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산길에바라본인왕산,시내서올려다보는인왕산과는다른산이다.
오늘의성과둘레길의종점인창의문
창의문(彰義門)은서울성곽4대문과그사이에4소문을두었는데창의문은사대문과북대문사이의북소문으로’옳바른것을드러나게하다’는뜻이있다.그러나창의문은북소문으로불린적은없었다.이곳계곡의이름을빌어자하문(紫霞門)이라는별칭으로불려왔다.태종13년(1413)에는풍수랗자최양선이"창의문과숙정문은경복궁의향팔과같으므로길을내어지맥을상하게해서는안된다’고건의한것을받아들여두문을닫고소나무를심어통행을금지하였다고한다.그러나세종4년(1422)에는군인들의출입통로로이용할수있게했고,광해군9년(1617)에는굴궐보수작업때석재의운반을위하여열어주도록하였다는조선왕조실록의기록을보면당시에도길자체는있었던것같다.
이러한창의문이서울성곽의문로로서제구실을하게되는것은영조17년(1741)이곳을수축할때였다.
당시훈련대장구성임이’창의문은인조반정(1623)때의군(義軍)이진입한곳이니성문을개수하면서
문루를건축함이좋을것’이라고건의한것이받아들여져비로소세워지게된것이다.이러한사실은1956년창의문보수공사때천장부재에서묵서로된기록으로확인되었고,지금창의문에는인조반정때공신들의이름을새겨놓은현판이걸려있다.
창의문의형태는전형적인성곽문로의모습으로,서울의4소문중유일하게옛모습을간직하고있다.무엇보다도수백년간사람의발길에길들여진박석이윤기를발하고있다.특히빗물이잘흘러내리도록문루바깥쪽으로설치된한쌍의누혈(淚穴)장식은연잎모양으로맵시있게조각되어이성문의건축단장에매력을더해주고있다.그리고성문의무지개모양월단(月團)맨위에는봉황한쌍이아름답게새겨져있는데,속설에의하면이는닭모양을그린것으로창의문밖지형이지네처럼생겼으므로지네의천적인닭을그려넣은것이라고한다.
————————–<>————————
[3월8일일요일혼자서길상사를들려서길상사와법정스님과길상화님의연의고리도확인해보고
그많은재산을스님에게헌납한길상화님의삶의무게가나의어깨의무겁게하였다.
나는전철4호선한성대역(삼선교)에서내려6번출구로나와서안내표를따라걸어서
길상사를찾아갔다.천천히걸어도15~20분이면길상사에도착할수있는거리이다.
길사사에는곳곳에법정스님의삶을일깨우는글이걸려있어그한마디한마디읽을때마다
한번더스님을생각하게하였다.길상사를한바퀴둘러보고가장뒤쪽에자리잡은
법정스님의진영각[眞影閣]-법정스님의유물과소품이전시된공간에서스님의참모습을볼수있었다.
길상사에서100분여의시간을보내고내려오다가서울성곽이보여그곳으로올라갔다.
여기까지왔고시간도있어서북악산둘레길을걸었다.말바위안내소에서신분증을제시하고
번호표를목에걸고걸어야하는불편함이언제쯤이나되풀이되지않을수있을까?
안내소에서곡장을향해오르는길옆에소나무숲이아름다워사진을몇장찍었드니그곳의
길가에늘어선지킴이들이사진기에서사진을확인하고는성곽내부사진은찍으면않된다고하면서
보는데서삭제하라고하여그렇게하고는다시걸었다.시설물을찍는것도금하고있다고한다.
곡장에서바라보는북한산의모습이일품인데,오늘은구름이가려사진이선명하게나오지않아
올리지못했다.와룡공원에서숙정문을지나곡장에들렸다가청운대에올라서울도성구경을하고
북악산정상백악마루에서시야속에들어오는서울의모습은남산에서바라보는서울과북한산에서조망되는
서울의모습이조금씩다르다.올려다볼때는보여지는시야가한계가있지만,높은곳에서내려다보는
경관은시야가펼쳐지는전면이넓어서한번에많은것을살펴볼수있다는것이너무좋다.
동서남북사방을한번둘러보는그흥미로움이오늘도산을오르게하는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