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 사막·소금호수트레킹 ‘이색체험’… 山이 ‘원더링 아일랜드’로 보여
이란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건 어디서나 할 수 있는 트레킹이나 등산이 아니라 사막트레킹과 소금호 […] READ MORE>>
추사 김정희가 수선화를 보더니 “과연 천하의 큰 구경거리!”
‘한 점의 겨울이 송이송이 동그랗게 피어나더니 (一點冬心朶朶圓․일점동심타타원) 그윽하고 담담한 기 […] READ MORE>>
세계 최초의 제국 페르시아 대제국시대를 연 ‘세계문화유산’ 키루스대왕의 석묘
BC 6세기부터 AD 7세기까지 동쪽으로는 인도 서부지역까지, 서쪽으로는 그리스 동부까지 지배한 세 […] READ MORE>>
3,753년 전 개교한 세계 최초 종교 ‘조로아스터교’ 발상지 이란에 가보니…
조로아스터교는 세계 최초 종교로 알려져 있다. 교주 조로아스터에 대한 기록은 전혀 전해지는 바가 없 […] READ MORE>>
원숭이의 상징은?… 아는 것과 모르는 것
2016년은 병신년(丙申年) 원숭이띠의 해다. 병신년은 오행(五行)에서 붉은색을 상징한다. 그래서 […] READ MORE>>
2016년 운세는?… 국가적으로 혼란, 대통령 건강 안 좋을 수도
2014년 12월 풍수지리가이면서 역술인을 인터뷰하면서 ‘2015년 전망’을 얘기해 달라고 했다. […] READ MORE>>
‘토체의 산’ 남아공 테이블마운틴 트레킹… 현지 교수나 전문가 나와 설명키로
남아공 테이블마운틴과 희망봉으로 트레킹 간다. 테이블마운틴은 오행으로 ‘토체(土體)의 산’에 해당 […] READ MORE>>
한반도 일몰 가장 늦은 곳 진도 세방리… 일출 가장 빠른 곳은 금정산
한반도의 산에서 일출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산은 부산의 금정산 최고봉인 고당봉(801m)이다. […] READ MORE>>
산에 물이 왜 마를까?… 서울대 환경대학원 이도원 교수 ‘산이 낳는 물과 풍경’
우리나라 곳곳의 옛 우물들이 말라버린 곳을 확인할 수 있다. 전남 장흥 방촌리와 구례 운조루, 순천 […] READ MORE>>
부산은 일출(해운대)·일몰(다대포)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명소
2015년 을미년 양띠해가 서서히 저물고 있다. 언제나 이 맘 때면 그렇듯 한 해를 마무리한다고 부 […] READ MORE>>
백두대간 음기 넘치는 여근곡마을, 마을 초입 남근석 세워 음양 균형 맞춰
우리나라의 산천은 예로부터 풍수의 주요 대상이었다. 양택과 음택, 즉 현재 사는 사람이 편안하게 살 […] READ MORE>>
한국 산은 낮지만 경사는 높고 면적은 작지만 지질은 복잡한 특징… 서울대 박수진 교수 발표
한국의 지형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어떤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을까? 우리나라는 인접한 일본, 그리 […] READ MORE>>
우리나라 2종뿐인 제주 자생 무엽란… 상록광엽수림 밑에 자라 잎은 퇴화
제주도 한라산 자락의 한 사면. 조그만 계곡은 대낮인데도 빛도 거의 들어오지 않는 칠흑 같은 어둠이 […] READ MORE>>
‘지리산의 모든 것’ 책으로 담아… 세계유산 등재 일환 지금까지 총 40권
지리산권문화연구단에서 지리산과 관련한 성과물을 속속 내놓고 있다. 지난해 30권을 발간한데 이어 지 […] READ MORE>>
태백산, 22번째 국립공원 지정될까?… 지정면적 놓고 산림청과 갈등
22번째 국립공원이 연내 탄생할 수 있을까? 태백산 국립공원 지정을 놓고 찬반논란이 뜨겁다. 종래는 […] READ MORE>>
1설악산 천불동계곡 연상케 하는 지리산의 협곡 구룡폭포길
지리산둘레길에서 단풍과 계곡이 어울린 길이라면 단연 구룡폭포 지나는 길이 으뜸이다. 계곡 흐르는 물 […] READ MORE>>
백두대간 열두 번째 이야기… 택리지의 이중환이 ‘福地’라 칭했던 곳은?
백두대간에는 수많은 고갯길이 있다. 서민의 애환이 서려 있기도 하며, 주변 마을의 분위기를 따라서 […] READ MORE>>
최치원과 서산대사 자취 만나는 지리산옛길… 걷기 딱 좋아
지리산에서 이미 알려진 둘레길 외 사람들에게 별로 알려지지 않은 걷기 좋은 길이 어디 없을까? 등산 […] READ MORE>>
한국 자생종인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백부자!… 약용으로 남용 멸종위기종 Ⅱ급
야생화 이름도 희한하다. 백부자(白附子). 어떻게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이름은 다 그 식물의 특징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