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오거스트의 열다섯 번째 삶

해리오거트

해리 오거스트의 열다섯 번째 삶
클레어 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8년 8월

타임루프를 소재로 한 책들이 많이 나오는 가운데 좀  독특한 책을 만났다.

영화나 드라마의 소재처럼 주인공이 죽었다가 다시 태어나는 과정들은 같지만  이 책을 읽다 보면 보다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게 된다.

 

주인공 해리 오거스트는 죽었다가 다시 태어남을 반복하는 삶을 살아가는 초인들의 집단인 칼라차크라(우로보란)다.

 

그는 처음에 1919년 1월 1일에 태어나 1989년 70세의 나이로 외롭게 죽을 때의 삶까지 모조리 기억한 채 계속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가 원하지도 않았지만 이미 그의 생은 이러한 반복 작업을 통해 초인 집단들 가운데서 기억술사란 더욱 특이한 점을 지닌 삶을 살아간다.

 

한번 죽었고 다시 태어나게 되면 그 이전의 삶은 모두 망각이란 것 때문에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되지만 해리는 오히려 이러한 몇 번의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다음 생애에서 일어날 일들의 경험을 조금씩 다른 방향으로 이용해 보려고 노력한다.

 

이들의 특징은 미래를 알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그들 스스로 연대 조직인 ‘크로노스 클럽’을 창설하여 유지하게 되지만 현재에 개입해 미래를 조작할 수 있다는 능력은 역사에 대한 그 어떤 것에도 개입을 불허한다는 방침을 세운다.

 

하지만 그런 일부들 중 해리의 환생하던 삶 중에서 교수의 신분으로서 맞게 된  제자이자 친구처럼 여긴 빈센트 렌키스와의 의견 충돌은 해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미래를 알지만 개입을 꺼리는 해리와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선 이에 개입을 함으로써 더  나은 지향을 해도 괜찮다는 빈센트의 충돌, 그들은 그렇게 만나고 죽고 헤어짐을 반복하면서 드디어 빈센트가 계획한 거대한 프로젝트에 동참하게 된다.

 

책 속에는 이러한 반복적인 패턴과 그 속에서 각기 다른 삶을 살아가는 해리의 인생들, 그 안에서 저자의 해박한 세계사와 양자물리학에 대한 이야기를 접목시켜 인생의 대한 물음을 던진다.

 

 

이러한 반복적인 삶은 과연 행복할까?

 

책을 읽다 보면 태어남과 죽음은 그렇게 긴 격차가 아님을,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해리는 결코 행복하지만은 않았을 것이란 생각을 해 본다.

사랑하는 여인마저도 그가 말한 진실에 대해 정신병자로 오해를 했으니, 죽고 태어나고 다시 만남을 거듭하면서도 해리의 삶은 오히려 외로웠다는 표현이 더 어울릴 듯하다는 느낌을 준다.

 

선형적인 역사 속에서 해리처럼 원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없이 역사 속의 한 부분에 개입을 하게 되었고 빈센트의 계획을 저지하려는 그의 욕망을 보면서 과거와 현재를 오고 가는 교차의 시. 공간들은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는 장면들로 인해 깊은 인상을 심어준다.

 

말미에 빈센트의 계획은 과연 저지할 수 있을까?

해리가 남긴 편지는 그런 의미에서 독자들의 허를 찌른 대미의 장식을 했다는 점, 해리는 과연 다음 생애에서 다시 태어나 또 어떤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 이야기의 진행은 결코 끝이 아님을 느끼게 해 준 저자의 글은 이런 종류의 책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즐겁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해리 오거스트의 열다섯 번째 삶”에 대한 2개의 생각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