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동토의 땅’ 블라디보스톡에 한 맺힌 한인의 역사, 그리고 첫 한인마을 ‘신한촌’ - 마운틴
‘동토의 땅’ 블라디보스톡에 한 맺힌 한인의 역사, 그리고 첫 한인마을 ‘신한촌’

고구려‧발해 이후 한민족에게 잊혀진 땅, 연해주로의 이주는 1860년대 들어 시작된다. 연해주 포시에트市에 조선인 13가구가 정착함으로써 연해주 한민족 역사가 새로이 쓰여 지게 됐다. 이후 수차례에 걸쳐 대규모 이민이 진행된다.

국경넘는한인.JPG

한민족들이 배를 타고 국경을 넘어 동토의 땅 블라디보스톡에 내리고 있다.대규모 이민의 서곡이었다.

크게 두 가지 이유로 한민족은 연해주로 이주했다. 첫째는 조선 내의 대기근 등과 같은 경제적 이유였고, 둘째는 경술국치와 같은 정치적 이유 때문이었다. 1869년 한반도 큰 흉년이 들어 농토가 적은 동북부에 특히 극심한 타격을 주었다. 이 때 기근으로 굶주린 수많은 한인들이 연해주로 이주했고, 이주인구는 계속 증가하면서 여러 지역에 한인마을이 형성됐다.

블라디보스톡 초기정착.JPG

블라디보스톡에 정착한 초기 한인들의 모습. 초라한 모습이 역력하다.

1905년 일본의 외교권 강탈은 한인의 연해주 이주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일본은 한인의 재외이주를 억제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로의 향했던 순수 농업이민은 불법적인 망명이민으로 전환될 수밖에 없었다. 이 시기에 연해주로 이민한 수많은 한인들은 연해주 곳곳에서 국권회복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08년 한 해에만 총 69,804명의 의병이 1451회에 걸쳐 무장출동을 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IMG_2526-crop.JPG

한인들이 블라디보스톡 정착 초기 생업에 쓰인 배들이다.

한인의 연해주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고, 시기적으로는 4단계로 구분이 된다. 제1기는 1860~1884년까지. 조러수호통상조약 체결로 러시아의 우호적 태도에 힘입어 한인의 이주가 계속됐다. 제2기는 1884~1893년. 일제의 조선 침략이 본격화됨에 따라 한인의 이주가 급격히 증가하고, 러시아는 제한정책을 시작하기에 이른다. 제3기는 1893~1910년. 1910년 일제의 조선 강점 전후 독립운동을 위해 애국지사들의 망명이주가 크게 늘어났다. 제4기는 1910년 이후 일제에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대거 연해주로 이주하게 된다. 특히 제4기 이후 많은 한인들은 귀국을 포기하고 러시아로 귀화했다. 당시 귀화는 개인적 신청보다는 집단적 청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IMG_2527-crop.JPG

블라디보스톡 정착 초기 한인들의 생활상.

블라디보스톡에 한인들이 모여들어 첫 한인마을, 개척리를 만들었다. 개척리에는 수많은 한인들이 모여들었고, 후에 마을이름을 ‘까리이스까야’로 명명하게 된다. 현재 주블라디보스톡 한국 총영사관 쪽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를 건너면 곧바로 개척리가 있던 옛 까레이스까야 거리를 만날 수 있다.

IMG_2528-crop.JPG

연해주 하산학교에 모인 한인 학생들.

그러나 개척리는 곧 사라지고 신한촌이 형성하게 된다. 신한촌은 한인들이 새로 마을을 건설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마을이 한창 번성했을 때는 약 5,500명의 동포가 살았다고 한다. 이들은 이곳을 기반으로 생활을 영위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립운동의 전초기지로 활용했다. 독립운동에 관한 부분은 다음에 다루겠다.

IMG_2535-crop.JPG

한인들의 블라디보스톡 정착 초기인 개척리의 당시 모습.

나중에 이 마을엔 ‘서울스까야’라는 거리도 생겨나게 된다. 러시아에서 스까야는 우리의 종로, 세종로 하듯이 거리 이름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서울스까야라는 이름이 생길 정도로 많은 사람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스탈린의 한인들 강제이주정책 등으로 지금은 단 한 가구만이 이 주소로 등재돼 있다. 한민족의 서글픈 연해주 역사의 한 단면이다.

IMG_2536-crop.JPG

한인 노동자들이 작업하기에 앞서 한 자리에 모여 사진을 찍었다.

IMG_2537-crop.JPG

신한촌의 성인 남자들의 모습.

IMG_2561-crop.JPG

신한촌에서 열린 독립선언 1주년 기념행사에 많은 한인들이 참가해 대한독립의 염원을 키워 나갔다.

IMG_2562-crop.JPG

1920년 3월1일 블라디보스톡 신한촌에서 열린 독립선언 1주년 기념행사.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