandfather’s Clock / acoustic guitar instrumental
P.S
낮에 잠깐 짬이 나 도봉산 자락을 좀 걸을 수 있었습니다.
크고 작은 바위며 나무들이 흰 눈을 쓴 채로 마치 깊은 묵상
에 든 듯이 보였습니다. 계곡 물도 제 꺼풀만 두꺼운 얼음으
로 벗어놓고는 본래의 자신 속으로 깊이 돌아가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뭐라고 설명하기 어려운, 결코 함부로 할 수 없는 숙연함
같은 것이 겨울 산에는 있는 듯합니다. 겨울 산에는 여름의
끈끈한 치정(癡情)이나 봄가을이 허락하던 얼마간의 어리광
스러운 감상, 이런 것이 없습니다. 저 불모의 혹한에 맞서서
바위도 초목도 짐승들도 죽음같이 깊은 잠으로 견디고 있는
듯합니다.
그때 겨울잠은 얼마나 높은 순도의 것일까요. 열반이라는
말의 의미의 한쪽은, 저런 잠의 깊이와 절실한 순수성으로
형상을 드러내는 것이 아닐까요. 저 겨울잠이야말로 존재
의 가장 깊은 삼매가 아닐까요. 우리가 치르는 나날의 잠과
한 생애의 죽음이라는 것 또한 다를 바 없는 것이 아닐까요.
혹한과 죽음을 건너가는 섭리 같은 것이 겨울 산의 깊은 잠,
깊은 명상 속에는 있음을 보고 돌아왔습니다.
– ‘겨울 산’ 전문. / 김사인 산문집 따뜻한 밥 한 그릇
도토리
19/01/2012 at 02:48
ㅋㅋㅋ…
재밌고 반가운 이야기 되시겠습니다…^^*
(아침에 도로 가서 잘 가지고 왔습니다..ㅎㅎ)
참나무.
19/01/2012 at 03:55
망설이다 올린겁니다 진짜로…ㅎㅎ
한 번 실수는 뭐라했지요
요담엔 절대 그런 일 없으리라 믿어 의심치않아요
(방금 카이도 슈베르트 들려주네요 봄꿈, 홍수)
douky
19/01/2012 at 04:57
ㅋㅋㅋ…
저도 재밌고 반가운 이야기 되시겠습니다…^^
참나무.
19/01/2012 at 05:10
저도 넘어졌어요 …ㅎㅎㅎ
오죽하면 이런 포스팅까지 만들었겠는지요…^^
근데 절대 잡히지 않는다는 부분에서 살짝 무서워지기도 했답니다
그의 순한 웃음이 무섭다 하던 이문재 시인의 글도 생각나면서…
참나무.
19/01/2012 at 05:29
…도토리님께 방금 문자 왔네요
관계자 측에서 걱정된다고…
도움 못드려 죄송하다고
잘 찾았다 하니 설 잘 쇠시랍니다아~~~이상 다리역활…^^
도토리
19/01/2012 at 05:58
넹…. 감솨합네당..^^*
산성
19/01/2012 at 08:24
김사인 시인,
참 특별하신 분입니다^^
참나무.
19/01/2012 at 10:05
사석에서 들은 얘긴 데
이럴 경우 김수미씨(독립군이라 가정하고)는 김치준다 하면 다 분다 그러데요
드라마 촬영할 때도 더러 김치를 만들어 갈 만큼 그녀의 김치사랑은 유명하다지요
산성님은 어떻하면 불까요..ㅎㅎ
김진아
19/01/2012 at 10:50
말 느리기론..ㅋ
저희 남편도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정도로 느려요.
그런데요…그 어느 것 하나도 버릴 것이 없다는 거예요.
^^
알코올이 들어가면 그마저도 더더욱 느려지느라..갈 길 가닥 삼천포로 빠지는 말은
저희 남편이 일등이 아닐까 합니다요.ㅎㅎㅎ
푸른
19/01/2012 at 13:23
참나무님 덕분에 김사인님의책 몇 권 주문했습니다.^^-
종이책 밀려나는 이즈음 통하는 사람들끼리 두루 나눠보려구요…
메일 공개는 유쾌했습니다!!!ㅎ~~ㅎ~
참나무.
20/01/2012 at 11:34
실순 않으시겠네요 말 많은 사람들 보다,,,
남편 이고사셔야 할 듯 진아씬
주문진 행 두 편 잘 읽었어요오~~
참나무.
20/01/2012 at 11:36
다행입니다 푸른 님
청담 이후 몇 배 더 애정이 가는 분
제가 그랬답니다
김사인에서 점 하나 빼면 이름도 김시인이라고…^^
Elliot
22/01/2012 at 13:20
1분 간 망설이다 이 댓글을 답니다.
인권에 대해 일찌기 눈을 뜬 미국에서조차 고문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몇년 전 반고문법이 절대지지로 국회에서 통과되었음에고 불구하고
지금까지 공화당 대통령 경선후보 다수가 억류자들에게 물고문(Waterboarding)을
허용한 부시 대통령과 체이니 부통령의 범법행위를 옹호하기 위해
물고문은 고문이 아니다 혹은 군 장성의 의견을 들어보겠다는 식으로
사실상 부정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편 그동안 극우파 언론인들 몇명은 절대 고문이 아니라며 그걸 증명하기 위해
자신이 직접 물고문대에 오르기도 했지만 죄다 물 한 주전자와 14초를 넘기지
못하고 고문이라 인정하며 끝났지요. 그러나 정치인 중엔 아무도 물고문을
자청한 사람이 아직 없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억류자 중 하나인 Abu Zubaydah는 35초 동안 물고문을 하니
말을 하기 시작해서 한 달 동안에만 83번을 물고문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건 진실을 털어놓게 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든 고문기술자가 듣고싶은 걸
말하게 하는 것이죠.
물론 사석에서야 어떤 농담도 할 수 있는 것이지만 부정함에도 느껴지는 지방색…
그리고 마치 이근안의 간증을 듣는 것만큼이나 불편해지는 마음에
모두 고문의 폐해와 그 심각성에 대해 잠시라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고
이 글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