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1020
[산수정으로 오르는 오르막길]
영천 梅山古宅(매산고택)에서 선원천 계곡을 따라 약 300m
더 올라가면 북쪽 암벽 경사진 산기슭에 山水亭(산수정)이 자리한다
[오르막 입구쪽에서 담은 山水亭(산수정) 전경]
梅山(매산) 鄭重器(정중기)선생이 1751년 짓기 시작하여 1752년 완성하였다.
[山水亭(산수정) 전경]
山水亭(산수정)은 암벽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정자로 좌우 양쪽 칸에 온돌방을
만들어 별당처럼 지었다.
[山水亭(산수정)]
이 세 칸에 각각에 이름을 붙여, 한 가운데 堂(당)의 이름을
山水亭(산수정), 우측은 智及齊(지급제), 좌측은 仁守齋(인수재) 라
하였는데, 유가에서 그 뜻을 가져왔다 한다.
[山水亭(산수정) 梅谷精舍(매곡정사) 전경]
정면 3칸, 측면 1칸 반 크기의 팔작집으로,
전면부는 단층, 배면부는 중층인 누각으로 계곡 쪽으로
교각을 세워 매우 정교하게 지어졌다.
전면에 반 칸 툇마루를 두고 가운데 마루 좌우에
온돌방을 들였으며 퇴칸의 3면에는 좁은 마루로 돌렸다.
[산수정 앞쪽 梅谷精舍(매곡정사) 현판]
[山水亭(산수정) 현판]
[山水亭(산수정)]
31세 때 사마시에 합격하나 34세 때 모친이 별세하고 이듬해
부친마저 세상을 하직하고 마는 불운을 겪으나 이에 굴하지 아니하고
관직에는 뜻을 두지 않고 오직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재주가 아깝다는 주변의 권유에 못 이겨 43세에 대과에 응시
급제하여 승정원 부정자, 예조정랑, 사간원 지평 등을 거쳤다.
충청도 결성고을 현감 시절에는 향약을 반포하여 풍속을 진작시켰는데
한번은 고을 재판이 있을 때 方伯(방백)이 한쪽으로 치우친 결판을 내려서
그 부당함을 상부에 올렸다.
이에 방백(관찰사)이 이를 무마하기위해 만나서
의논하자고 하였으나 미련 없이 뿌리치고 사표를 제출 한다.
그가 사직하고 돌아오는 행차 안의 낡은 상자 속에 오직 몇 부의
도서만 남아 있었으며 관복마저 반납하니 모두가 감탄해 마지않았다 한다.
[山水亭(산수정)]
귀향길에 공주 동천을 지나치면서 읊은 詩(시) 한수는
解綏西城匹馬歸(해수서성 필마귀)
서성에서 해임되어 필마로 돌아드니
秋風簫瑟吹衣(추풍소슬 취의금)
소슬한 추풍만이 부질없이 옷깃에 불어오네
斜陽偶入江郊路(사양우입 강교로)
석양에 우연히 강 언덕길 오르니
白鳥無心向我飛(백조무심 향아비)
백조들 무심히 나를 향해 나는구나
[산수정 뒤쪽 건물]
山水亭(산수정) 뒤쪽에는 있는 집으로 梅山(매산)선생이
머물 때 수발만을 전담하던 사람이 머물었던 곳이라 합니다.
[山水亭(산수정)]
매산은 산수정 주변에도 이름을 지어 의미를 부여하였다.
聽琴臺(청금대), 詠歸臺(영귀대), 泄泉(설천), 君子塘(군자당),
高賢社(고현사), 石門(석문) 등의 명칭을 부여하였다한다.
[山水亭(산수정)전경]
山水亭(산수정)은 이름 그대로 山水(산수)가 아름답다.
멀리서 보이는 산수정의 풍광은 숲 속에 푹 파묻혀 있는 듯하다.
뒤편 산자락에는 참나무 군락과 소나무 군락이 있고,
권역 안에는 배롱나무, 회화나무, 푸조나무가 건물과 잘 어울린다.
정자 앞을 흐르는 계류를 따라 산수유가 식재되었고
계류 건너에는 골짜기를 따라 길게 복숭아와 사과 등의
과수원이 조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