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날의 돔배기

매년 명절음식은 어머니의 몫이었다. 마산사람들 제삿상에는 생선이 주류를 이룬다. 그 가운데 빠뜨려서는  안 될 게 있다. 돔배기다. 돔배기는 소금간을 해 토막 낸 상어고기다. 같은 경상도라 해도 돔배기를 모르는 지역이 많다. 당연히 제삿상하고는 거리가 멀다. 돔배기는 안동이나 경주. 영천 등 경북 내륙지방의  제삿상에 반드시 올려져야 하는 음식이다. 바다가 먼 이 지역에서는 싱싱한 생선을 구경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주로 염장한 생선류를 먹는다. 제삿상에 올려지는 해물도 그러한 것이다. 저장이나 보관이 오래가는 문어도 그 중의 하나다.
어머니가 노환으로 나들이가 시원치 않아 올라오시지 못한다. 그러니 제삿상 음식도 직접 마련해야 한다. 일산 오일장에서 이것저것 고르다가 퍼뜩 생각난 게 돔배기다. 아버지는 생전에 돔배기를 무척이나 좋아하셨다. 제삿상을 물린 음복상에서 돔배기는 아버지의 차지였다. 아버지가 좋아하시기도 했지만, 그렇다고 아버지가 욕심이 많아 독차지한 것은 아니었다. 우리들은 그 돔배기에 관심이 없었다. 장만해 놓은 돔배기는 생긴 것도 좀 이상하고 냄새도 아연끼를 풍기는 게 우리들 입맛과는 영 거리가 멀었다.
그런데 참 이상한 것은 나이가 들면서 이 돔배기가 슬슬 입에 당겨지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내 아래 동생도 그러했다. 그래서 언제부터인가 돔배기는 나와 동생의 몫이 됐다. 어머니는 돔배기를 마산 선창가의 잘 아는 어물전에서 조달해 왔다. 소금간이 된, 직사각형 모습으로 반듯하게 일률적으로 썰려진 돔배기를 어머니는 명절즈음이면 갖고 올라 오시곤 했다.
일산 오일장에서 돔배기가 생각났을 때, 떠 올린 돔배기도 어머니가 갖고 올라오시던 그것이었다. 어떤 어물전에서 용케 돔배기를 팔고 있었다. 그런데 그곳에서 파는 돔배기는 어머니의 그것이 아니었다. 그냥 냉동상태의 뭉텅이 채로 팩에 둘둘 말려진 상어고기 덩어리였다. 한 눈에도 좀 그로테스크하게 보였다. 그것을 돔배기라며 내 밀었을 때 아내는 만지기를 꺼려할 정도였다. 자, 이것을 어떻게 해야하나.
인터넷에 의존할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었다. 해동을 시킨다. 껍질을 벗겨낸다. 뼈를 발라낸다. 그리고는 반듯하게 네모형태로 썬다. 소금간을 해 냉장고에 한 이틀 숙성을 시킨다. 물에 씻은 후 소금기를 적당하게 털어내 채반에 널고는 말린다. 그리고 입맛과 습식에 따라 요리를 한다. 요리법으로는 산적과 구이, 그리고 졸임이 있다고 했다. 우리 집은 구이였다. 그냥 플라이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부치면 된다.
아내가 만지기를 꺼려하니 결국 내 몫이 됐다. 껍질과 뼈를 발라내는 게 쉽지 않았다. 이 작업이 어려우니 직사각 형태로 반듯하게 썬다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껍질과 뼈를 적당하게 제거한 후, 그냥 칼 잘 가는대로 썰었다. 그리고 소금장을 하고 숙성을 시켰다. 이 과정을 속성으로 했다. 저으기 걱정이 됐다. 레시피대로 안 했으니 그 맛에 대한 걱정이다. 부치는 것은 아내더러 하도록 했다. 마침내 돔배기가 만들어지긴 했는데, 아내는 맛을 보면서 소태 맛이라고 했다. 짭다는 것이다. 내 입에도 짭았다. 돔배기 특유의 냄새는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실망스러웠지만 별 도리가 없었다. 이것이나따나 아버지를 생각해 차레상에 올릴 수밖에.
오늘 아침, 추석 차레상을 차리고 있었다. 소박한 상 차림이다. 몇가지 음식들을 상에 차리고 있는데, 뭔가 아련하면서도 익숙한 냄새가 풍겨난다. 이게 무슨 냄새지? 하는 생각과 동시에 제기에 담긴 돔배기가 눈에 들어왔다. 그 아련한 냄새는 돔배기에서 풍기고 있었다. 예전에 맡아보던 친숙하고 익숙한 냄새. 실망인 채로 그냥 아무렇게나 팽개쳐놨던 그 돔배기가 하루 밤 사이에 무슨 변모를 한 것인지 참 신기했다. 딱히 신기해 할 것이 뭐 있겠는가. 하루 밤 새에 그만큼 숙성이 됐다고 보면 되는 것 아니겠는가. 그래도 그랬다. 돔배기에 걸었던 나름의 작은 소망이 이런 형태로 나타난 것을, 굳이 상식이나 과학을 들먹이며 무시할 것까지는 없다는 생각이다.
그런 생각으로 음복을 하고 있다. 짭짤 콤콤하면서 쫀득하게 씹혀지는 돔배기를 안주삼아 마시는 정종 맛이 참 좋다. 돔배기 맛에 아버지가 생각나는 추석 아침이다.

20171004_095157

 

2 Comments

  1. 데레사

    2017년 10월 4일 at 3:36 오후

    우리 고향 경주에서도 제삿상에는 반드시 돔배기 산적이 올랐어요.
    그런데 저는 나이만 먹었지 먹기는 잘 하면서 그걸 만들줄을
    몰라요.
    한번씩 경주가면 간혹 한식집에서 나오는 곳이 있어서 먹어 봅니다.

  2. koyang4283

    2017년 10월 4일 at 5:43 오후

    아, 고향이 경주셨군요. 저의 본적지도 경주 부근인 월성군 아화입니다. 반갑습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