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는 가지만 정말 용서가 안 된다.

이런 고사가 있다. 중국 송나라 구준전(寇准傳)에 보면 오귀(五鬼)라고 하는 간악한 권력자들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하나인 정위(丁謂)라는 구준의 똘마니가 있었다. 원래 구준과 정위는 송나라 진종(眞宗)때의 대신들이었다. 구준이 먼저 출세를 하여 고관의 위치에 있을 때 구준은 정위를 추천하여 함께 벼슬을 하였던 것이다.(과거 삽살개 정권이 자격이나 됨됨이 따위는 관계없이 저희 끼리끼리 추천하고 임용하는 것과 조금도 다르지 않은 듯….)

.

그런 인연으로 하여 정위는 구준을 지극히 공경하며 모셨다. 한 번은 모두들 관저에 모여 회식을 하고 있는데 국물을 떠먹던 구준이 국물을 자신의 수염에 흘렸다. 그때 반대편에 앉아 있던 정위가 그 모습을 보고 먹던 음식을 팽개치고 후다닥 달려와 구준의 수염을 닦아 주었다. 구준은 빙긋이 웃으며“정사에 참여하는 국가대신이 어떻게 장관의 수염을 닦을 수 있소?”라고 말하자, 정위는 전혀 개의치 않고 비굴한 웃음을 짓더라고 했다. 이때부터‘수염을 쓸고 말 엉덩이를 두드린다.“는 즉,’알랑방귀 뀐다.‘는 뜻의 유수박마(溜須拍馬)라는 고사성어가 널리 유행했다는 얘기가 있다. 이와 같이 간신들은 상사와 동료는 물론 심지어 부하에 대하여서도 소름끼칠 정도의 아부로 일관하여 다른 사람의 환심을 산다.

.

다들 아시는 얘기지만, 진의 시황제가 죽자, 환관 조고(趙高)는 거짓 조서를 꾸며 태자 부소(扶蘇)를 죽이고 어린 호해(胡亥)로 2세 황제를 삼았다. 조고는 이 호해를 이용하여 경쟁 관계에 있던 승상 이사(李斯)를 비롯한 많은 신하들을 죽이고 승상의 자리에 올라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그러자 역심이 생긴 조고가 자기를 반대하는 중신들을 가려내기 위해 사슴을 2세 황제에게 바치며“이것은 말 입니다.”2세 황제가 웃으며‘승상이 잘못 본 것이오. 사슴을 일러 말이라 하오?’라고 호해가 말을 마치고 좌우의 신하들을 둘러보자, 잠자코 있는 사람보다“그렇다.”고 긍정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며,“아니다.”고 부정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조고는 부정하는 사람들을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죄를 씌워 죽였다. 지록위마(指鹿爲馬)라는 고사성어를 만들어 낸 장면을 잠시 복기해 보았다.

.

생각해 보면 위의 두 고사 유수박마(溜須拍馬)나 지록위마(指鹿爲馬)나 간신 놈들이 벌이는 아부(阿附)와 아첨(阿諂)의 극치이고 전형이다.

.

민주당 복당 박지원 “지금은 이재명 대표 중심으로 싸울 때“

https://www.msn.com/ko-kr/news/other/

.AA164flK

인간이 살아가는 방법은 개개인이 다르고 또 그 차이가 천차만별일 것이다. 특출하게 정의롭지 않더라도 법이 정한 테두리에서 범위를 벗어나거나 말썽부리지 않고 사는 사람을 보통 사람이라고 한다. 그런데 보통 사람의 한계를 넘어 자신들만의 특유한 삶을 사는 사람들이 있다. 가령 위 고사의‘구준’이나‘정위’같은 인물도 가끔은 있는 것이다.

 

정치9단이라고 일컬어질 정도의 인물이면 세인으로부터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잠시 지역구에 소외된 자가 어느 날 갑자기 국가정보원장이라는 막중한 지위에 오를 때 삽살개를 향하여“충성을 다 하겠다.”다는 일성을 호기롭게 뱉어 낼 때만 하더라도‘저 놈이 국가에 충성한다’는 얘기를 잠시 헷갈렸나보다 했다. 그런데 지난 대선 때 취임도 하지 않은 윤석열 당선자에게 다시‘충성을 바치겠다.’는 귀신 씨 나락 까먹는 소리를 할 때는 낫살 처먹더니 망령이 났나했다.

 

그런데 이제 보니 망령이 난 게 아니다. 차라리 망령이라도 났더라면….그래도 저 자가 한 때 김대중의 내시부 중 가장 직급 높은 상선을 자처하던 자가 아니던가? 엊그제 가장 지근에서 모시던 김대중 보다 찢명이가 더 대단하다며 아부(阿附)를 떨더니만 쩌~거 아랫녘을 비롯한 떨거지들의 비난과 불만이 비등점을 넘자 그 다음 날로 취소하는 작태를 벌이더니 찢명이가 섭섭함을 표했는지 모르되”지금은 이재명 대표 중심으로 싸울 때“라고?

 

도대체 이 자의 말은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뭐.. 이해는 간다. 세상을 살아가며 두 눈 똑바로 뜨고 살아도 실수는 하고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 게 삶이다. 또 어떤 삶은 태생적으로 아부나 아첨(阿諂)을 떠는 인생도 있다. 이런 식으로 살아가는 게 외눈박이가 살아가는 방법이라면 애처롭고 이해는 가지만 정말 용서가 안 된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