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사흘만 머물면 道를 깨닫는 산… ‘무등산 예찬’ 고경명의 - 마운틴
사흘만 머물면 道를 깨닫는 산… ‘무등산 예찬’ 고경명의 <유서석록>

조선 중기 문신이자 의병장이었던 고경명(高敬命․1533~1592)이 무등산에 올라 남긴 기록인 <遊瑞石錄(이하 유서석록)>은 당시 4800자의 순 한문으로 기술한 기행문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산 문학으로서도 뛰어난 작품이다. 또 유려한 문장으로 무등산과 적벽, 성산(星山)의 승지 등 16세기 무등산과 그 인근의 모습을 자세하고도 재미있게 표현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고경명․임훈 등과 함께 당시 동행한 사람으로는 신형․이억인․김성원․정용․박천․이정․안극지 등이었다. 산행 코스는 4월 20일 취백루~증심사. 21일 사인암~증각사~중령~냉천정~입석대~불사의사~염불암~덕산너덜~지공너덜. 22일 상원등~정상삼봉~서석대~삼일암․금탑사~은적사~석문사․금석사․대자사~규봉암~광석대~문수암~풍혈대․장추대~은신대. 23일 영신골~장불천~창랑천~적벽~소쇄원~식영정~환벽당. 날짜별로 산행하면서 기록을 남겼다.

입석대.jpg

눈 덮인 입석대 앞에서 등산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4월21일 맑음

아침 느지막이 임훈 목사가 당도했는데, 신형, 이억인, 김성원, 정용, 박천정, 이정, 안극지 들이 따라왔다. 나는 임 선생을 취백루에서 맞이했다. 누대 앞에 오래 묵은 측백나무 두 그루가 있는 것이 보기에 한가롭고 좋았다. 이것이 비록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 같지는 않으나 취백루라는 이름에는 손색이 없다.

△사인암(舍人岩)

술을 두서너 순배 한 후 임 선생이 밥을 재촉하여 떠나기를 서두르는데, 마부를 물리고 종들도 줄여 선생은 야복차림으로 대로 엮은 가마에 올라 증심사 주시 조선스님의 안내로 증각사로 향했다. 응수 박천정이 서쪽의 한 봉우리를 가리키며 저것이 사인암(약사사 앞 서쪽에 있음, 속칭 세인봉)으로 전에 꼭대기에 올라가 보았더니 돌부리가 구름을 찌르고 벼랑이 허공에 솟았으며, 매의 둥지가 있는 것을 굽어볼 수 있었다고 했다.

소쇄원에 있는 정자.JPG

가사문학의 산실인 소쇄원에 있는 정자.

△증각사(證覺寺)

정오에 증각사에 이르니 안개가 짙어 멀리는 바라볼 수 없었으나 정자와 넓은 들, 그리고 비단결 같은 여러 시냇물을 모두 가리킬 수 있으니 비로소 이곳이 꽤 높은 자리임을 알겠고, 그래서 더 멀리 내려다 볼 수 있었다. 절의 북쪽에는 분죽, 오죽, 두 종류의 대가 있는데, 분죽은 그 진을 빼고 지팡이를 만들면 매우 광택이 나고 미끈한 것이 된다.

△중령(中嶺, 지금의 중머리재)

차를 마시고 길을 떠나 이정을 거쳐 중령으로 올라갔다. 깎아 세운 듯한 가파른 길은 하늘에 닿을 듯하여 사람들은 마치 물고기를 꿰미에 꿰어놓은 듯하 하고, 꿰미가 줄지어 서로 붙들고 개미 기어가는 듯했는데, 한자를 올라가면 한길쯤 뒤로 물러난다.

이윽고 평평한 곳에 이르니 시야가 탁 트이고 상쾌한 기분이 마치 바다에서 배 뚜껑을 젖히고 푸른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느낌이다. 중머리재에서 산길을 따라 왼쪽으로 돌아서니 밀림이 우거져서 구름과 햇살을 볼 수가 없고 높고 험한 등성이는 허공에 걸쳐 있어, 다만 새가 빠르게 날 때 푸른 이끼가 나부낄 뿐이었다. 지팡이에 의지하고 노래를 읊조리며 오르노라니 잠시나마 등산의 힘겨움을 잊게 해준다.

송강정 또는 죽녹정1.JPG

송강 정철의 호를 따서 지은 송강정 옆에 노송이 정자를 드리우고 있다.

△냉천정(冷泉亭)

임 선생이 먼저 냉천정에 도착하여 뒤에 올라오는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샘물은 나무 밑 돌 틈에서 나오는데, 그 찬 맛은 도솔천에 미치지 못하나 단맛은 그보다 더한 듯싶다. 때마침 모두 목이 말라 서로 서둘러 미수가루를 타 먹으니 좋은 간장과 단 술이라는 말이 있기는 하나 그 맛도 이보다 더 좋을 수 없으랴 싶다.

△입석대(立石臺)

석양에 입석암에 닿으니 양사기(중국 명나라 초의 문인이자 정치인)의 시에 이른바 십육봉장사라는 곳이 바로 여기로구나 싶다. 암자 뒤에는 괴석이 쫑긋쫑긋 쭉 늘어서 있어서 마치 진을 치고 있는 병사의 깃발이나 창검과도 같고, 봄에 죽순이 다투어 머리를 내미는 듯도 하며, 그 희고 곱기가 연꽃이 처음 필 때와도 같다. 멀리서 바라보면 벼슬 높은 분이 관을 쓰고 김 홀(笏)을 들고 공손히 읍하는 모습 같기도 하다. 가까이 가서 보면 철옹성과도 같은 튼튼한 요새다. 투구철갑으로 무장한 듯한 그 가운데 특히 하나가 아무런 의지 없이 홀로 솟아 있으니 이것은 마치 세속을 떠난 선비의 초연한 모습 같기도 하다. 더욱이 알 수 없는 것은 네 모퉁이를 반듯하게 깎고 갈아 층층이 쌓아 올린 품이 마치 석수장이가 먹줄을 튕겨 다듬어서 포개놓은 듯한 모양이다.

천지개벽의 창세기에 돌의 엉켜 우연히 이렇게도 괴상하게 만들어졌다고 할까. 신공귀장이 조화를 부려 속임수를 다한 것일까. 누가 구워 냈으며, 누가 지어부어 만들었는지, 또 누가 갈고 누가 잘라냈단 말인가.

송강정 또는 죽녹정.JPG

노송들이 운치있게 뒤덮고 있는 눈 덮인 죽녹정을 보기 위해 방문객이 올라가고 있다.

아미산의 옥으로 된 문이 땅에서 솟은 것일까. 그렇지 않다면 성도의 석순이 해안을 눌러 진압한 것이 아닐까. 알지 못할 일이로다. 돌의 형세를 보니 뾰쪽뾰쪽하여 그 수를 헤아릴 수가 없는데, 그 가운데 헤아려 볼 수 있는 분명한 것이 16개 봉우리이다. 그 속에 새가 날개를 펴듯, 사람이 활개를 치듯 서 있는 건물이 암자이다. 입석암은 입석대의 한 가운데에 자리 잡아 우러러보면 위태롭게 높이 솟아서 곧 떨어져 눌러 버리지 않을까 두려워서 머물러 있기가 불안하기 그지 없다. 바위 밑에 샘이 두 곳이 있는데, 하나는 암자의 동쪽에 있고, 또 하나는 서쪽에 있어 아무리 큼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는 것이니, 이 또한 신기한 일이다.

△불사의사(不思議寺)

암자를 떠나 조금 북쪽으로 입석을 오른 편에 끼고 불사의사로 들어갔다. 입석에서 동쪽으로 길은 험하지 않다. 반석이 마치 방석같이 판판하게 깔렸는데, 지팡이를 짚으면 맑고 높은 소리가 울리고 나무 그늘이 깔린다. 혹은 쉬기도 하고, 혹은 걷기도 하며 마음 내키는 대로 하니, 낭선의 ‘나무 그늘 밑에서 자주 쉬어가는 몸이로다(數憩樹邊身)’라는 한 시구가 이 정경을 나타내는데, 알맞아 천년이 지난 오늘 날에도 그 모습이 눈앞에 선하게 뵈기만 한다.

송강정또는 죽녹정.JPG

송강정 앞에 있는 비석이 한 방문객이 살펴보고 있다.

△덕산(德山)너덜

이 산속에는 너덜의 이름이 붙은 곳이 두 곳이 있는데, 증각사 동북쪽에 있는 것이 덕산너덜이다. 덕산너덜은 소나기가 갤 때면 몰래 숨어 있던 이무기가 나와 해볕을 쬐는데, 몸을 칭칭 감고 도사리고 있어서 사람이 감히 접근할 수가 없다고 한다. 또 일찍이 어느 스님이 보았더니 노루 한 마리가 지나가는 것을 어떤 괴물이 나타나 잡아채어 가로 물고 돌 사이로 들어가는데, 햇빛이 번쩍거려 놀란 적이 있다고 한다.

△지공(指空)너덜

그러나 이 지공너덜만은 벌레나 뱀 따위의 기어 다니는 짐승이 없고 가을이 되어 떨어진 나뭇잎 하나 떨어진 것이 보이지 않으니 스님들 사이에 전해지기를 이 너덜은 고승 지공이 그 제자들에게 설법하던 곳이기에 그렇다는 것이다.

(중세 최고의 산행기, 고경명의 <유서석록>… 언제나 변치 않고 의연한 무등산! )서 계속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