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중국 태산을 다녀와서-태산의 마애석각 - 마운틴
중국 태산을 다녀와서<2>-태산의 마애석각

태산은 중국 수천 여 년의 역사가 녹아 있는 인문,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한족 정신문화의 축소판이라할 수 있다. 태산은 있는 그대로 하나의 천연 역사물이며, 예술 박물관이다. 암벽에는 여러 시대에 걸친 제자(題字), 경문, 시구 등이 여러 서체로 새겨져 있다.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이 태산에 올라 역사적 흔적을 남겼다. 바위에 새겨진 글씨를 통해 수천 년 전 이 곳에 올랐던 역사적 인물들과 시공을 초월한 대화를 나누고, 상상력의 나래를 펼쳐 본다. 태산은 또한 많은 역사와 신화, 전설 등이 얽혀 있어 사람들의 상상력을 유발시키는 독특한 분위기를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산의 경치에 영성이 더해지고, 지리문화적으로도 사람들의 의식에 각인된다. 당나라 시인 유우석은 “산이 높지 않아도 신선이 살면 유명해진다”라고 했다.

5.당마애,황금빛_당_현종의_기태산명.jpg

대관봉이란 절벽에 있는 당 현종이 남긴 ‘천하대관 기태산명 마애비(天下大觀 紀泰山銘 摩崖碑).

태산의 바위란 바위에는 수많은 세월 동안 중국 역대의 제왕과 정치인, 시인들이 남긴 글로 가득 메워 거의 빈자리가 없다. 현재 태산 일대에 새겨져 있는 석각은 1,800여 곳이라 한다. 그 가운데 비석이 800여개, 마애석각이 1,000여개 정도 된다. 일부에서는 2,200여 개라는 주장도 있다. 거대한 ‘마애석각 박물관’인 셈이다. 역설적으로 보면 이만한 환경파괴도 없을 듯싶지만 환경파괴도 오래되면 문화유산이다. 태산은 자연경관과 더불어 이러한 문화유산으로 세계자연문화유산구역으로 지정됐다.

중국에서 공식 발간된 책에는 태산 정상의 석각만 258곳으로 기록돼 있다. 석각 대부분은 역대 제왕이 봉선 의식을 행할 때의 제문, 사묘(寺廟)의 창건과 중수기, 태산을 칭송하는 시문들이다. 중국의 제왕들은 하늘과 인간사는 상호 관련이 있다는 천인상관설을 믿었다. 군주는 태산에 올라 천명을 내려 주신 은혜에 감사드리고 보고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역대 제왕이 열광적으로 추구한 ‘봉선’이다.

3.공자비석.jpg

황제 중에 제일 먼저 태산에 오른 역사적 인물로는 중국을 처음 통일한 진 시황제다. 정상 옥황정 바로 밑에 있는 무자비가 그가 천하를 통일하고 오른 후 세웠다는 설이다. 그러나 일부 중국 학자들은 한 무제가 태평성대를 구가하면서, 그 평가를 후대에 받겠다는 의미로 글자를 남기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 진 시황이 태산에 남긴 글은 대묘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 총220여 글자 중 해독 가능한 글은 불과 10여자 밖에 안 된다. 전체 맥락을 전혀 알 수 없는 것이다.

태산 정상 석각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글자는 앞 글자에 삐침이 없는 ‘虫二’란 비문이다. 이는 청 말기 유정규라는 문인이 태산의 자연경관을 한마디로 표현한 말이다. 풍월무변(風月無變)을 적으면서 풍월이란 한자에 변을 없애 버린 비문이다. 풍월에 변을 없애니 삐침 없는 ‘虫二’이 된 것이다. 태산의 2,000여개 석각 중 가장 함축미가 뛰어난 글로 평가받고 있다. 아름다운 경치가 끝이 없다는 뜻이다.

2.공북석[1].jpg

공북석, 다른 이름은 탐해석.

정상 옥황정 바로 밑에 공등암(孔登岩)이란 석각이 있다. 공자가 태산 정상을 오른 것을 기념한 표지석이다. 공자는 태산에 오른 후 공자등태산이소천하(孔子登泰山而小天下) ‘태산에 오르니 천하가 작다’는 말을 했다. 공자가 아직 뜻을 펼치지 못할 때 태산에 올라 권력을 가진 제왕들을 은근히 비하했다는 이야기다.

맹자의 흔적도 보인다. 옥황정 바로 아래 암암(巖巖)이라고 새겨져 있다. 태산암암이란 뜻으로 바위같이 굳센 기질, 의연함을 나타내며 호연지기와 상통한다. 이는 맹자의 의기를 기려 새겼다고 한다.

정상에 새겨진 글씨인 웅치천동(雄峙天東), 발지통천(拔地通天), 경천봉일(擎天捧日), 준극우천(峻極于天)은 모두 태산의 위대함을 칭송하는 글 들이다. 청 강희제는 태산 정상에 올라 보조건곤(普照乾坤)이라는 네 글자를 남겼으며, 대관봉에 운봉(雲峰)이라고 쓴 글씨가 그의 것이다. 모두 태산의 위엄을 찬송한 내용들이다.

7.태산칭송비석.jpg

일관봉은 정상 인근에 있는 봉우리로, 거석이 하늘로 뻗어 마치 날카로운 칼이 북쪽 하늘을 찌르는 것과 같다고 해서 ‘탐해석’ 또는 공북석이라고도 부른다. 공북석은 북두를 향해 기울어져 붙여진 이름이다. 바위의 형상이 바다를 탐험하는 사람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탐해석은 태산 일출을 감상하기에 가장 좋은 곳이다. 인근 첨노대(瞻魯臺)는 첨노대에 올라 남쪽으로 보면 공자의 나라, 즉 노나라의 지역이라는 것이다.

정상 바로 아래 커다란 절벽에 당 현종이 남긴 ‘천하대관 기태산명 마애비(天下大觀 紀泰山銘 摩崖碑)가 있다. 대관봉이란 이름을 가진 절벽에 있다. 세로 13m, 가로 5.3m의 바위에 총 966자의 글씨가 예서로 새겨져 있다. 모두 금박을 칠해 휘황찬란하다. 내용은 선인들의 비문이 태산의 위엄을 찬양하고 있으며, 당 시대의 태평성대를 구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 현종이 봉선한 옥첩 내용의 기록이다. 이전까지 하늘에 고했던 옥첩은 모두 비밀에 부쳐졌지만 현종이 첫 공개했다.

바로 그 옆에 ‘천하가 다 보인다’는 천하대관(天下大觀)이라는 석각이 보인다. 산등절정아위봉(山登絶頂我爲峰)이라는 석각도 눈에 들어온다. ‘정상에 오르니 나도 봉우리가 된다’는 뜻이다. 정상에 선 느낌은 자연과 혼연일체가 된다. 또 절정(絶頂), 앙지(仰止) 등의 비석이 보인다. 앙지는 경외하지 않을 수 없는 태산 꼭대기라는 뜻으로 쓰였다.

태산에 새겨진 글 중에서 눈길을 끄는 글씨는 청 강희제 시대에 쓴 것으로 전해지는 ‘과연(果然)’이라는 석각이다. 이 한마디도 어떤 글보다 적합한 표현으로 평가받고 있다.

청 건륭제는 많은 글씨를 남겼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조양동만장비(朝陽洞萬丈碑)다. 높이 20여m, 넓이 9m에 달하는 거대한 비문에 새겼다. 그는 여섯 차례 태산에 오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태산 암벽에 140여수의 시와 130개의 석각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십팔반이 시작되기 직전에 모택동이 수풍류인물환간금조(數風流人物環看今朝)라고 쓴 글이 보인다. ‘이제 영웅이라 할 수 있는 인물은 무산계급뿐이다’는 뜻이다. 진시황도, 한무제도, 당태종도, 징기스칸도, 영웅으로 불리던 그 어떤 인물도 다 지나갔고, 현재 영웅이라고 할만한 인물은 무산계급만 남아 있다‘는 것이다. 주은래의 부인 등영초는 등태산간조국산하지장려(登泰山看祖國山河之壯麗)를 새겼다. ‘태산에 올라 조국의 강산을 내려다 본다’며 중국 공산당 혁명의 성공을 만족하는 듯한 심경을 표시해 놨다.

4.공자암.jpg

일천문에서 남천문까지의 계단을 천제(天梯), 즉 하늘 사다리라고 한다. 조금 더 올라가면 ‘열심히 노력해서 올라가라’는 뜻인 노력등고(努力登高)가 있다. 일천문에는 등고필자(登高必自)가 보인다. 이 글은 중용에서 등고필자비, 행원필자이(登高必自碑, 行遠必者邇)에 나오는 얘기다. ‘높은 곳에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데서 출발해야 하고, 멀리 가려면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평범하면서도 심오한 철학이 담긴 말이다. 명나라 때 새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천문 부근 바위벽엔 ‘부앙무괴작(俯仰無愧怍)이 있다. 태산에 올라 ’하늘을 우러러 부끄럼이 없고 사람을 굽어 수치스러운 일이 없는 경지‘에 이르게 됐다는 뜻이다. 남천문 바로 옆엔 ’하늘로 올라가는 길‘이라는 뜻의 여등천(如登天)이 새겨져 있다.

종선여등(從善如登) 석각도 눈에 들어왔다. ‘올라갈 것이냐, 말 것이냐, 고민하지 말고 계속 오르라’는 의미다. 원래 이 말은 중국 속담인 ‘종선여등(從善如登), 종악여붕(從惡如崩)에서 나온 것이다. 산을 오르는 것은 선을 좇는 것과 같고, 내려가는 것은 악을 좇는 것과 같다’는 말에서 나왔다.

이와 같이 태산 홍문 등산길은 고대 제왕들이 다니던 길로서 일명 ‘어도’라고도 부른다. 당의 고종과 현종, 송의 진종 세 황제는 봉선 등으로 태산을 오르내리면서 비를 세운 것이 모두 16개에 달한다. 문인들은 이 등산로를 따라 오르며 수많은 글을 남겨 ‘고시의 길’ 또는 ‘서법의 길’이라고도 부른다.

수많은 마애석각들이 더 있지만 아마 중국 정부나 태안시청에서도 전부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다. 태산 가면 마애석각 살펴보는 재미도 쏠쏠하지 싶다. 태산 갈 기회 있으면 한번 살펴보시라.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2 Comments

  1. 단비

    02.24,2009 at 2:32 오후

    아름다운 풍경과 소중한 장면 감사합니다!!   

  2. 와암(臥岩)

    02.25,2009 at 5:33 오전

    ‘태산’,
    가까운 곳이라 치부하고 아직 가보지 못했습니다.

    이 글 읽곤 ‘가고 싶어지는 곳’으로 매김되었습니다.

    추천 올립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