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잘사는나라 되니 4) 점집 철학관이 늘어나고.
잘사는나라 되니 4) 점집 철학관이 늘어나고. 우리들 가난하게 살때 점 보는 집은 찾아볼래야 잘 못 […] READ MORE>>
잘사는나라점집번창점쟁이에서선생님으로Share the post "잘사는나라 되니 4) 점집 철학관이 늘어나고."
-
2
댓글에서 악플과 선플.
댓글에서 악플과 선플. 인터넷시대에서 각종 매체로 하루에도 수 십만이랄까 그런 정보들이 쏟아져 나온 […] READ MORE>>
-
2
kbs의 긴 파업이 이제 끝났다고.
kbs의 긴 파업이 이제 끝났다고. 오늘 어느 매체에서 보니 141일 공영방송인 kbs의 기나긴 파 […] READ MORE>>
-
잘사는나라 되니 3)감사할줄 모르는 세상.
경험은 참 중요한 교육이고 그것이 쌓이면 감사할줄도 알고 행복해진다. 네살 먹은 내 손 […] READ MORE>>
-
2
한 블로거의 죽음을 보면서.
한 블로거의 죽음을 보면서. 며칠 전이다. 조선일보 위블로그(weblog)에는 오래된 여성 블로거 […] READ MORE>>
-
2
평창이 북쪽 콘서트장이 되서는 안돼.
아무래도 심상치 않다. 갑자기 회의를 하자고 하더니 전에는 보기드문 쉬운 합의로 이번 동계 올림픽 […] READ MORE>>
-
2
잘사는나라 되니 2) 달도 별도 보기 어려워.
잘사는나라 되니 2) 달도 별도 보기 어려워. 아주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이제는 옛날이야기다. 나라가 […] READ MORE>>
-
2
조선시대의 파격적인 다산정책.
조선시대의 파격적인 다산정책. 인구는 국가의 중요한 재원이여서 조선때도 다산정책을 폈다는 기록이있다 […] READ MORE>>
인구는국력부강한나라파격적인조선의다산정책Share the post "조선시대의 파격적인 다산정책."
-
2
잘사는나라 되니 1) 삼촌 사촌도 없다.
잘사는나라 되니 1) 삼촌 사촌도 없다. 세상만사는 거의가 명(明)이 있는가 하면 반드시 암(暗)도 […] READ MORE>>
-
또 새로운 한해가 시작 되는날이다.
또 새로운 한해가 시작 되는날이다. 우리또래가 태어 날 때의 일년의 기준과 나이 기준은 설이였다.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