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작가’라는 직업이 사라지고 있다 - 김태훈 기자의 아침에 읽는 시
‘작가’라는 직업이 사라지고 있다

‘작가’(writer)라는 직업은 21세기가 끝날 때까지 버티지 못하고 사라질지 모릅니다. 취미생활이나 용돈벌이로 글을 쓰는 사람은 있겠지만 돈을 벌어 생계를 이어가는 수단으로서 글쓰기가 끝나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영국 저작권협회(ALCS)가 자국의 작가들을 대상으로 수입 실태를 조사한 뒤에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영국 언론들도 ‘글쓰기는 가난으로 들어가는 문일 뿐’, ‘직업으로서의 작가는 끝나’ 등 자극적인 표현을 동원해 작가들이 처한 어려움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ALCS가 영국 작가 250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 한 해 책을 팔아 얼마나 벌었는지 물었습니다. 조사결과, 영국 작가들의 중간소득(median income)은 1만1000파운드(약 1935만원)였습니다. 중간소득이란, 가장 많이 번 사람과 가장 적게 번 사람의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입니다. 평균소득으로 조사할 경우, 해리포터 시리즈를 쓴 조앤 롤링 한사람이 걷어들인 막대한 벌이가 소득 평균치를 끌어올려 대다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가난한 작가들의 상황이 왜곡돌 수 있습니다. 이같은 소득 수준은 최저생계비 수준을 훨씬 밑도는 수치입니다. 영국에서 최소생활기준 생계비는 1만6850파운드입니다.

해리포터 시리즈를 쓴 영국 소설가 조앤 롤링.  롤링은 작가들 사이에서 극소수 성공사례일 뿐이다. 영국에서도 대부분의 작가들이 최소생계비조차 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리포터 시리즈를 쓴 영국 소설가 조앤 롤링. 롤링은 작가들 사이에서 극소수 성공사례일 뿐이다. 영국에서도 대부분의 작가들이 최소생계비조차 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런 소득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난해 영국 작가들의 중간소득은 2005년도 조사때보다 29% 떨어진 수치입니다. 2005년 당시 영국 작가들의 중간소득은 1만2330파운드(약 2170만원)이었습니다. 그간의 물가인상을 감안하면 2005년에 현재가치로 2718만원을 번 셈이니 지금보다는 사정이 훨씬 나았던거지요.
작가들중에 오로지 글을 쓰는 것만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비율은 11.5%에 불과했습니다. 열에 아홉은 다른 돈벌이 수단을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2005년에는 절반 가까운 40%가 글쓰기만으로 생계를 이어간다고 대답했습니다.

작가의 수입이 줄어드는데는 인세 수입 감소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극소수의 스타 작가를 제외하면 제법 이름이 알려진 작가도 심각한 소득 감소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카네기메달 수상 경력이 있는 한 작가는 4년 전까지 6개월에 3만파운드(약 5270만원)씩 인세수입을 올렸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그의 인세 수입은 2005년도 수입의 10분의 1인 3000파운드였습니다. 그는 “책을 팔아서 얻는 수입이 극적으로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럼 무엇으로 먹고 살까요. 그는 틈틈히 써둔 교육 관련 책들에서 그나마 인세가 들어오고, 여기에 연금을 더해 살고 있습니다. 그는 유명작가이므로 선인세를 2만5000파운드 정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계약하고 선인세 받아 쓸 수도 없습니다. 그의 책이 요즘 팔리는 양을 따져볼 때, 선인세로 받은 돈 만큼 책을 팔려면 6년간 책을 팔아야 합니다. 6년 동안 팔린 책은 미리 당겨쓴 빚을 갚는데 써야 한다는 뜻이죠.

영화 매트릭스의 주인공들은 미래 세대 지식의 습득 방법이 혁명적으로 바뀔 수 있다고 상상한다. 이들은 책을 읽지 않고 단순히 머리에 잭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지식을 다운로드한다.

영화 매트릭스의 주인공들은 미래 세대 지식의 습득 방법이 혁명적으로 바뀔 수 있다고 상상한다. 이들은 책을 읽지 않고 단순히 머리에 잭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지식을 다운로드한다.

작가가 온전히 글로서 먹고 살 수 없다는 사실은 비단 작가들의 생활고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영국 가디언은 이같은 현상을 ‘예술작품으로서의 순문학이나 서사예술이 우리 눈앞에서 죽어가고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해리 포터 시리즈같은 이야기 산업을 육성하자는 말은 무책임하고 비현실적인 목표에 가깝습니다. 절대 다수의 작가들이 생존불가능한 수준의 인세 수입을 받는 상황에서 이야기 산업의 경제적 토대는 무너질 수 밖에 없기때문입니다. 가디언은 향후 작가층의 붕괴가 급속히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게다가 한때 책 판매를 견인하던 문학상 수상이나 비평가의 호평도 더는 약발도 먹히지 않고 있습니다. 작가들이 겪는 어려움은 영국만의 얘기가 아닙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문화예술인 실태조사를 보면 문학 종사자의 90% 이상이 월수 100만원 안되는 돈을 받고 창작을 하고 있습니다.

작가의 작품을 펴내는 출판사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아는 한 어린이책 출판사 사장은 2000년도 매출을 100으로 볼 때 현재 매출은 25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 책들을 파는 서점도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서울시내 한 대형서점은 서가를 점차 줄이고 그 자리에 문구나 외식 코너를 들이고 있습니다. 책과 글자를 바탕으로 해온 지식의 유통에 종말이 다가오고 있다는 생각까지 듭니다. 그렇다면 작가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긴 이야기를 암기해 노래로 들려주던 음유시인들이 구텐베르크의 활자 혁명 이후 사라졌듯, 어쩌면 작가들도 인터넷 시대가 초래한 지식유통의 혁명 속에 사라지고 말지 모르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