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독 이모

 

 

서독이모서독 이모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21
박민정 지음 / 현대문학 / 2019년 12월

현대문학의 핀 시리즈 21로 출간된 책이다.

작은 사이즈에 언제 어디서나 갖고 다니며 읽어볼 수 있는 책 제본 형태는 물론이거니와 책 표지의 그림이 참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처음 책 제목을 보고 연상된 것은 책에서도 나왔듯이 파독 광부와 간호사란 직업이 떠올랐다.

하지만 이제는 그때의 직업을 가진 분들이 아닌 훨씬 가까운 1980~1990년대의 서독 이모를 그린다.

 

소설 속 화자인 우정에게는 서독 이모라 불리는 분이 있다.

동독 출신의 전망 있는 물리학자인 한국계 독일인이자 입양아였던 클라우스와의 결혼에 대한 어릴 적 희미한 기억은  2년 후 갑자기 클라우스가 행방불명이 되면서 더 이상 그들의 입에 오르내리지 않는 삶의 형태를 유지한다.

 

대학원에서 논문 통과를 위해 애를 쓰는 과정에서 만난 최 교수의 입을 통해 이모와 최 교수의 유학시절 얘기를 들은 우정은  이모부와 이모에 대한 이야기를 자신만의 글쓰기를 통해 써보려 한다.

 

책은 우리들과 매우 흡사한 과정을 가졌던 독일의 통일 과정 속에 동독 지식인들이 서독에 통합되면서 느끼는 지식인으로서의 좌절감과 고립과 소외감, 클라우스가 생각했던 통일 방식이 아닌 방법에 의해 벌어진 독일 통일의 모습을 비추면서 한국의 현실적인 사정을 생각해보게 한다.

 

이 외에 서독 이모를 중심으로 이어진 이야기와 현재 우정이 경험했던 논문 통과 과정의 불협화음과 대학 내의 성추행 사건, 문학 속에 쓴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보이는 면을 통해 다각도로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책 속에 나오는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명칭도 낯설었지만 검색해서 찾아보면서, 또 책 뒤편 해설에 담긴 뜻(드라마투르기는 작품에 대한 여러 해석 중 하나의 관점을 채택하여 작품에 의미를 구체화하는 비평적 활동이다. 즉, 하나의 스토리에 대한 비평적 시선 및 연출을 위한 이론적 실천이다. -p106)을 이해하면서 다시 펼쳐본 이야기의 내용이  훨씬 가깝게 느껴진다.

 

우정을 통한 생각들은 저자의 페르소나처럼 보이며 우정의 가족사인 서독과 동독이란 분단의 현실 속에 통일된 과정, 그 안에서 입양자로서의 정체성 혼란, 개인의 삶이란 이야기가 버무려지면서 보인 짧은 분량의 소설이지만 그 안에 담긴 내용은 진중하게 다가오는 책이다.

 

 

 

 

서독 이모”에 대한 2개의 생각

  1. 데레사

    서독, 동독이라는 단어가 낯설어지듯 우리의 남한,북한이란
    단어도 역사속으로 사라졌으면 합니다.
    분단의 아픔이 베어 있는 글일듯 싶어요.

    응답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