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인각사 표석비 전경]
[인각사지 안내판 글 내용]
[인각사지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인각사 극락전 전경]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銀海寺(은해사)의 말사이다.
선덕여왕 12년(643)에 元曉(원효)가 창건하였다.
[일연선사 생애관 전경]
[인각사지 발굴한 유물 전경]
절의 입구에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는데,
俗傳(속전)에 기린이 뿔을 이 바위에 얹었다고 하여
절 이름을 麟角寺(인각사)라 하였다 한다.
[인각사지 발굴한 유물]
이 유물들이 고증에 의해 다시 세워져서 완전한
옛 모습을 갖춘 인각사로 재 조명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각사 극락전 전경]
그 뒤 충렬왕 33년(1307)에 一然(일연)이 중창하고
이곳에서 ‘三國遺事(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복원중인 문화재와 극락전 전경]
당시 이 절은 크고 높은 본당을 중심으로 하여
그 앞에 탑, 좌측에는 회랑, 우측에는 以善堂(이선당) 등이
있었고, 본당 뒤에 無無堂(무무당)이 있었다 한다.
[줌으로 당겨 담아 본 복원중인 문화재]
[삼층석탑과 극락전 전경]
[인각사 삼층석탑 안내 글 내용]
[極樂殿(극락전) 현판]
[삼층석탑과 극락전 전경]
조선조 숭유억불 정책과 잇따른 전란으로 퇴락해
한때 폐사의 위기에까지 몰렸으나 조선 인조 때 중건되고
숙종 3년에 현재의 極樂殿(극락전)이 중수됐다.
[三層石塔(삼층석탑) 경북문화재자료 제427호]
그 후 오랜 세월과 기후의 풍파에 의해
소종한 문화유산인 극락전이 퇴락되고, 노후해
문화재 전문가의 수차례 자문과 고증을 거쳐
極樂殿(극락전)을 해체보수 하여 오늘이 이르렀다.
[극락전에서 담은 삼층석탑]
예전에 이 탑은 기단부가 땅속에 묻힌 채 탑신부와 상륜부만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한동안 이곳에서 볼 수 없다가, 최근에 제대로 모습을 갖춰 다시 세웠다 합니다.
[극락전에서 담은 삼층석탑과 앞 전경]
탑은 2층 기단에 3층 탑신부로 되어 있다.
보기 드물게 상륜부가 남아 있습니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의 돌로 되어 있습니다.
몸돌에는 면석에 모서리기둥이 새겨져 있으며,
층급받침은 4단입니다.
상륜부에는 노반, 복발, 앙화 등이 차례로 놓여 있고,
맨 꼭대기에는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물이 놓여 있다.
[극락전 내부]
마침 인각사에 신도가 들렸기에 열린 극락전
옆문으로 들어가 내부 모습을 담아 소개해 봅니다.
[좌측 전경]
[우측 전경]
[角寺普覺國師塔─碑(인각사보각국사탑 및 비) 전경]
복원중이라 울타리를 쳐 놓아 안으로 들어갈 수 없어서
울타리밖에서 줌으로 당겨 담았더니, 사진이 흐려보이네요.
[角寺普覺國師塔─碑(인각사보각국사탑 및 비) ]
뒤쪽으로 옮겨 담은 사진은 울타리 밖에서 담았지만, 선명해 보여서 좋다.
인각사보각국사비는 삼국유사를 편찬한
보각국사 일연(1206~1289)스님의 일대기를 상세하게
기록한 비로 고려 충렬왕 21년(1259)에 문인 청분에 의해 세워졌다.
비문은 왕명을 받들어 당시의 문장가인 민지가
지었으며 왕희지의 글씨를 집자하여 만들었다.
이 비는 왕희지 글씨 때문에 중국에까지도 알려져 있었고,
우리나라를 방문한 중국 사신이 인각사비의 탁본 떠가기도 했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임진왜란 때 크게 훼손되고
그 후에도 무절제한 탁본으로 비가 마멸되기에 이르러
현재는 비의 일부 조각만이 남아 있다.
[울타리 밖에서 담은 보각국사비와 문화재]
[普覺國師塔(보각국사탑) 군위 보물문화재 제428호]
충렬왕 21년(1295)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이 탑은 普覺國師(보각국사) 一然(일연, 1206~1289) 스님의 부도라 합니다.
지금은 경내에 있지만, 부도는 원래 절에서 2km쯤
떨어진 속칭 둥딩마을 뒷산 부도골에 있었다 합니다.
구한말에는 사리를 훔쳐가려는 일본인이 무너뜨리기도 했다합니다.
부도는 이후 고로면사무소로 옮졌다가 1962년
인각사 부근 도로로, 그 뒤 다시 경내로 옮겨졌다 합니다.
[보각국사 비 쪽에서 담은 극락전 과 삼층 석탑 종무소 전경]
[인각사종무소 현판]
[인각사종무소 전경]
[弌然學硏究所(일연학연구소) 현판]
[弌然學硏究所(일연학연구소) 전경)]
김부식의 ‘三國史記(삼국사기)’와 더불어 한국 고대사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손꼽히는 ‘三國遺事(삼국유사)’를 저술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조명할 가치가 있는 인물이지만, 정작 그 자신에 관해서는
제대로 알려진 바가 없다.
데레사
2017년 12월 7일 at 8:02 오전
일연이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집필 하셨군요.
유서깊은 사찰이 보존이 잘 안되어서
안타깝습니다.
초아
2017년 12월 7일 at 7:02 오후
예, 아주 오래전에 다녀왔지만,
그땐 복구가 되기 전이라.. 완성된줄 알고
갔더니, 아직도 복구하려면 멀었드라구요.
너무 추워서 달달떨면서도
사진찍을 욕심에 괜찮다 괜찮아 하면서 다녔지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