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1.2

짖지[세트] 직지 1~2 세트 – 전2권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역사의 한 부분을 작가의 상상과 자료수집을 통해  뚝심 있게 작품을 그려내고 있는 작가 중의 한 분인 김진명 님의 신작이다.

 

제목부터 처음 들었을 때 이미 고인이 되신 고 박병선 박사가 떠올랐다.

프랑스에서  살면서 직지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알리고자 애를 쓰셨던 것으로 기억하는 그분을 떠올리며 이 책에서 다룬 직지와 구텐베르크와의 연결점은 무엇인지가 궁금했다.

 

인류의 역사를 공부하면서 세계 4대 발명품이란 무엇을 말하는지  많이 듣고 외우고 컸다.

그 가운데 종이의 발견과 함께 인류의 전체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인쇄에 대한 첫 발은 어디일까?

 

익히 알다시피 서양의 구텐베르크가 활자 인쇄의 획기적인 부분의 문을 열면서 인류의 활자시대는 일부 고위층의 독식이 아닌 누구나 읽고 쓸 수 있는 범위로 확대를 이뤄냈다.

 

이 책은 구텐베르크가 이룬 인쇄의 첫발을 어디서부터 이어왔는지를 밝히는 여정과 이미 구텐베르크 이전에 직지가 서양에 소개되면서 이를 받아들인 구텐베르크에 의해 발전된 것의 연결고리를 밝히는 과정이 추리와 역사를 접목한 부분으로 이끈다.

 

은퇴한 대학교수가 참혹한 모습으로 발견이 된다.

한국에서는 볼 수없었던 모습으로 죽은 교수의 죽음을 둘러싸고 경찰들조차 혀를 내두르는데, 일간지 기자인 김기연이 여기에 의문을 품고 사건을 조사하게 된다.

 

죽은 형태로 볼 때 서양의 전통적인 의식의 절차처럼 보이거나 종교적인 어떤 결의에 의해 다루어졌다고도 생각되는 부분에 이르고, 죽은 교수의 차량 내비게이션을 조사하던 중 서원대학교와 그곳에서 근무하는 김정진 교수를 알게 된다.

 

김정진 교수는 직지 알리기 운동을 널리 알리는데 노력을 하는 사람이었고 그는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뿌리가 우리의 ‘직지’라는 것을 밝혀내기 위한 증거를 찾던 중 죽은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한 부분이 있었음을 알게 된다.

 

책의 흐름은 처음에 단순한 살인사건처럼 보인 시작이 직지의 뿌리와 그 직지가 서양으로 어떻게 건너가 구텐베르크에까지 가게 되었는지의 여정을 작가의 상상력과 실제 역사적인 부분들의 잘 어우러진 호흡으로 몰입을 높인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예나 지금이나 소수의 권력층들의 자신들만의 기득권 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 방해물을 도모하는 데는 변함이 없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세종대왕과 신미대사, 그들의 뜻에 부합되어 자신의 기술을 십분 발휘했던 기술자의 노력은  만민이 두루두루 모두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글자를 만든다는 사상에 모두 힘을 합심하여 이루려 했지만 고위 세력들의 방해로 인한 결과물은 여기서도 한글이 쉽게 세상에 나올 수 없었던 시련을 보인다.

 

저자의 상상력을 보태 여기서부터 서양에 건너간 카레나란 여인의 운명과 금속활자의 탄생은 1. 2부에 걸쳐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한 장면으로 이어진다.

 

서양 역시 필사를 하는 목적이 고위층인 교황과 성직자들의 우선권이었던 성경을 함부로 평민들에게 읽힐 수없게 하겠다는 방해와 맞물리면서 극적으로 치닫는 과정이 우리나라 한글 창제 부분과 비교할 때 비슷한 부분이 있음을 느끼는 과정이 왠지 씁쓸한 감정이 들게 했다.

 

이미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부터 한국 역사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보인 저자의 작품들은 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문제의식을 심어줌과 동시에 인류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활자 인쇄에 대한 첫 발을 우리나라가 이루었다는 자긍심, 더 나아가 백성들을 먼저 생각했던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의 탄생 부분들이 다시금 고마움을 느끼게 한 책이다.

 

서양의 역사와 우리나라의 역사를 함께 동시대 속으로 들어가 함께 돌고도는 역사의 한 부분을 보는 시간을 마련해 준 책, 저자의 자료수집과 사실적인 조사들이 상상의 이야기와 맞물려 멋진 작품으로 탄생한 책이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