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한국 최고의 적멸보궁’ 통도사, 자장율사가 첫 진신사리 봉안장소로 전해 - 마운틴
‘한국 최고의 적멸보궁’ 통도사, 자장율사가 첫 진신사리 봉안장소로 전해

<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의 자장율사가 646년(신라 선덕여왕 15) 당나라 선량산(오대산)에서 기도를 하다가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그 화현승으로부터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금란가사 한 벌을 받아 귀국해서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됐다. 왕명에 따라 당시의 계율종의 본산인 통도사를 창건했으며, 그 사리를 황룡사탑과 통도사 계단, 태화사에 봉안했다’고 한다.

자장은 반야(般若)의 지혜를 갖추기 위해서는 그 근본인 계를 금강석처럼 굳건히 지켜야 한다는 의미로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고 석가모니 가사와 진신사리를 모셨다고 전한다. 사진은 그 금강계단이다.

자장은 반야(般若)의 지혜를 갖추기 위해서는 그 근본인 계를 금강석처럼 굳건히 지켜야 한다는 의미로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고 석가모니 가사와 진신사리를 모셨다고 전한다. 사진은 그 금강계단이다.

통도사의 금강계단이 바로 그 불사리계단이다. 전국의 모든 출가자가 계를 받는 불사리계단, 즉 금강계단이 통도사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이며, 이로 인해 불보(佛寶)사찰의 칭호까지 얻게 됐다. 자장은 반야(般若)의 지혜를 갖추기 위해서는 그 근본인 계를 금강석처럼 굳건히 지켜야 한다는 의미로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고 석가모니 가사와 진신사리를 모셨다. 아마 당시에는 이 땅에서 가장 기운이 좋은 곳, 길한 곳, 은밀한 곳이었을 것이다.

자장이 이 곳에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절 이름을 통도사라고 한 것은 바로 ‘이 산의 모습이 인도의 영축산과 통한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또 다른 설은 신라시대의 계율근본도량으로 전국의 모든 출가자들이 금강계단에서 계를 받아야 정통성이 인정된다고 해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든 진리를 깨달아 중생을 제도한다’라는 대승불교의 이념에서 비롯됐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통도사는 적멸보궁 외에도 불보사찰로서 으뜸 사찰로 꼽힌다.

양산 통도사의 전경.

양산 통도사의 전경.

통도사를 안고 있는 영축산은 그 이름대로 풀어보면 신령스런 독수리를 가리킨다. 독수리 ‘취(鷲)’자를 쓴다. 때로는 ‘취’를 ‘축’이라고도 발음한다. 산이나 지명 가운데 조류과의 이름이 4종류가 있다. 닭, 기러기, 봉황, 독수리이다. 닭 이름이 들어가는 명당은 금계포란(金鷄抱卵)이 있다. 경북 풍기(豊基)에 가면 금계포란 자리가 있다고 전해진다. 금닭이 알을 품고 있다는 뜻이다. 이런 산의 모습은 둥그런 봉우리가 하나 솟아 있는 형국이다. 둥그런 봉우리는 닭의 머리로 본다. 봉황이 들어가는 지명은 둥그런 봉우리인데, 닭머리 보다는 그 봉우리 크기가 더 큰 경우이다.

통도사 불이문(不二門)에는 ‘원종제일대가람(源宗第一大伽藍)’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이 땅 불교의 근본이 되는 절’이란 뜻이다.

통도사의 사리는 워낙 귀한 보물이라 사람들이 항상 사리함을 열어 친견하기를 원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옛날 조정의 높은 벼슬아치가 계단을 예배하고 사리를 친견하기 위해 함을 열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긴 구렁이가 석함을 지키고 있었으며, 두 번째는 큰 두꺼비가 지키고 있었다. 그 후부터는 감히 이 함을 열지 않았다고 전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통도사는 왜 통도사인가? ‘통만법(通萬法) 도중생(度重生)’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만법을 통해서 도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통도사는 우리나라 불교사찰의 종가라고 부른다. 불지종가(佛之宗家)인 것이다. 통도사 경내에는 본사 외에도 12~13개의 암자가 있다. 이 암자 하나 하나의 크기도 어지간한 사찰의 규모에 해당한다. 대찰이다. 통도사는 한국에서 가장 큰 절이다. 억불정책의 조선시대에 통도사는 유자들로부터 집중적으로 견제를 받았다고 한다. 견제는 종이와 차를 왕실에 바치라는 공출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통도사 승려들이 종이 만들고, 찻잎 따서 차를 만들어 올리느라고 이루 말할 수 없는 고생을 했다고도 전한다.

통도사의 여러 암자 중의 하나인 자장암.

통도사의 여러 암자 중의 하나인 자장암.

5대 적멸보궁 중에 가장 접근이 쉬운 통도사는 일주문, 천왕문, 불이문 등 3개의 문을 차례로 통과하면 고풍스러운 절집들이 도열해서 맞는다. 적멸보궁은 불이문을 들어선 이후 가장 끝에 있다. 지붕 밑에 사방으로 현판이 걸려 있다. 이름은 다 다르다. 적멸보궁, 대웅전, 대방광전, 금강계단으로 적혀 있다. 이 중 금강계단이란 글씨는 흥선 대원군이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을 열면 역시 불상은 없다. 대신 수미단 뒤편으로 금강계단이 있다. 사리를 모신 곳이다. 승려가 되고자 하는 이들은 바로 이곳에서 승려의 계를 받는다. 불가에서 치르는 가장 중요한 의식이다.

통도사는 지금도 많은 보물을 간직하고 있다. 통도사 역사의 대부분은 사리신앙을 지키고 보존한 기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라의 자장율사가 사리를 봉안하면서 시작된 통도사의 역사는 지금 1,300여년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한국 불교의 산증인이라고 할 수 있다.

My name is Garden Park. First name Garden means.......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