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선진우주개발국들보다40년가량늦은1990년대에본격적으로우주개발에뛰어들었다.
15년에불과한짧은기간에도한국의우주기술은기술자립화단계로나아가는등비약적인성과를이뤄가고있다.
한국의위성역사는1992년우리별1호에서시작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인공위성연구센터가1992년8월11일남미꾸르우주센터에서아리안4발사체에우리별1호(사진)를실어쏘아올렸다.
우리별1호를띄우면서한국은인공위성보유국가로등록됐다.
우리별1호는KAIST가영국서레이대학의기술을전수받아42kg급소형인공위성으로제작됐다.이후1993년에2호,1999년3호위성을자체개발하는성과를거뒀다.
정부는이를바탕으로1995년`국가우주개발중장기계획`수립을위한기획연구에착수,1996년4월`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이수립됐다.
이계획에따라우주개발은위성개발,발사체개발,연구개발과국제협력등체계적으로이뤄졌다.정부는우주개발의큰축인소형과학실험위성인과학기술위성1호개발에착수해2003년9월27일러시아의코스모스발사체로발사했다.
15년에불과한짧은기간에도한국의우주기술은기술자립화단계로나아가는등비약적인성과를이뤄가고있다.
한국의위성역사는1992년우리별1호에서시작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인공위성연구센터가1992년8월11일남미꾸르우주센터에서아리안4발사체에우리별1호(사진)를실어쏘아올렸다.
우리별1호를띄우면서한국은인공위성보유국가로등록됐다.
우리별1호는KAIST가영국서레이대학의기술을전수받아42kg급소형인공위성으로제작됐다.이후1993년에2호,1999년3호위성을자체개발하는성과를거뒀다.
정부는이를바탕으로1995년`국가우주개발중장기계획`수립을위한기획연구에착수,1996년4월`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이수립됐다.
이계획에따라우주개발은위성개발,발사체개발,연구개발과국제협력등체계적으로이뤄졌다.정부는우주개발의큰축인소형과학실험위성인과학기술위성1호개발에착수해2003년9월27일러시아의코스모스발사체로발사했다.
또1999년12월에는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미국TRW사와기술협력을통해최초의실용위성인470kg급다목적실용위성1호를미국반데버그공군기지에서발사했다.
다목적실용위성1호는고도685km에서임무기간3년을넘긴현재도계속운용되고있다.
2006년7월에는국내주도로개발된1m급고해상도지구관측위성인`다목적실용위성2호`를러시아플레세츠크발사장에서로콧발사체로발사했다.
2008년에는한국최초우주인(이소연박사)이탄생했고,그리고한국최초우주발사체나로호(KSLV-I)가과학기술위성2호를싣고발사된다.
한국은또다목적실용위성3호,다목적실용위성3A호,다목적실용위성5호및통신해양기상위성등을개발하고있다.<조선닷컴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