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산161-1
[사빈서원에서 담은 묘소 전경]
[도로에서 담은 묘소 전경]
사빈서원을 둘러 본 후 저 멀리 선명하게 보이는 묘소를
찾아 출발하였지만, 어디로 해서 가는지 들어가는 입구를 찾지 못해
내려갔다 올랐다는 반복.
[도로에서 줌으로 당겨 담은 묘소 전경]
도로에서 줌으로 당겨 담은 묘소 전경 2]
결국 입구를 못 찾아 돌아와야 하는가 하고
도로에서 줌으로 당겨 묘소를 담아 되돌아 오려다
드디어 입구를 찾았다.
[도로변 표시석]
약봉 김선생 묘소 입구 표시석이
어찌나 반가운지 그리운 임을 만난듯 가슴이 두근두근..^^
[표시석 옆으로 난 묘소 가는 길]
무조건 올랐지요.
묘소를 향해~
[묘소 아래쪽에서 담은 전경]
金克一(김극일, 1522~1585)
자 伯純(백순), 호 藥峯(약봉), 본관 安東(안동)
父(부) 靑溪(청계) 金璡(김진), 母(모) 驪興閔氏(여흥민씨)
李滉(이황)의 문인이다.
[묘 아래쪽에서 담은 전경]
金璡(김진)의 다섯 아들 중 장자로 동생 金守一(김수일),
金明一(김명일), 金誠一(김성일), 金復一(김복일)과 함께
‘金氏五龍(김씨오룡)’으로 불렸다.
[우측 문인석과 망두석]
가학으로 글공부를 하다가 20세 무렵 아우 김명일,
김성일과 함께 退溪(퇴계) 李滉(이황)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뛰어난 재질과 함께 풍채와 언변을 두루 갖추었으며
학문에 대한 열성이 돋보여 일찍부터 주위의 주목을 받았다.
[좌측 문인석과 망두석]
사마시를 거쳐 27세 때인 명종 1년(1546) 과거에 급제하여
교서관정자를 시작으로 벼슬을 시작하여 사헌부 감찰, 형조정랑,
예조정랑, 성균관사성 등 내직과 홍원현감, 淸洪道都事(청홍도도사),
경상도도사 등의 외직을 지냈다.
[좌측에서 담은 묘소]
성주목사 시절 ‘啓蒙翼傳(계몽익전)’을
간행해 스승 李滉(이황)으로부터 격려를 받기도 하였다.
[우측에서 담은 묘소]
그는 주로 지방관을 역임했고, 효성이 매우 지극하였다.
문장은 고결하고 蒼古(창고)해 한 글자도 진부한 말이 없었다고 한다.
더욱이 시에 뛰어나 시인으로서 명성이 높았다.
시는 매우 정교했고 사실을 인용함에 비유함이 간절하였다.
[구 묘비]
[비문]
[신 묘비]
[묘소에서 담은 사빈서원 전경]
혹 사빈서원을 들려보시지 않으셨다면 요기 클릭 하시면 됩니다.
[묘뒤에서 담은 안산 ]
선조 13년(1580) 부모의 상을 당하여 3년상을 치룬 후
정3품 內資寺正(내자시정)으로 복귀하고 사헌부장령을
잠깐 지냈으나 당쟁이 격렬해짐에 따라 1583년 관직에서 물러났다.
2년 뒤 세상을 떠났다.
[묘 뒤에서 담은 안산 전경 2]
저서로는 ‘藥峰逸稿(약봉일고)’ 가 있다.
묘소 아래 도로와 사빈서원 전경]
숙종 11년(1685) 김진과 다섯 형제의 유덕을 추모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泗濱書院(사빈서원)이 세워지면서 배향되었다.
데레사
2016년 6월 14일 at 8:47 오전
묘소가 잘 관리되고 있네요.
옛날에는 저렇게 높은 곳에다 묘를 쓰고도 자주 찾아갔으니
지금과는 비교도 안되는 효심들이지요.
초아님 덕에 나도 안동박사 다 돼 갑니다. ㅎ
초아
2016년 6월 14일 at 8:56 오전
그랬지요.
예전엔 명당이라하면 깊은 산속
몫좋은 곳이었지만, 요즘의 명당은
좌청룡 우백호가 아니라
좌버스 우택시라고해서 교통이 좋은 곳이라 하네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