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근대역사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33번지

20161214_135840[대구 근대역사관 전경]

대구근대역사관 건물은 1932년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으로
건립되었으며, 1954년부터 한국산업은행 대구지점으로 이용되었다.

2003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된
근대문화유산으로 르네상스 양식의 원형이 잘 남아 있다.

20161214_134439a[대구근대역사관]

대구광역시가 2008년 대구도시공사로부터 기증 받아
대구근대역사관으로 새롭게 꾸며 2011년 1월 문을 열었다.

지상 2층, 지하 1층의 박물관에는 근대대구의 모습과
선조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상설전시장
기획전시실, 체험실, 문화강좌실 등을 갖추고 있다.

국난의 위기 때마다 자발적인 구국의 정신을
실천하며 국ㅊ보상운동. 2.28학생운동을 주도한
대구 사람들의 진취적인 삶이 곧 ‘근대 대구 역사’이다.

20161214_134525[출입구에서 담은 전경]

20161228_165520a[근대역사관 내부 안내도]

20161214_134538a[조선식산은행]

조선식산은행은 일제 식민지 경제 정책에서
금융 지배를 담당했던 핵심기관이었으며 1918년
조선식산은행이 설립되자 경상농공은행이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으로 개편되었다.

이곳에는 당시 사용되었던 은행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20161214_134551[조선식산은행 내부]

20161214_134605[근대의 태동]

선조 34년(1601) 경상감영이 설치된 이후
경상도의 행정. 사법 군사중심지였으나, 일체침략이후
대구 도심은 일본인 중심의 상권으로 변모되었다.

전시 문안, 모형 영상을 통해 일제 내륙 침탈의
거점으로 변모된 뒤 근대도시로 나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161228_164432a[1900년대초 경상감영 모형]

20161214_134612[역사연표실]

20161214_134637[역사연표]

대구부로 개편된 대한제국부터 현재까지
대구의 역사를 시대별로 정리하여 시각 자료와
영상 자료로 설명하고 있다.

20161214_134651a[전시물]

20161214_134717[부영버스 영상체험실]

20161228_164504[부영버스 영상 체험실 안내글 내용]

20161228_164512[체험실 내부]

20161228_164532[체험실 내부 2]

20161214_134658

1970년 대구의 서상돈이 중심이 되어 시작한
국채보상운동과 1960년 4.19 민주 혁명의 기폭제가 되었던
2.28 학생 운동을 시각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시실 내부를 둘러보셔요.

20161214_134706a

20161214_134725

20161214_134739

20161214_134753

20161214_134759

20161214_134808

20161214_134817[근대의 문화]

대구의 근대미술, 음악, 문학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20161214_134827

20161214_134838[축음기]

가야금 명창인 최계란이 부른 ‘대구 아리랑’을 감상 할 수 있다.

20161214_134849[교육 도시 대구]

20161214_134905[人力車(인력거)]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을 태우고 사람이 끌던 수레.

20161214_134914[삶의 향기]

개항 이후 서구 문물의 수용과 더불어
지역민들의 삶에도 변화가 시작되었다.

시계, 라디오 등 새로운 생활품들이 들어와
달라진 일상을 보여주는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20161214_134922[근대화의 산실]

20161214_134928

20161214_134937

20161214_134948

20161214_135036[영화상영 안내글 내용]

대구근대역사관은 찰리채플린 감독의 작품으로
‘모던타임즈’를 상영한다는 안내포스트도 붙어 있네요.

그외에도 문화강좌도 하고 있다 합니다.

 

 

2 Comments

  1. 데레사

    2017년 1월 3일 at 8:15 오전

    인천이나 군산같은 항구도시에는 옛 일본
    은행들이 대부분 박물관으로 변해있던데
    대구도 그렇군요.
    아픔을 간직한 건물들이 또 근대의 문화유산으로
    남아서 좋던데요.
    뜯어버린 조선총독부나 경기도청 건물들이
    새삼 아까워요.

    • 초아

      2017년 1월 3일 at 11:06 오후

      아픔의 흔적이지만,
      이렇게 문화유산으로 변신해서
      우리에게 기쁨을 주기도 하네요.
      뜯어버리는 것만 능사가 아니란것을 배웠습니다.

Leave a Reply

응답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