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올해의 중견작가(김결수 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20180804_103621[대구문화예술회관 2층 제7전시실 앞쪽 전경]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는 한여름 녹음처럼 더욱 짙어지는
중견작가의 예술 세계를 느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전시는 누구보다 성실히 자신의 세계를 구축해온
작가가 자기 점검의 시간을 갖고 이다음을 전망하는 장입니다.

화단을 이끌어온 선후배님과 미술을 향유하는 여러 시민들을
초대하오니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 주시기 바랍니다.

(대구문화예술회 관장 최현묵 님의 글을 옮겨 적음)

20180804_103714[제7전시관 출입구]

2018 올해의 중견작가 김결수작가의
‘노동 & 효과(Labor & Effectiveness)’ 가변설치 작품을 소개합니다.

20180804_103746[김결수 _ Labor & Effectiveness (노동&효과) 설명 글 내용]

20180804_103702

어쩌면 미술은 미술 영역의 확장 혹은 과잉이라는 순환의 틈새에서
‘노동-효과’라는 오브제를 통해 엄연히 존재하는 백색 공간의 과도기적
장치가 주는 거리감과 그의 삶 언저리에서 발견한 물체를 상호 관계 지음으로써
갤러리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고리를 던져 놓은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20180804_103752

노동자의 노동과 질퍽한 삶의 애환을 담고 있는 얘기, 만들어지고
버려지는 폐자재의 대한 얘기, 물질문명에 의한 풍요로움 속에 정신적
빈곤으로 고달픈 삶에 대한 내용 등은 인간사 모든 일들을 집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희로애락의 점철로 만들어진다.(작가노트 중에서 옮겨 적음)

20180804_103840[Labor & Effectivenss / 244x611cm / 혼합재료 / 2018]

작가 김결수의 오브제들은 ‘세상으로부터 세상에 버려지고 던져진 것들’이다.
즉 그것은 발견된 오브제라고 하는 ‘被投(피투)의 존재들’로 그에 의해서
마치 신으로부터 被造(피조) 된 존재들처럼 존재의 주체로 간주된다.
김결수의 오브제란 대상(object)이 아닌 또 다른 주체(subject)처럼 간주되는 셈이다.(중략)

20180804_103851

칼집이 무수하게 각인되어 있는 한 포장마차로부터 발견된,
‘나무 도마’로부터 그는 긋의 원소유주가 일상처럼 벌였던 반복된
칼질의 흔적을 대면하면서 그 소유주의 삶을 읽고 그 오브제를 둘러싼
처연한 삶의 내러티브를 전해 듣는다.(중략)

20180804_103828

붉거나 푸른 조명 역시 그의 작품에서 제의성을 강화한다.

20180804_103810

방사형의 가지들을 펼친 서낭나무 혹은 서낭당처럼
설치된 구조물, 버닝 프로젝트에  출품한 커다란 새 둥지를 품은
제단과 같은 설치, 격자형 가설 철봉에 매달린 투과형 철제 육면체들이
그것들이다.(중략)

20180804_103918

달리 말해 그의 작품은
‘오브제의 내면을 재전유하는 지난한 육체적/정신적 노동’
으로부터 기인한다고 하겠다.

anigif[격자형 가설 철봉에 매달린 투과형 철제 육면체]

20180804_104040

20180804_104025

우리는 작가 김결수를 가히 此岸(차안)과 彼岸(피안)을 잇는
샤먼(shaman) 혹은 발견된 오브제로부터 만물 속에 잠자던 정령을
깨우는 ‘예술적 靈媒(영매)’라 부를 만하다.

아울러 그가 창출하는 작품들은 발견된 오브제를 만들어진
오브제로 변환하는 영매의 기술을 통해서 지금과 과거를 매개하고
‘사물로서가 아닌 또 다른 주체’로서의 오브제와 그것의
‘옛 존재’로서의 삶을 위무하는 현대의 제의적 진혼곡이라 할 만하다
(김성호 미술평론가 평 옮겨 적음)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