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영군(御營軍)이 된 삽살개 군대(軍隊)

 

조선 후기 들어 국가의 군대를 5개 군단(軍團) 즉, 오군영(五軍營)으로 나누어 제도화 했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설치된 훈련도감(訓鍊都監)과 후금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된 어영청(御營廳), 총융청(總戎廳), 수어청(守禦廳), 훗날 수도를 방위하기 위해 설치된 금위영(禁衛營)을 통칭 오군영이라고 했다.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은 한양도성(漢陽都城)을, 총융청은 북한산성(北漢山城), 수어청은 남한산성(南漢山城)을 방어했다.

 

오늘의 썰은 오군영 중 어영청에 대해 알아보자. 1623년 인조반정으로 국내 정세가 어수선하고 인조와 서인의 친명배금 정책으로 후금과의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자 한양의 중앙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후금에 대해 강경책을 표방한 서인 정권은 인조가 친정(親征)을 하여 군대를 이끌고 개성으로 나아갈 것을 계획하였다. 이러한 정책의 일면으로 개성유수에게 260여 명의 화포군(火砲軍)을 선별하여 훈련하게 했는데, 이것이 어영군의 시초다.

 

어영군은 새로운 편제 직후에 일어난 이괄의 난 당시 인조를 공주까지 호종했고, 정묘호란 직후에는 7천명으로 그 수가 크게 증강되어 5군영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된다. 이후 효종의 북벌계획에 의해 어영청은 크게 강화되어 그 규모가 3배 가까이 늘어난 2만 1천명의 부대가 된다.

 

이괄의 난 시기에 인조를 공주까지 호위한 공이 있고, 북벌의 총군영이라 급격히 성장하였으나 나중에는 한강이 얼기 시작하는 겨울철에만 충청 전라 경상의 군사들을 번상시켜 1000명을 채웠기 때문에 군기가 느슨해지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어영군이 처음에는 군기가 엄한 정예군이었으나, 조선 말기로 갈수록 군기가 문란해져 당나라 군대가 되어감에 따라 사람들은 ‘어영청 군대는 조또 아니다’라는 뜻으로 ‘어영비영(御營非營)’이라고 불렀고, 이후 발음의 편의상 어영부영으로 변화한 것이다. 오늘날 어영부영의 어원이 바로 이 어영청 군대에서 유래 했던 것이다.

 

[사설] 지금 한국군은 속으로 붕괴 상태에 있다.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1/02/24/NDSPBIFATBG4XAGVBHEJWH7FUM/

 

이정도면 삽살개 군대 하는 꼬라지가 정말 어영부영 하는 거 아닌가?

 

일설에 의하면 어영군이‘어영부영’ 하게 된 동기가 월급(양곡)이 제대로 안 나오자, 청장(廳長)에게 항의를 하자 청장은 그들에게 모래와 흙이 섞인 양곡을 무게로 쳐 지급을 했다는 설도 있다. 도대체 군대 복무할 의욕이 생기지 않았기에 의영부영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요즘 군대는 졸병에게도 월급을 상상도 못할 고액을 지급한다는데 중간에서 참모청장이나 국뻥장관이 다 잘라 먹나?

 

어째서 삽살개 군대는 요 모양 요 꼬라지로 어영부영 하는 건지….????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