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오대산 적멸보궁 산행… 천하 명당에 부처님 진신사리 봉안 - 마운틴
오대산 적멸보궁 산행… 천하 명당에 부처님 진신사리 봉안

5월25일은 부처님 오신 날이다. 이른바 4월 초파일이다. 불교는 신라와 고려시대엔 국교로 지정됐을 정도로 모든 국민들이 신앙했고, 그 영향은 지금까지 우리 민족의 의식 속에 깊게 남아 있다. 불교의 상징인 사찰은 일찌감치 산에 자리 잡아 수천 년 한민족 역사와 함께 하고 있다.

등산하는 사람들은 산에서 자연스럽게 사찰을 보게 된다. 절에는 항상 불상이 모셔져 있다. 부처의 모습을 불상으로 재현한 것이다. 절 중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직접 모셔놓은 곳도 있다. 이를 적멸보궁이라 한다. 전국에 5대 적멸보궁이 있다. ‘부처님 오신 달’을 맞아 적멸보궁 따라 산행을 해보자.

중대사자암이 층층으로 지어져 눈길을 끈다.

중대사자암이 층층으로 지어져 눈길을 끈다.

5대 적멸보궁은 속초 설악산 봉정암, 평창 오대산 상원사, 영월 사자산 법흥사, 태백 함백산 정암사, 양산 영취산 통도사를 말한다. 신라의 승려 자장(慈藏, 590~658)이 당나라 유학 갔다 귀국할 때 가져온 석가모니 사리와 정골(頂骨)을 모셔놓은 사찰이다. 이 중 함백산 정암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자장율사가 친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것으로 전한다. 정암사 적멸보궁은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왜적의 노략질을 피해 통도사 적멸보궁의 진신사리를 나눠 봉안했다고 전한다.

그런데 적멸보궁(寂滅寶宮)이 무슨 뜻인가? 왜 적멸보궁이라 했는가? 불교용어 그대로 해석하면 ‘온갖 번뇌망상이 적멸한 보배로운 궁’이라는 뜻이다. 석가모니불이 깨달음을 얻은 후 최초의 적멸도량회를 열었던 중인도 마가다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 금강좌, 즉 적멸도량(寂滅道場)을 상징한 데서 비롯된다. <화엄경>에 따르면, 깨달음을 얻은 부처는 처음 7일 동안 시방세계 불보살들에게 화엄경을 설법하기 위한 해인삼매(海人三昧)의 선정에 들었다 한다. 이 때 부처 주위에 많은 보살들이 모여 부처의 덕을 칭송했고, 부처는 법신인 비로자나불과 한 몸과 됐다고 전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 박기연 성과관리실장이 오대산 적멸보궁 ‘세존진신탑묘’을 보면서 설명하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박기연 성과관리실장이 오대산 적멸보궁 ‘세존진신탑묘’을 보면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적멸보궁에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심으로써 부처님이 항상 이곳에서 적멸의 즐거움을 누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는 법당에서는 따로 불상을 봉안하지 않고 불단을 갖춰 놓는다. 이 법당의 바깥이나 뒤쪽에 사리탑을 봉안했거나 계단(戒壇)을 설치한다. 이는 부처가 항상 그곳에서 적멸의 법을 법계에 설하고 있음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진신사리는 부처와 동일체로, 부처 열반 후 불상이 조성될 때까지 가장 진지하고 경건한 숭배 대상이었다. 한국에서는 5대 적멸보궁 외에도 신라 불교가 처음 전래된 구미 도리사, 김제 모악산 아래 금산사, 달성 비슬산 용연사 등에도 적멸보궁이 있다고 한다.

오대산 적멸보궁의 세존진신탑묘. 1m가 채 안 되는 탑묘에 탑을 새겨 어딘가에 진신사리가 봉안돼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오대산 적멸보궁의 세존진신탑묘. 1m가 채 안 되는 탑묘에 탑을 새겨 어딘가에 진신사리가 봉안돼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런데 자장율사는 왜 이 다섯 곳에 적멸보궁을 세웠을까?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지도를 가만히 들여다봤다. 자장율사는 신라 승려다. 신라는 경주가 수도다. 5군데의 적멸보궁은 경주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방어하고 있는 모양새다. 설악산과 오대산은 수직으로, 사자산과 함백산은 수평으로 경주를 방어하고 있다. 양산 통도사는 경주의 남쪽 아래에 위치해 있다. 자장율사가 적멸보궁을 봉안할 때 부처님의 힘을 빌려 고구려의 침입을 방어하려 했다는 설도 있다. 따라서 경주의 북쪽에 있는 4곳의 적멸보궁은 고구려의 침입으로부터, 남쪽에 있는 통도사는 왜구의 침입을 부처님의 힘을 빌려 차단하려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왜 이 5군데인가’에 대한 이론은 없다. 단지 당시 상황을 비쳐 5군데 정도면 안정적으로 방어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짐작으로 조성했을 것이다고 추측해볼 뿐이다.

오대산 중대사자암을 지나 적멸보궁으로 올라가고 있다.

오대산 중대사자암을 지나 적멸보궁으로 올라가고 있다.

의문은 또 있다. 당시 설악산이나 오대산은 고구려 땅인데, 신라 승려가 남의 땅에 적멸보궁을 창건할 수 있었을까 하는 궁금증도 생긴다. 기록에 없는 역사를 설명해 주는 사람이 없어 이 역시 알 수가 없다. 적멸보궁 산행을 하면서 이런 궁금증을 안고 한 번 가보자.

5대 적멸보궁 중에 오대산 적멸보궁은 여러 측면에서 의미가 깊다. 고려 때 승려이자 <삼국유사>를 쓴 일연(一然)은 “오대산은 국내의 명산 중에서도 가장 좋은 곳이요, 불법이 길이 번창할 곳이다”고 말했다. 오대산은 바위와 암벽이 별로 없는 육산에 가깝다. 동물은 물론이고 식물들이 잘 자란다. 지금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들은 “전국의 명산 가운데 오대산 식생이 가장 뛰어나고 풍부하다”고 말한다.

적멸보궁을 거쳐 오대산 비로봉에 가기 위해 중대사자암 계단을 오르고 있다.

적멸보궁을 거쳐 오대산 비로봉에 가기 위해 중대사자암 계단을 오르고 있다.

자장이 중국 유학을 할 때 7일 동안 간절한 기도로 문수보살의 현신(現身)을 만났다고 알려진 산이 바로 오대산이다. 자장은 귀국해서 우리나라의 오대산에도 진성(眞聖)이 거주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오대산에 모옥을 짓고 문수의 진신을 친견하기 위해 월정사와 상원사, 사자산 흥녕사(지금의 법흥사), 함백산 갈래사(葛來寺․지금의 정암사) 등을 옮겨가며 간절한 기도를 했다. 이 절들의 창건 기원이다. 자장은 비로봉 아래 중대에 터를 잡고 그 위에 적멸보궁을 지은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오대산은 중대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각각의 오류성중(五類聖衆)이 상주한다는 믿음이 결국 산명으로 나타난 것이다. 즉 동대에는 관세음보살, 서대에는 아미타불, 남대에는 지장보살, 북대는 석가모니불, 중대에는 문수보살이 상주한다고 믿었다. 특히 중대는 자장이 친견하고자 했던 문수보살이 상주하는 도량으로 가장 소중한 정골사리를 이곳 적멸보궁에 모셨다고 전한다. 중대는 일명 사자암이라 한다. 이는 문수보살이 타고 다니는 짐승이 사자였기 때문이다.

4월 초파일 분위기를 알리는 연등이 적멸보궁 가는 길 옆에 걸려 있다.

4월 초파일 분위기를 알리는 연등이 적멸보궁 가는 길 옆에 걸려 있다.

뿐만 아니라 오대산은 풍수지리적으로도 대단한 명당으로 꼽는다. 이곳을 ‘용이 여의주를 희롱하는 형국’이라 하여 천하의 명당이라 한다. 뒤로는 비로봉이 호위하고 앞으로는 오대산의 육중한 능선이 펼쳐진다. 풍수가들은 “승려들이 먹을 것 걱정 없이 수도할 수 있는 곳”이라고 말할 정도다. 일반인이 봐도 능선이 적멸보궁을 감싸 안아 포근하기 이를 데 없다고 느낀다. 조선 영조 때 어사 박문수도 이곳에 와서 “승도들이 좋은 기와집에서 일도 않고 남의 공양만 편히 받아먹고 사는 이유를 이제야 알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한다. 그런 명당이다.

오대산이란 지명의 유래도 이와 무관치 않다. 다섯 개의 높은 봉우리가 있다고 해서 오대산이라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과 자장율사가 중국에서 수도한 산이 오대산이며, 이를 한반도에도 그대로 붙였다는 설도 있다. 지형적으로나, 자장율사가 적멸보궁을 세운 곳이라는 점으로나 오대산 지명은 두 가지 유래에서 다 비롯됐고 관련이 있다. 

월정사에서 상원사까지는 약 9㎞. 상원사에서 적멸보궁까지 2㎞, 적멸보궁에서 오대산 비로봉까지 1.5㎞. 이 거리를 국립공원관리공단 홍보실 이기석 담당관과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허용필씨가 안내를 했다. 험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동행에 나서준 이들에게 지면을 통해서나마 감사의 뜻을 전한다.

4월 중순에 함박눈이 펄펄 내리는 가운데 오대산 적멸보궁을 거쳐 비로봉 정상을 향해 걷고 있다.

4월 중순에 함박눈이 펄펄 내리는 가운데 오대산 적멸보궁을 거쳐 비로봉 정상을 향해 걷고 있다.

출발하자마자 눈이 펄펄 내린다. 함박 같은 눈이다. 4월 중순에 이런 눈을 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다. 좀처럼 눈이 그칠 줄 모른다. 전날도 미리 올라가다가 눈이 내리고 안개가 너무 짙어 도저히 앞을 볼 수 없어 포기했는데 연이틀 날씨가 영 엉망이다. 당초 코스를 상원사~적멸보궁~비로봉~상왕봉을 거쳐 두로령으로 하산할 계획이었으나 내리는 눈 상태로 도저히 갈 수 없어 상원사에서 비로봉을 갔다가 그대로 하산하기로 했다.

정말 역시 오대산이다. 봄꽃이 한창 피고 낮 최고기온이 20℃를 오르내리는 4월 중순에 오대산이나 설악산 아니면 볼 수 없는 함박눈이 쏟아진다. 올해의 마지막 눈이리라 생각하지만 눈에 보이는 건 눈뿐이다. 그래도 혹시나 보이는 게 있을까 싶어 비로봉으로 향한다.

오대산 월정사에서 상원사까지 계곡 옆으로 걷는 길인 선재길이 잘 조성돼 있다.

오대산 월정사에서 상원사까지 계곡 옆으로 걷는 길인 선재길이 잘 조성돼 있다.

월정사 전나무숲은 이미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한국의 아름다운 숲으로 대상을 받은 적이 있을 정도로 족보가 있고, 유래도 깊다. 그 숲을 거쳐 월정사에 들어서면 국보 제38호인 팔각구층석탑과 보물 등이 수두룩하다. 월정사를 지나 비포장도로로 들어서면 ‘선재길’이 시작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조성한 옛길이다.

선재길은 불교 화엄경에 나오는 선재동자에서 유래했다. 선재동자는 지혜를 구하기 위해 천하를 돌아다니다 53명의 현인을 만나 결국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선재동자와 같이 선재길을 걷는 사람도 한 줄기 지혜의 빛을 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름 붙여 조성했다고 한다. 

선재길에는 때로는 섶다리도 나와 옛길의 정취를 물씬 풍겨준다.

선재길에는 때로는 섶다리도 나와 옛길의 정취를 물씬 풍겨준다.

비포장도로가 먼지 날리는 길이라면 선재길은 바로 옆 계곡을 바라보며, 물소리를 들으며 걷는 길이다. 전 구간이 계곡을 따라 아름드리 숲 터널을 지나 트레킹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 없는 좋은 길이다. 특히 여름에 안성맞춤이다. 숲이 뜨거운 햇빛을 막아주면서 계곡에 언제든지 발을 담글 수 있기 때문이다. 보를 세워 물을 막았던 보막이(일명 보메기), 통나무로 만든 다리상판 위에 잔가지인 섶을 엮어 깔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만든 섶다리, 멸종위기식물원, 작은 폭포가 아름답게 이어진 신선암, 과거 화전민들이 살았던 화전민터 등 숲 사이를 걸으며 볼거리도 심심찮게 나온다. 걷는 재미에 보는 즐거움까지 주는 길이다. 동자들이 구도의 일념으로 걸었던 옛길이었지만 일반인들에게는 힐링을 주는 좋은 길이다.

1960년대 도로가 나기 전에는 스님들과 신도들이 다니던 길이었다. 선재길을 천천히 걸으며 옛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을 통해 과거를 만나고, 오대천을 품은 아름드리 숲터널을 지나면서 다양한 동식물까지 볼 수 있다.

4월 중순에 펄펄 내린 눈이 눈꽃을 피워 마치 한겨울에 등산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4월 중순에 펄펄 내린 눈이 눈꽃을 피워 마치 한겨울에 등산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선재길 끝 지점이 상원사다. 상원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인 ‘상원사 동종’과 국내에서 유일하게 문수보살상을 모시고 있는 문수신앙의 중심 사찰이다. 둘 다 국보 문화재다.

상원사는 세조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단종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시름시름 앓게 되자 영험하기로 소문난 상원사에 기도를 올리기 위해 찾았다. 도중에 더위를 식히고자 신하들을 물리치고 계곡물을 몸을 담갔다. 그 때 지나가는 동자승에게 등을 씻어달라는 부탁을 했다. 시원스레 등을 씻은 세조는 동자승에게 “임금의 옥체를 씻었다고 말하지 말라”고 했다. 그러자 동자는 “대왕도 문수보살을 봤다고 말하지 말라”고 말하곤 홀연히 사라졌다. 정신을 가다듬은 세조는 두리번거리며 몸을 살피자 종기가 씻은 듯 나았다고 전한다. 또 병을 고친 세조는 이듬해 다시 찾았다. 예를 갖추기 위해 법당에 들어서려는 순간 별안간 고양이 한 마리가 튀어나와 세조의 옷을 잡아당겼다. 이상한 예감이 든 세조는 법당 안을 샅샅이 뒤지게 했다. 과연 불상 탁자 밑에 칼을 품을 자객이 숨어 있었다. 세조는 고양이에게 보은의 뜻으로 상원사 뜰에 고양이 석상을 건립했다. 지금까지 전하는 바로 그 석상이다. 

상원사에서 적멸보궁 올라가는 길은 오솔길 같은 산길로 연결돼 있다. 절반쯤 올라가면 계단이 나온다. 계단에서는 은은한 목탁소리와 독경소리가 들린다. 경건한 마음으로 적멸보궁으로 향하게 한다.

4월 초파일을 맞는 연등이 좌우 양쪽으로 걸려 있다. 연등엔 ‘적멸보궁’ ‘오대광명’이란 글자가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적멸보궁은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한 곳이고, 오대광명은 다섯 개의 봉우리와 동서남북중대 오대 암자에 있는 관세음보살, 아미타불, 지장보살, 석가모니불, 문수보살이 밝히는 세상을 말한다.

국립관리공단 홍보실 이기석씨와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허용필씨가 4월 중순에 펑펑 내린 함박눈을 맞으며 오대산 비로봉에 도착하고 있다.

국립관리공단 홍보실 이기석씨와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허용필씨가 4월 중순에 펑펑 내린 함박눈을 맞으며 오대산 비로봉에 도착하고 있다.

이어 적멸보궁 가는 길과 비로봉 가는 갈림길이다. 당연히 적멸보궁부터 먼저 들른다. 조그만 암자가 방문객을 맞는다. 보궁의 문을 열자 역시 불상은 없다. 붉은 색의 방석만이 수미단 위에 놓여 있다. 보궁 뒤로 약 1m 높이의 석탑을 모각한 마애불탑이 아담하게 서 있다. ‘세존진신탑묘’다. 이 탑이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다는 일종의 표식이다. 어느 곳에 진신사리가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어쩌면 비로봉 아래 봉우리 전체가 하나의 불탑이요, 진신사리일지도 모른다. 오대산의 오대광명 중의 유일한 문수보살이 현신했고, 천하의 명당에 부처님이 봉안돼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적멸보궁은 오대산 주봉인 비로봉에서 흘러내린 산능선들이 병풍처럼 둘러싼 그 중앙에 우뚝 서 있다. 오죽했으면 풍수지리가들이 이곳을 “용이 여의주를 희롱하는 형국”이라 했겠나.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있고, 풍수지리적으로도 천하명당인 오대산 적멸보궁, 이보다 더 좋은 땅이 더 이상 없을 것 같다. 천하의 명당으로 꼽히려면 반드시 물이 있어야 한다. 아니나 다를까, 적멸보궁 올라가는 길 왼쪽에 ‘용안수’라는 우물이 나온다. 말 그대로 용의 눈에 해당하는 샘이다.

적멸보궁에서 비로봉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용이 가파르게 내려온 자리다. 올라가기가 쉽지 않다. 숨이 턱까지 차온다. 더욱이 눈이 펄펄 내려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정도다. 정말 눈에 보이는 건 눈뿐이다. 상원사에서 비로봉 오르는 코스가 오대산 등산코스 중에 가장 난코스에 해당한다고 오대산국립공원 허용필씨는 말한다. 그런 코스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눈까지 쏟아진다. 

비로봉에서 동대산 능선 서쪽 사면을 바라보고 있다.

비로봉에서 동대산 능선 서쪽 사면을 바라보고 있다.

마침 공단 홍보실 이기석씨가 본부 직원들과 통화를 했다. “서울에서는 봄꽃 구경 잘하고 있느냐, 난 봄눈 실컷 구경하고 있다”고 전한다. 참 절묘한 표현이다. 4월 중순에 내리는 함박눈같이 퍼붓는 봄눈, 곰곰이 생각해보니 생후 처음이지 않나 싶다. 몇 시간 뒤의 일이지만 강원산간지역에 마침내 대설주의보가 내렸다는 일기예보도 있었다. 그 직전 하산해서 천만다행이었다.

적멸보궁에서 출발한지 1시간 40여분 만에 비로봉(1,563m)에 도착했다. 이곳도 예외 아니다. 사방이 눈으로 덮여 있다. 앉아서 쉴 곳도 없다. 그냥 잠시 서서 쉬어야 할 판이다. 몸은 땀이 솟아 축축한데, 날씨는 거의 영하에 가깝다. 한기(寒氣)가 살짝 오려고 한다. 바로 하산이다.

그런데 비로봉(毘盧峰)이란 정상 봉우리 이름이 다시 눈에 확 들어온다. 우리나라에 비로봉이란 이름의 봉우리가 유달리 많다. 소백산, 금강산, 치악산, 속리산, 묘향산 정상이 다 비로봉이다. 

적멸보궁과 비로봉, 지명의 절묘한 앙상블이란 느낌이 든다. 비로란 불교 용어로 범어의 바이로차나(Vairocana)의 음역이며, 비로자나불(毘盧蔗那佛)의 준말이다. 원래 뜻은 ‘몸의 빛’, ‘지혜의 빛’이 법계에 두루 비치어 가득하다는 것으로 ‘부처의 진신’을 일컫는 말이다. 부처의 진신을 비로자나불이라면 더더욱 오대산 정상이 비로봉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월정사~상원사 9㎞. 상원사~적멸보궁 2㎞, 적멸보궁~비로봉 1.5㎞

비로자나불은 종파마다 각각 달리 불린다. 화엄종에서는 석가모니불, 진언종에서는 대일여래, 천태종과 법상종에서는 법신불 등으로 부른다. 절에 있는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를 모신 전각이다. 그 큰 영웅이 바로 불교에서 으뜸이신 부처, 석가모니다. <화엄경>에서는 영원한 부처님인 법신불을 침묵의 부처님, 광명의 부처님으로 언급하여 비로자나불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비로자나불은 우주의 만물을 모두 간직하고 있다 하여 흔히 연화장 세계의 교주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비로자나불은 3천대천세계의 교주이며, 우주 전체를 총괄하는 부처로 인정받고 있다. 비로자나불의 산스크리트 표기는 바이로차나 붓다(Vairocana Buddha)이다. 바이로차나는 태양이 모든 곳을 밝게 비추는 특징 내지 태양 자체를 이름 하는 것이다. 원래 골고루라는 뜻의 부사 ‘비(vi)’와 ‘빛나다’라는 뜻의 동사 ‘루츠(ruc)’에서 파생된 것으로 불을 가리키기도 하고, 때로는 달을 지칭하기도 한다. 태양의 빛이 만물을 비추듯이 비로자나불은 우주의 일체를 비추며 포괄한다는 뜻이다. 적멸보궁에서 올라와 그 비로봉에 지금 서 있다. 의미를 생각하니 감격이 서서히 밀려온다.

오대산 비로봉에서 상왕봉 방향으로 능선이 길게 뻗어 있다. 오른쪽 능선이 백두대간 능선이고, 사진 왼쪽 앞쪽으로 한강기맥이 뻗어 나온다. 사진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제공

오대산 비로봉에서 상왕봉 방향으로 능선이 길게 뻗어 있다. 오른쪽 능선이 백두대간 능선이고, 사진 왼쪽 앞쪽으로 한강기맥이 뻗어 나온다. 사진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 제공

내려오는 길에 잠시 눈이 멎는다. 적멸보궁을 감싸고 있는 능선을 정말 살짝 보여준다. 아늑하기 짝이 없다.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백두대간이, 서쪽으로는 한강기맥이 감싸고 있다. 적멸보궁에서 한 번 솟구친 능선은 상원사까지 그대로 내려간다. 천하의 명당이라 한 이유를 대충 알 법하다.

4월 중순의 폭설만 아니면 그 아늑한 느낌을 제대로 느끼고 돌아왔을 텐데…. 아쉽다.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에서는 “오대산 등산객은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해서 비로봉까지 오르는 코스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한다. 가장 많은 등산객이 이용하는 코스로 육산으로 오르는 오대산 적멸보궁을 보며, 부처가 설한 세상이 어떤 세상인지 한번쯤 되새겨 보는 산행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