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서울시계 둘레길 1구간을 가다…산과 고개 넘어 서울역사 한눈에 - 마운틴
서울시계 둘레길 1구간을 가다…산과 고개 넘어 서울역사 한눈에

1구간: 광나루~아차산~용마산~망우산~구릉상(검암산)~태릉 담터고개까지 GPS18,3㎞

서울시계 둘레길 138㎞를 10구간으로 나누어 걷기로 했다. 어디서 출발하든 상관없지만 일단 지하철 광나루역에서 출발하기로 했다. 거인산악회 이구 대장과 54트레킹동호회 회원 20여명이 모였다. 인원 체크를 한 뒤 각오를 다지며 일제히 “파이팅”을 외쳤다.

광나루는 아차산 남쪽에 있는 나루터로, 한강을 건너 충청, 강원, 경상도로 향하는 주요 교통로였다. 조선 태종 때 별감을 파견할 정도로 요충지로 발전했다. 지하철 광나루역에서 한강 광나루까지는 복잡한 도로를 몇 개 건너야 하는 관계로 그냥 멀찌감치 보기만 하고 지나쳤다.

-SANY0003.JPG

워커힐을 지나 구리방향에서 아차산으로 올라가면 철기문화를 일찌감치 받아들인 고구려를 알리기 위한 고구려대장간마을이 나온다.

위커힐을 왼쪽에 두고 구리로 가는 46번 국도 옆 조그만 길로 아차산으로 접근하기 위해 걸었다. 바로 옆으로 차들이 쌩쌩 지나쳤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정확히 서울과 경기도의 경계를 찾아가는 길이지만 여러 명이 걷기엔 길이 좁아 다소 위험했다. 모두들 걷는 내공은 예사롭지 않았다. 특히 54년생으로 구성된 54트레킹동호회 회원들은 대부분 중년의 아주머니들인데도 걷는 품새가 가볍고 빠르다. 그 틈새로 따라가기 쉽지 않았다.

워커힐은 지금은 호텔로 바뀌었지만 한국전쟁 때 국군과 인민군과 격전이 벌어진 아차산 일대에서 전사(교통사고 했지만 전시 중 사고는 전사로 인정)한 미 8군사령관 워커 장군의 이름을 따서 휴양지를 지은 데서 출발했다. 광나루를 통해 한강을 건너기 위한 많은 피난민들도 큰 희생을 치렀던 곳이기도 하다.

-SANY0009.JPG

갈림길이 나오면 아차산성 쪽으로 올라가는 길이 서울시계 종주길이다.

어느 덧 구리로 접어들었다. 왼(서)쪽 아차산으로 가는 비포장도로로 들어섰다. 200m 남짓 갔을까, ‘고구려대장간마을’이라는 커다란 이정표가 나왔다. 드라마 ‘태왕사신기’ ‘바람의 나라’ ‘자명고’와 영화 ‘쌍화점’ 등을 촬영했던 곳으로, 요즘 관광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철기문화를 일찌감치 받아들인 고구려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대장간’이란 이름을 붙였으며, 옆에 있는 유적 전시관엔 고구려 유물이 전시돼 있다. 입장료를 성인 3,000원, 청소년 2,000원씩 받고 있다.

-SANY0010.JPG

올 겨울 내내 눈이 내린 듯해 아직도 눈이 그대로 있다.

잠시 대장간마을로 들어가 취재하는 사이 일행들은 전부 사라지고 없다. 아직 녹지 않은 길을 부리나케 뛰어올라갔다. 겨우 뒤꽁무니를 찾았다. 한순간도 방심할 수 없는 팀이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54트레킹동호회는 백두대간을 두 번씩이나 한 아주머니들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한번도 아니고 두 번씩이나…. 그 정도 내공인데, 어찌 감히 따라갈 수 있겠나. ‘오늘 고생 좀 하겠다’ 싶었다.

-SANY0014.JPG

아차산엔 소나무가 우점종이다.

이젠 아차산 올라가는 길이다. 갈림길에 이정표가 있었다. ‘←아차산성․1보루, 큰바위얼굴․전망대→’로 나뉜다. 우린 아차산성 방향이다. 시 경계는 위커힐로 올라가야 하나 워커힐 주변은 철조망으로 둘러쳐져 구리 쪽으로 둘러온 셈이다.

아차산(峨嵯山 286.8m)은 백두대간의 분수령에서 갈라진 한북정맥이 한강을 앞두고 끝나는 마지막 봉우리의 하나이다. 이 산줄기는 양주군 광릉의 죽엽산(801m)에서 남하하여 천보산, 수락산(水落山 637.7m), 불암산(佛岩山 507m)을 거쳐 그 주맥이 구릉산(검암산)에서 망우리고개를 넘어 망우산, 용마산(龍馬山 348m), 아차산에 이르며, 아차산성이 있는 봉우리를 정점으로 한강으로 빠져든다.

-SANY0017.JPG

서해로 도도히 흐르는 한강이 한눈에 들어온다.

능선으로 올라서니 아차산성은 문화재보호 및 산불예방으로 입산금지 푯말이 붙어있고, 살벌한 철조망으로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뒤쪽으로 한강이 시원하게 펼쳐졌다. 이제 한북정맥 수락지맥의 끝지점에서 능선을 타고 간다. 한강이 바라보이는 동쪽은 남양주이고, 안개인지 스모그인지 자욱하게 낀 서쪽이 서울이다. 이 수락지맥이 경기도와 자연적인 경계를 이룬다.

능선 위로 잘 조성된 등산로엔 평일인데도 등산객들로 북적거렸다. 경기도 구리시와 서울 광진구를 가리키는 이정표는 180℃ 양방향으로 서 있다. 길 따라 가면 된다.

-SANY0036.JPG

서울의 우거진 빌딩숲도 한눈에 들어온다.

아차산은 높지는 않지만 삼국시대 전략 요충지로 고구려와 백제, 신라가 이곳을 점령하기 위한 흔적은 곳곳에 남아있다. 아차산성과 아차산 일대 보루군이 사적 제455호로 지정돼 문화재 보호를 받고 있다. 보루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돌이나 흙 등으로 쌓은 축성물을 말한다.

능선길의 전망은 동서남북이 확 트여 감동을 주기에 충분했다. 남으로는 유려히 흐르는 한강과 북으로는 빌딩 숲속 뒤로 보이는 북한산과 도봉산의 전경은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없는 장면이었다. 그러니 평일에도 등산객들이 많이 붐비나 보다.

-SANY0022.JPG

아차산과 망우산 일대는 사적 제455호로 지정돼 복원되고 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차산 명품소나무 제1호가 그 좋은 전망대 바로 옆에 떡하니 자리 잡고 있다. ‘아차산의 바위틈에서 광진구와 한강을 바라보며 오랜 세월 광진구민과 함께 한 소나무입니다’라고 이정표에 써져 있다. 10m도 못가서 2호가 모진 세월을 견뎌낸 듯 함께 있다.

용마산 정상으로 가는 갈림길인 헬기장에 도착했다. 왼쪽으로 100여m 가면 용마산 정상이다. 그곳에 신라의 보루 흔적이 남아있다. 용마산은 서울시 구역이고, 시 경계는 망우산 방향이다. 그쪽으로 직진이다.

아차산 전역엔 150여기의 고분이 산재해 있다. 확인된 파괴 고분만 해도 70여기에 이른다. 이곳 용마산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은 항아리, 석제, 병 등으로 전형적인 신라 토기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들이다.

-SANY0024.JPG

아차산 명품 1호 소나무.

아차산에서 이어지는 능선은 망우산으로 연결된다. 자연히 망우산으로 넘어왔다. 망우산은 서울의 유일한 공동묘지다. 1933년 공동묘지로 지정된 이래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이 곳에는 우리나라 어린이운동의 효시인 방정환 선생을 비롯하여 독립운동가이며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인 오세창, 한용운 선생 등이 안장돼 있다. 초대 대법원장 김병로 선생, 도산 안창호 선생 등 많은 애국지사들의 묘역도 있었으나 국립묘지 독립유공자묘역으로 이장했다. 시 경계길은 능선 위로 걷지만 공원묘지 순환길을 따라 가면 이들의 묘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SANY0025.JPG

망우리묘소 입구 주차장에는 13도참의군탑이 세워져 있다. 1907년 일제에 의한 조선군의 강제 군대해산에 저항하는 의병이 전국에서 봉기했다. 그해 11월엔 경기도 양주에 13도 의병이 모여 서울 진격작전을 벌였다. 비록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그들을 기리기 위해 지난 1993년 건립한 것이다.

길은 이어지듯이 시 경계도 계속된다. 망우리 고개를 지나 망우산 밑으로 뚫은 중앙선 전철을 발아래 밟고 건넜다. 걷는 사람은 모르지만 지도엔 나타나 있다.

갑자기 급경사가 나왔다. 위에서 보니 경사가 80℃이상은 족히 될 것 같다. 그 아래로 태릉-구리간 고속화도로가 지나고 있었다. 오금이 저려 발걸음을 조심조심 옮겼다. 도로관리하는 직원들이 사용하는 듯한 거의 수직에 가까운 계단이 눈 아래 세워져 있다. 거기로 내려가야 한다. 양 팔을 뻗어 양쪽을 꽉 잡고 천천히 한 걸음씩 옮겼다. 백 수십 개 되는 계단을 내려오는 데 5분 이상은 걸린 것 같다. 초심자들은 이 길을 찾기 쉽지 않아 보였다. 이 길을 사람들이 어떻게 찾았는지 신기하기만 했다.

-SANY0046.JPG

아차산, 망우산을 지나 구룡산의 호젓한 등산로를 걷는서울시계종주팀들.

내려서니 서울 신내동과 경기도 구리의 경계였다. 해태상이 일행들을 맞았다. 고속화도로를 건너기 위해 구리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서 횡단도로를 건넜다. 다시 서울 방향으로 내려와 오른쪽 이정표가 있는 망우산 극락사 방향으로 진입했다. 시 경계가 계속되는 길이다.

1구간 마지막 산인 구릉산으로 들어섰다. 조선시대 아홉 명의 왕의 능이 동쪽에 있다 하여 동구릉이라 불렸다. 이곳은 원래 검암산이었으나 조선 왕실에서 이름에 ‘칼’을 연상케 하는 ‘검’자가 있어 역대 왕의 영혼이 잠들어 있는 곳에 불길한 조짐이 보인다 하여 검암산이란 이름을 못 쓰게 해서 구릉산으로 불리게 됐다고 한다. 구릉은 조선 건국 초기부터 왕릉터로 주목을 받은 곳이며, 가장 많은 능이 안장돼 있다. 태조의 건원릉, 5대 문종과 왕비 현덕왕후의 헌릉, 14대 선조와 왕비 자인왕후 및 계비 인목왕후의 목릉 등 조선왕조의 능 17위가 있어, 사적 제199호로 지정돼 있다. 동구릉은 시 경계에서 구리 쪽으로 조금 내려가야 한다. 잠시 들렀다 가려니 준족의 일행을 놓칠까 싶어 멀찌감치 쳐다만 보고 지나쳤다.

구릉을 내려서면서부터는 평지다. 47번 국도를 따라 계속 걷다가 갈매주유소에서 왼쪽으로 꺾어 육군사관학교를 구리방향으로 우회해서 간다. 이어 경춘선 철로를 건너 삼육대 앞을 지나 태릉 담터사거리까지 가면 1구간 끝이다. 오전 10시5분에 출발해서 오후 4시40분쯤 도착했다.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1 Comment

  1. Hi_story

    03.16,2010 at 9:37 오후

    대단하십니다.
    워커힐 구리 아차산, 덕분에 구경 잘했읍니다.   

Hi_story 에 응답 남기기 응답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