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 비린내가 나는 식물

20180601_121311

동남아시아에 널리 퍼져 있는 식물이다.
식물 전체 줄기와 잎에서 물고기 비린내가 난다 하여
물고기 魚(어) 비릴 腥(성) 풀 草(초) ‘魚腥草(어성초)’
부르기도 하며, 약재로 쓴다.

본 분류 군이 속한 약모밀 속은 전 세계적으로 약모밀
한 종만 있고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만 자라는 식물이다.

20180601_121256

야생상에서 자라기는 하나, 본 분류군이 우리나라에
원래부터 자생하는 식물이 아니라 약초로 쓰기 위해 인위적으로
들여온 식물이 야생으로 퍼진 것이라 한다.

20180601_121259

이 식물이 우리나라에 건강식품으로 들어와 알려질 때
魚腥草(어성초)라는 이름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약모밀’이라는 진짜 이름보다 이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180601_121159

하지만 이 비릿한 냄새는 차를 끓이면 나지 않는다.
울릉도에서는 ‘약모밀’을 두고 ‘삼백초’라고 부르고 판매하지만
‘삼백초’라는 별도의 식물이 있으므로 이는 잘못된 것이라 한다.

20180601_121203

4장의 흰색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정확히 말하면 꽃잎이 아니고
식물의 ‘포’(꽃 밑에 달려 있는 조그마한 잎)라는 식물의 기관이다.
즉 ‘약모밀’은 꽃잎이 없는 식물이다.

그래서 곤충들을 유인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기관(포)을 흰색으로 만들어 곤충을 유혹하며, 종자를 만든다.

특히 ‘약모밀’은 벌이나 나비보다는 개미들이 좋아하며,
개미들이 식물체 줄기를 타고 올라가 꽃가루를 몸에 묻히면서
수정을 하는 그런 식물이라 한다.

20180601_121219

꽃말 : 기다림

20180601_121209

옛날 제주도에 있는 화산의 아들(火)과 바다 왕의
공주(水)가 서로 사랑을 해서 이들은 결혼을 약속했다.

그런데 한라산 산신인 할머니가 불(火)과 물(水)은
궁합이 맞지 않는다고 두 사람의 결혼을 전적으로 반대하였다.

그러나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서로 열렬히 사랑하여 결혼하여
아이를 출산하다가 잘못되어 그만 죽게 되었다.

이후 죽은 공주의 무덤에서 이름 모를 야생화가
피었는데 그 풀의 냄새를 맡아보니 물고기 냄새가 났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풀을 ‘어성초’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20180601_121221

생선 비린내가 나는 야생화, 이름이 그리 이쁘지는
않지만 척박하고 힘든 역경을 이겨내는 아주 강인한 식물이다.
야생화 중 강인함의 상징인 ‘질경이’와 견주어도 절대 뒤처지지 않는 그런 식물이다.

‘약모밀’은 볕이 잘 드는 집 한쪽에
심어 놓으면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아도 잘 자란다.

꽃도 보기 좋고, 무엇보다도 모기나 벌레가
달려들지 못하게 하므로 집 안에 들여도 좋다.
행여 벌레에 물리면 상비약처럼 잎을 따서 비벼 붙이면 효과가 있다.

끓이면 비린내가 나지 않는다 하니,
무더운 여름 날 시원한 차로 마시면 좋겠지요.

20180601_121224

식물학적으로 ‘약모밀’이란 이름은 메밀과 관련 없지만
잎의 모양새가 메밀을 닮았고 또 약으로 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약모밀’은 강인하다.
원자폭탄이 떨어진 자리, 즉 히로시마의 불모의 땅,
아무도 살지 않는 땅에서 맨 처음 식물의 잎을 피운 그런 식물이다.

얼마나 강인한 식물인지 알 것 같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식물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고
항암효과가 일반 식물의 4만 배에 가깝다는 보고도 있다.

그 밖에 여러 가지 병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항균, 항염, 면역력 증강뿐만 아니라 특히, 아토피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어성초 비누, 어성초 샴푸, 어성초 화장품들이 시중에 나와 팔리고 있다.

또한 ‘약모밀’은 돼지나 닭들에게는 항생제 역할을
하므로 돼지나 닭 우리 주변에 심어 놓으면 좋다고 한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