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에 산림수탈을 위한 도로 개설로 끊어진 백두대간 구간 8개소를 포함, 총 13개 구간이 순차적으로 복원된다. 그 첫 사업으로 백두대간의 가장 중심부에 있는 이화령 구간을 올 2월 착공, 10월까지 완전히 이어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은 도로 개설 등으로 단절된 백두대간 총 50곳 가운데 13개소를 순차적으로 복원할 계획이며, 백두대간의 가장 중심지에 있는 이화령 구간을 길이 60m, 폭 12m로 산림청 20억원, 행정안전부 21억6000만원, 지방비 2억원 등 총 43억 6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올 2월 조성공사를 시작해서 10월까지 완전히 연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반도 지형도에서 백두대간 연결구간을 지역별로 표시했다. 자료 산림청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총 연장 1400㎞에 이르는 한반도 자연생태계의 중심축으로 민족의 숨결이 숨 쉬는 가장 대표적인 산줄기이다. 그동안 교과서 등에 실린 산맥 개념은 1903년 일본인 지질학자 고토분지로(小藤文次浪)가 한반도의 지형특성을 분석해서 사용한 것을 해방 이후 현대까지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 그러나 1980년 고지도 연구가 이우형씨가 신경준이 쓴 책으로 알려진 <산경표>를 발견하면서, 산맥이란 표현은 잘못됐으며 우리 고유의 산지를 인식하는 방법과 체계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렸다. 산경표는 우리나라 산줄기와 산의 갈래, 산의 위치를 표로 정리한 지리서이며, 1대간, 1정간, 13개 정맥으로 구분한 전통 지리서다. 따라서 전통 지리학자들은 “산맥체계는 민족정서를 말살하기 위해 일본인이 만든 것이며, 산자분수령의 원리에도 어긋나기 때문에 잘못된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백두대간은 우리의 의식 속에 살아있는 자연의 개념이며,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 및 인문사회학적 환경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대간을 중심으로 문화적 축이 형성됐고, 한반도에 서식하는 동물의 이동통로와 식물의 연속성을 갖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백두대간은 일제 강점기의 산림자원 수탈과 산업성장에 따른 훼손으로 단절 구간이 총 50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 당국은 복원이 시급한 13개 구간에 대해 연차적으로 총 557억원을 들여 백두대간을 연결할 예정이다. 아직 전체 사업일정에 따른 세부계획과 완공연도는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가장 먼저 복원되는 이화령 구간은 백두대간의 본줄기로서 충북 괴산군과 경북 문경시를 잇는 고개로, 영남지방과 중부지방을 연결하며 한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이 되기도 한다. 일제가 지난 1925년 한반도 신작로화를 명분으로 이화령에 도로를 개설함으로써 백두대간이 단절되어 남북 종축의 생태계가 깨지기 시작했다. 따라서 이화령 구간의 복원은 민족정기 회복과 생태적 연결 통로의 복원이라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특히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하나인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및 식물 이동통로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화령 구간이 복원되면 백두대간 등산객, 새재 자전거길 이용객 및 관광객의 증가로 이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백두대간 시민연대 박연수 집행위원장은 “그동안 끊어진 백두대간 복원이 뒤늦게라도 복원사업이 시행돼 그나마 다행”이라며 “단절된 자연생태계도 원래대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깨달음(인회)
03.07,2012 at 3:26 오후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산우
03.07,2012 at 10:46 오후
좋네요… 조금 더 구석구석 조치가 되었으면… 글구 본지도 동참하여 조속히 추진되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