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국

공화국

공화국
요스트 더프리스 지음, 금경숙 옮김 / 현대문학 / 2020년 4월

 

자신을 이끌어 준 스승이자 그 스승에 대한 모든 것들, 일테면 그가 쓴 글들의 초고를 처음으로 대하는 사람은 나, 프리소 더포스다.

 

히틀러를 연구하는 독보적인 권위자인 요시프 브리크는 ‘몽유병자’ 편집장인 나에게 어느 날 칠레에 히틀러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을 취재해 보란 말을 하게 되고 곧 나는 칠레로 간다.

 

하지만 뜻하지 않게 병에 걸린 프리소는 칠레 병원에 입원해 있게 되고 본국에서는 뜻하지 않은 사고로 추락사하게 된 요시프 브리크의 사고 소식이 기다리고 있다.

 

귀국 후 브리크의 정통 후계자임을 자처하던 프리소 더포스는 실의에 빠지게 되지만 정작 더 충격적인 일은 학계와 언론에서 브리크에 대한 업적을 재조명하게 되면서부터다.

 

자신이 정통 후계자란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이는 존재조차 알지 못했던  필립 더프리스라는 청년이다.

질투에 사로잡힌 프리소는 전 세계 히틀러 학자들이 모이는 학회 ‘역사의 종말’에서 본격적으로 필립을 공개망신시키기로 결심하게 되고 이는 뜻하지 않게 우연히 더욱 커지는 사건으로 번지게 된다.

 

히틀러를 다룬 책들은 인문에서부터 소설까지 두루 다양하다.

저자는 서양에서 생각하는 히틀러에 대한 이미지를 다분히 소설적인 창작에서 그린 것만이 아닌 실존 인물과 허구의 인물들을 등장시켜 히틀러에 대한 연구를 하는 모임에서 여러 지식인들의 모습을 통해 보여준다.

 

사소한 히틀러의 콧수염의 생김부터 그의 죽음을 다룬 과정에 이르기까지 분야별로 각자 자부심을 갖고 연구를 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학회를 통해 프리소가 행한 필립 행세는 다분히 한 개인의 복수만이 아닌 그 복수를 통해 히틀러를 다룬 지식인 사회의 이중성과 비판들을 꼬집는다.

 

스승의 죽음을 둘러싼 유품에 대해 접근하는 이스라엘 첩보기관의 접근부터 실제 필립을 만나고 그가 묵고 있는 숙소를 비밀 방문해 스승의 유골을 보게 된 프리소의 행동은 스승의 그늘에서 벗어나 비로소 스스로 우뚝 서게 된 과정들이 스릴을 겸비해  그려져 제목 공화국의 의미를 되새겨 보게 한다.

 

“공화국, 그 말은 어제 들어도 서글픈 구석이 있어. 무언가가 지나가고 그 뒤에 오는 법이니까. 왕조의 뒤에, 황조의 뒤에. 공화국은 절대 저절로 존재할 수 없지. 도대체 자연스러운 상태가 아니라는 듯이 말이야.”- P 341

 

너는 나의 도팽인가, 아니면 로베스피에르인가를 질문했던 스승 브리크의 제국은 이제 없어진 상태, 그 뒤를 잇는 프리소의 공화국은 이 모든 것을  기꺼이 감수하고 받아들이며 새로운 자신만의 공화국으로 첫 발을 내디딜 것을 다짐하는 모습들이 한 지식인의 고뇌와 발전을 다룬 책이라 신선했다.

 

각 파트마다 저자의 예술분야  편집장으로서의 솜씨를 발휘한 영화 속 장면이나 차용들이 있어 책 속의 등장인물들을 이해하기 쉬웠던 점도 인상적인 책이다.

 

공화국”에 대한 2개의 생각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