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잘알것같기도하면서

잘모르는것.

멀리있는,

나하고는아무런관계가없는듯하지만,

어느때,

골육에사무친그리움으로다가오는것.

아침밥상머리.

간밤의헝클어진생각들은그대로다.

허기?

좀유치찬란하지않은가하는생각이들때,

눈에들어오는한편의詩,

가슴을때린다.

삶은유치하지만그래도찬란하다.

문득커밍아웃이하고싶은아침,

그리고이한편의詩…

바구니속의계란-최영숙(1960-2003)

나는아름다운장기수
탈출을꿈꾸지
결혼해일년반,임신육개월의배를끌어안고서
주위를둘러싼소리없는장막
저찬란한가을햇살을찢고달아나는탈출을꿈꾸지

꿈꾸는성
꿈꾸는태아
문지방에기대앉아대문밖을보노라면
나가자고,자꾸만머얼리저어가자고
뱃속의태아가툭툭발을차네
소싯적내젊은어머니,가을마당햇빛속에물끄러미서계시네

나는치밀한탈옥수
냉정을가장하네
뒷덜미를끄는햇살,파도를밀고나가면어디가될까
갈대방석위에양팔벌리고누워두웅-둥
나누더기되어난바다로떠내려가네
파란하늘파아란구름힘껏들이마시며
뱃속의아이에게들릴만큼놀랄만큼
소리질러야지
“계란사시오,계란사시오오-”

깨지는건순간이야
앞뒤구멍내서날계란후루룩마실때의
비릿한뒷맛
손에서미끄러지면끝장인껍질
삶의껍질을끝까지벗겨본적있던가
바구니속의계란삼십개
고이들고온이것이인생의황금기였나
미끈,바닥으로떨어뜨리면
한꺼번에계란프라이해먹어도좋을
잘달구어진가을햇살,햇살

-최영숙유고시집’모든여자의이름은’중에서

“만두처럼빚어져순해지리라”최영숙유고시집‘모든여자의이름은’ |기사입력2006-11-0515:49|최종수정2006-11-0515:49

“이제내게허락된시공간을받아들여야할때가된것같다. 미리써보는이후기가수정되길바라면서두번째시집은내손으로엮기를바랐으나, 남은시간이그리많지않다,한다. 살아,많은게슬펐지만또한기쁘고아름다웠다. 사랑하는이들이여,이제는안녕.”

시집뒤에붙어있는‘미리쓰는후기’가아리다.

2001년심장병에더해루프스진단을받고투병하다 2003년10월29일합병증으로43세의생을마감한최영숙(1960∼2003)시인. 3주기에맞춰출간된유고시집‘모든여자의이름은’(창비)은 자신의몸에차오른죽음을어디든지데리고다녔던동행(同行)의기록이다. 죽음과의동행이라고했지만,죽음에이르게하는병에대한기록은그고통으로인해과잉되게마련인데 최영숙의시가뛰어난지점은그과잉을절제하면서삶과생활을다독이고있다는데있다.

그중에서도좁은분식집의고요한풍경을그린‘옛날손만두집’은만두집여자의손에서

만두가빚어지고김이펄펄나는솥에서익어가는과정을통해탄생과죽음의문제를직관하는수작으로꼽을만하다. “어쩐지말이없는그녀는내가김밥을다먹도록하나하나만두를빚어나가는것이, 저먼누이나오라비쯤되어안보는듯나를본다는것을알고있기에, 나또한암말않고부어주는오뎅국물을마시며나의오랜出이여기서끝나주었으면하였고”

만두집여자와시적화자‘나’는서로를슬쩍슬쩍보기만할뿐아무말이없다.

여자는“둥글고얇아진만두피를손바닥에올려놓고꾹꾹소를눌러넣고” ‘나’는그때마다김밥을하나씩먹는다.시는이렇게종결된다. “솥단지안에얌전히들어앉은만두꽃이꿈인듯만개한지라,이마가뜨거운만두를집어내고 다시새만두를올려놓으니,내가그녀의손안에서빚어졌을때 다만만두로서순해져서는//가리라,저화엄의거리로지금난익어가는중이니”

죽음을목전에두고‘익어가는중’이라고쓴의미전환방식이야말로

처연한부활의지앞에죽음의무릎을꿇게하는득의의경지가아닐수없다. 죽음은최영숙의몸을관통해시가되었다.삶은때로죽음에의해견인되기도하는것이다. 재활용품을수집하는할머니에게한끼아침식사를차려준시인은 자신에게‘애기엄마,복받으시우’라는말을남기고간할머니를떠올리며이렇게읊조린다. “꽃같은시절,달랑신랑사진한장들고찾아간시집살이부터 /씨앗보고집나와서울공장으로다시시골로, /아들낳아지금은며느리와함께산다는전설같은이야기”(‘마지막식사’일부). 이렇듯시에등장하는것은할머니어머니딸며느리수양어머니아줌마소녀로호명할수있는세상의모든여성이다.

정철훈전문기자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