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잘 쇠셨나요

anigif

엊저녁 10시 ‘당밤음’ 오프닝으로  바가루나~~로 시작하는
‘방황하는 은빛달..’이 흘렀고
오늘 아침 차례 중에도 흐르데요-  파바로티 목소리로…
전 레나타 테발디를  좋아해서…

마리아 칼라스랑 동 시대 살던 소프라노였는데
얼마나 스트레스가 많았을까…싶어서요
물론 칼라스도 좋아합니다만
이 곡만큼은 테발디를 좋아했습니다

그나저나 참 힘드네요
저도 내년부터는 황교익씨 의견
생각해볼까합니다
좀 길지만 한 번 읽어보셨으면 하고요…

울 현지니 절 하는 거 배운 후
차례상에 술 일잔도 올렸답니다

근데 오늘 저녁 달 뜰까요

황교익 “추석은 달빛 좋아 쉬고 즐기는 날”

등록 : 2016.09.14 04:40
수정 : 2016.09.14 04:40

“추수감사절과 혼동해 풍성한 음식 집착” 김명자 교수 “경상도 일부 추석 안 지내”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씨는 “추석은 본래 달 밝고 날씨 좋아 즐기는 날”이라며 “정부가 어떤 차례상을 차리라고 은연 중에 강요하는 품목 및 물가자료 발표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일년 중 가장 하늘이 높고 아름답고 휘영청 달이 밝은 날, 평소 닫았던 북문까지 열어 젖혀 놀고 즐기고 축제를 벌이는 게 추석이잖아요.

유교 국가도 아닌데 조선시대 차례 음식을 하느라, 특히 여성들만 고생을 한다는 건 아무래도 이상한 풍경이죠.”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씨는 최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추석 명절의 원래 취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농경 사회에서 밤이 도깨비의 시간, 귀신의 시간이었다면 하늘이 높고 맑고 보름달이 뜬 추석은 밤에도 대낮처럼 길이 밝은 몇 안 되는 날 아니냐”며 “밤에는 돌아다닐 수도 없고, 문 밖에는 출입도 못했던 여성들을 오히려 해방하는 날에 가깝다”고 덧붙였다.

언제부터인가 추석은 하루 종일 전을 부치며 맡는 기름 냄새, 상 다리가 휘어지는 차례상, 해도 해도 화수분처럼 늘어나는 설거지 등의 풍경으로 기억되지만, 정작 전문가들은 이는 추수를 앞두고 성큼 다가온 가을 밤을 즐기던 원래 추석의 연원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한다. 추석 명절은 본래 차례를 위한 노동의 주간이 아니라 추수를 예비하고 청량한 가을 날을 즐기기 위한 휴식과 놀이의 주간이라는 것이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한복을 곱게 차려 입고 서울 중구 필동 남산골 한옥마을을 찾은 한 가족이 널뛰기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추석은 추수감사절인가

추석에 마땅히 풍요로운 음식을 즐겨야 한다는 생각은 이 날을 한국식 ‘추수감사절’로 여기는 정서와 맥을 같이 한다. 하지만 적잖은 전문가들은 ‘추석=추수감사절’이라는 인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황교익씨는 “추석에 추수감사절 성격이 있다고 보는 주장의 근거는 ‘우리가 북쪽에서 온 민족이라 과거에는 음력 8월쯤 추수를 했다’는 것”이라며 “반대로 북방의 한 풍습을 문화로 흡수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고 했다. 이어 “부여 등 우리 고대 부족국가 풍습을 보면 추석엔 놀이를 즐기고, 추수감사절 성격의 행사는 10월 상달고사 등이 따로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실제 우리 땅에서 음력 8월 보름에 수확할 수 있는 햇곡식, 과일은 오늘날의 차례상에 주로 오르는 것들과는 차이가 있다”며 “사과와 배만 해도 정부에서 매년 ‘추석 출하 및 물가 자료’ 등을 발표하면서 ‘꼭 이런걸 차례상에 올려야 한다’는 것을 은연 중에 강제해서 그렇지 제철이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의 견해도 비슷하다. 민속학계 원로인 김명자 안동대 명예교수는 최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추석은 수확의 준비 기간이자 그 동안 농사를 잘 하게 된 것에 기뻐하는 농공감사일(農功感謝日)로 풍요를 예축했던 명절”이라며 “쌀 중에서도 이른 쌀 즉 ‘올벼’만이 일부 수확돼 이 쌀로 빚은 송편을 ‘오려송편’이라고 불렀다”고 말했다. 올벼는 일찍 수확 가능한 벼로, 이 첫 나락을 베어 조상께 올리는 일은 ‘올베심리’라고 했다. 김 교수는 국립민속박물관이 편찬한 ‘한국세시풍속사전’의 집필자다.

충남 당진군의 한 비닐하우스에서 농민들이 올벼를 수확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1월 올벼를 모내기해 116일만의 결실을 봤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한국세시풍속사전’은 추석(秋夕)을 글자 그대로 ‘가을 저녁’, 나아가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라고 정의한다. 중국에서는 추석 무렵을 중추(中秋), 월석(月夕) 등으로 불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중엽 이후 중추나 월석을 축약해 추석이라고 불렀다는 설이 있다. 풍속사전에 따르면 추석의 유래에 대한 정확한 문헌자료는 없지만 “8월 15일 왕이 풍류를 베풀고 활을 잘 쏜 자에게 상을 준다”(당나라 역사서 수서 동이전 신라조) “8월 보름날이면 크게 잔치를 베풀고 관리들이 모여 활을 쏜다”(송나라 역사서 구당서 동이전 신라조)는 기록이 있다.

김명자 교수는 “요즘은 농업 기술이 발달했지만 경북 북부 등 일부 지역에선 추석 무렵이 아예 올벼도 나오기 전”이라며 “가령 예천, 안동 등의 고령층에서는 어릴 때 추석 명절을 지낸 기억이 전혀 없다는 분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사회에 들어선 뒤 도시 노동자들에게 각별할 수 밖에 없는 ‘공식 휴일’로 지정되면서야 전국적인 추석 차례 문화가 공고해졌다는 것이다.

한국세시풍속사전에 따르면 추석(秋夕)은 ‘가을 저녁’,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라는 뜻이다. 예부터 왕들은 날 좋고 달빛 밝은 음력 8월 보름에 잔치를 베풀었다. 게티이미지 뱅크

 

길 밝히는 달빛 함께 즐기는 날

추수를 끝낸 뒤 치르는 서양의 추수감사절과 우리 추석을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보니, 심지어 몇 해 전에는 “본격 수확 전이라 농산물이 비싸고 차례상 차림이 부담되니 추석을 늦추자”는 주장도 나왔다. 2013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열었던 ‘쉬는 날 개선 방안 세미나’에서도 추석을 늦춰 양력으로 하자는 방안이 제기됐었다.

그러나 당시 세미나에 참석했던 김명자 교수는 반대의견을 냈다. 그는 “우리의 명절이라는 것 자체가 생활과 계절의 마디로 쉬어가는 시점이고 특히 정월 대보름은 농사를 앞둔 농한기, 추석은 추수를 앞둔 농한기였다”며 “꼭 어떤 상을 차려야 하는지에 맞춰 날짜까지 바꾸는 건 어색하다”고 했다. 굳이 추수감사절에 해당하는 날을 찾는다면 우리에겐 음력 10월 상달고사, 천신제, 가을고사가 있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산업사회 이후로는 가족들이 바쁘게 일하며 뿔뿔이 헤어져 지내니까, 공식 휴일로 지정된 추석 즈음에나 얼굴을 보잖아요. 그래서 추석이 더 각별해진 것 같아요. 그러니 차례상이든 뭐든 너무 예전의 기준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 자체는 큰 의미가 없죠. 미국식 추수감사절에 끼워 맞추려고 하기보다는 명절이라는 쉬어가는 마디에서 나름의 정성으로 차례를 지내거나, 각자의 방법으로 쉬며 즐기며 삶의 의미를 돌아보는 게 본래 취지에 맞지 않을까 싶어요.”

 

김명자 안동대 명예교수는 “추석 명절의 의미가 산업사회에 와서 오히려 커진 점을 생각하면 꼭 전통에 맞춰 차례상이나 문화가 이래야 한다는 옛 기준을 강요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추수를 예비하는 마음으로 쉬고 즐겨야 할 시점에 미리 ‘요란한 차례상’을 차려 대는 현재의 추석 문화가 ‘부엌노동자’들만을 힘겹게 하는 것은 아니다. 황교익씨는 이런 문화가 사과, 배 등 과수의 조기 출하를 부추기고, 장기적으로 농촌에도 손해를 입힌다고 본다.

“우리 배는 저장성이 좋은 신고배가 대부분인데 이 무렵이면 아직 신고가 많이 안 익죠. 어떤 것은 익은 것처럼 보이려고 지베렐린(생장촉진제) 처리도 해요. 세포를 뻥튀기 해서 크게 만드는 거죠. 그러니 사실 맛 없는 경우도 많아요. 사과도 반사판을 달아 빨갛게 익은 것처럼 색만 붉히기도 해요. 제수용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죠.”

소비자들이 제수용으로 급히 익힌 과일만 접하다 보면 맛이 없다는 인식을 가져 평소에는 이들 과일을 덜 사게 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전체 농가를 위해서도 정부에서 꼭 추석을 앞두고 어떤 특정한 농산품만을 사야 한다고 은연 중에 권장하는 추석 품목 물가 자료를 내선 안 된다”며 “국가가 불교식 상차림법을 발표하는 일은 없지 않냐”고 반문했다.

황교익씨가 생각하는 추석의 본질은 “달빛 축제”다. “사실 부모님 세대만 해도 유교 문화를 그대로 배운 세대이고,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는 공부나 여유도 없었죠. 하지만 이제 그런 관습들을 버려야 할 때가 된 것 같아요. 조선에서 어떻게 했건 도대체 무슨 상관이겠어요. 이제 민주공화정 시민답게 살아야죠. 달빛도 즐기고 모두가 신나게 쉴 수 있는 명절이 됐으면 해요.”

김혜영 기자 shine@hankookilbo.com


출처
<—

6 Comments

  1. 데레사

    15/09/2016 at 20:14

    잘 읽었습니다. 그라고 대찬성입니다.
    초간단 차례를 지내고 나니 찜찜했었는데
    마음이 편안합니다.
    고마워요.

    • 참나무.

      15/09/2016 at 20:54

      동지가 계셔서 든든합니다
      우리가 해왔던 일들 요즘 사람들이
      우리代 처럼 해낼 리도 만무하고
      또 며느리에게 물러주기도 싫고

      정말이지 내년부터는 우리집도 변동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연휴 전날 같은 동 젊은 부부 골프채 싣고있는 거 보고
      제 아이들도 그랬으면~~했답니다.

  2. cecilia

    16/09/2016 at 03:55

    추석 명절 잘 지내셨죠? 참나무님, 인사가 늦었습니다. 아침녘에 한국에 전화 통화 하느라고 인터넷에 들어올 틈이 없었네요.

    • 참나무.

      16/09/2016 at 06:23

      파리소식들 잘 보고있어요
      추석인사까지 주시다니 고맙습니다.
      어제는 파김치가 되어 일찍 자버렸네요
      *
      답방 드릴까 하고 아이디 클릭하니
      아직 링크가 안되어있네요
      위블 메인에 뜨지않으면
      이런 경우 찾아갈 수 없어 안타깝지요

  3. 벤자민

    16/09/2016 at 23:44

    추석 잘 보내시고 계십니까
    전 어제 중공제 송편 하나 얻어먹고
    수영장에서 놀앗습니다^^
    난 언제 참나무님 같이 버트플라이를 좀 할까하고^^

    오늘은 쏘빵?ㅋ 곡을 하나 연습 하는데
    옛날 조불 식구 한 분이 연락이 왔어요
    유배지에서 송편이라도 하나 얻어먹었냐고?
    그러곤 엘메나 흥분 하시는지ㅋ
    협압약이나 드시고 그러시냐고? 했죠^^
    조불 때문에 사람 쓰러지시겠다고 ㅋㅋ

    여기 베트남과 중국 코미니티는
    MOON FESTIVAL 이라는 간판?으로
    그래도 잘 노는데 우린 조용 합니다
    날씨가 흐려 달도 안뜨고
    오페라하우스는 폭팔시킨다고 공갈을 쳐서
    바람쒸러 나가지도 못하고..
    유배지의 추석은 쓸쓸하기만 합니다^^
    거기다 위의 쟤는 누구에요?
    혓바닥 내밀며 약이나 올리고 ㅋㅋ
    아무튼^^ 음악 잘 듣고 갑니다

    • 참나무.

      17/09/2016 at 07:19

      MOON FESTIVAL 본문의 취지랑 딱 맞아떨어지네요
      그곳 중국인들 추석즈음 월병(月餠)을 만들진 않던가요?
      우리나라도 어제 그제 달도 못보고 지금은 비가옵니다
      어쨋거나 송편도 드셨고

      오페라하우스 폭파 공갈은 겁나는데요
      전 어제 영화 한 편보고왔습니다
      연휴라 수영장도 휴일이라…
      요즘 가을노래 특집이라
      달에관한 노래도 많이 나옵디다
      그나저나 쇼팡을 치신다니 부럽네요
      사진도 배우시고…은근 학구파^^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