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특별전(여성 한복 근대를 만나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

20190117_151819[국립대구박물관 전경]

신문에서 본 후 가야겠다 마음먹었지만, 여차여차 시간이 나질 않았다.
그러다가 휴대폰이 말썽을 부려 삼성 서비스센터에 들려 고친 후
“나간 김에 휴대폰 수리도 받고, 사진도 찍고 와.”
약간 볼멘소리로 남편이 말한다.
암튼 혼자 나가는 것을 제일 싫어하는 사람이니
내가 휴대폰 고장이라 핑계를 대고 나가려 하는가 생각하고 그런 것 같다… ㅠ.ㅠ

20190117_151933[국립대구 박물관 2층 전시실 오르는 계단]

에라 모르겠다.
어차피 의심도 받았으니 옳다고나 하고 국립대구 박물관으로 직행!

20190117_152039[여성 한복 근대를 만나다 전시실 출입구 전경]

사실은 남편을 탓할 수도 없다.
요 핑계 조 핑계를 대며 나간 적도 많으니…
알고도 속아주고 모르고도 속아준 게 많으니.. ㅎㅎ

20190117_152057[근대 여성 한복으로 보는 키워드 세상]

그저 나 혼자 신났다.
사설은 그만두고,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
함께 감상해 보셔요.

20190117_152126[전시실 내부 좌측 전경]

20190117_152333[전시를 열며 소개 글]

전시를 열며
국립대구 박물관은 “여성 한복, 근대를 만나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특별전은 국립대구 박물관에서 근대 여성 한복을 주제로 한
첫 번째 전시이기도 합니다.

전시의 주인공은 190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우리 어머니, 할머니가
일상생활에서 입었던 한복입니다. 100년 전 여학생 한복 교복에서부터
1950년대 비로드[벨벳] 치마, 1960~1970년대 레이스 저고리와 아리랑
치마저고리까지,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 한복과 관련 소품, 자료를 함께 소개합니다.

특히 ‘엄마의 공방’에서는 1950~1960년대 공간을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추억을 되살릴 수 있고, ‘대구 녀성 극장‘에서는 우리가 잘 몰랐던 근대
대구 여성이 활약했던 상황과 그 안에 담긴 한복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김홍도와 신윤복 그림, 한국 화가 김현정 판화와의 만남은 전통과
현대의 한복 입은 여성의 모습을 비교 감상하는 특별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다양한 ‘만남’으로 풀어낸 이번 전시에서 우리 곁에서 사라진, 그래서 더욱
아련하고 그리운 근대 한복을 보며 우리 어머니의, 할머니의 일상을 되돌아
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안내글 옮겨 적음)

20190117_152140[전시실 내부 우측 전경]

의도하지 않은 일상 속에 내재된 내숭, 그리고 고백
한국 화가 김현정이 전하는 색다른 만남을 느끼다.
라는 글 아래 대구여성가족재단 협력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었다.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내 눈에 확 들어오는 그림 작품들… 소개합니다.

20190117_152149[내숭 / 본드걸 / 김현정 / 종이에 채색 / 2013]

20190117_152202[내숭 / 나르시스 / 김현정 / 종이에 채색 / 2011]

20190117_152213[내숭 / 空(공) / 김현정 / 종이에 채색 / 2013]

20190117_152224[내숭 / 我差(아차) / 김현정 / 종이에 채색 / 2013]

20190117_152234[내숭 / 투혼 / 김현정 / 종이에 채색 / 2012]

20190117_152244[내숭 / 숨바꼭질 / 김현정 / 종이에 채색 / 2013]

20190117_152255[내숭 / 무한도전 / 김현정 / 종이에 채색 / 2016]

한복에 담긴 여러 시선에 대하여
옷은 미적 감각뿐만 아니라 내가 처해 있는 상황, 관념, 의지를 포괄합니다.
격변의 근대를 마주한 여성은 암울한 시기에 쏟아져 들어오는 신문물의 향유와
그 속에 담긴 차별적인 인식을 마주해야 했습니다.

남성은 지적인 지식인으로, 여성은 허영 된 소비자나 드센 이미지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진실은 달랐습니다. 격변의 근대, 역사적 순간마다 여성은 그 자리에 서
있었고, 변화된 옷을 입고 자신의 의지로 주체적인 목소리를 담았던 것입니다.

또 일상의 자리에서도 한복은 변화된 모습으로 그 자리를 지켜왔고 앞으로도
공존이라는 이름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20190117_152354[우측 / 삼회장저고리 / 홑적삼]

1. 삼회장 저고리(비단 / 19세기 말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 홑적삼(모시 / 19세기 말 / 단국대학교 / 석주선기념박물관)

20190117_152452[雲娘子肖像(운낭자초상) / 채용신 / 종이에 채색 / 1914 / 국립중앙박물관]

운 낭자는 최연홍(1785~1846)의 다른 이름으로 평안도 가산 관청 기생이었다.
1811년 홍경래의 난 때 가산 군수 정시(1768~1822) 부자의 시신을 거두고
동생의 목숨을 구했기 때문에 기생 신분을 벗게 되고 논밭을 상으로 받았다고 한다.

그림 속의 운 낭자는 조선 말기 여인들의 평상복인 짧은 저고리와 풍성한 치마를 입었다.
황색 저고리는 풍만한 가슴이 드러나며, 푸른색 치마는 길게 내려와 바닥을 덮고 있다.
저고리 동정은 한쪽만, 치마 사이로 살짝 나온 버선과 함께 하얗게 칠한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최초로 ‘엄마와 아기’를 주제로 그렸기 때문에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

20190117_152509-vert[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이 그린 여성]

그림과 한복의 만남
여기에 익숙한 전통 한복의 모습을 찾아보기 위해 특별한 만남을 마련하였습니다.
조선 최고의 풍속화가인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그림과 근대 최고의 초상화가인
채용신의 작품입니다.

이 그림들은 당시 여성의 옷차림을 잘 보여줍니다.
가장 특징적인 점은 저고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저고리의 길이가 매우 짧고 품과 소매통이 꼭 들어맞아
가슴이 드러나다 못해 위로 올라갈 정도입니다.

지금은 너무나 불편해 보이는 옷이지만 당시의 유행과 풍속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입니다.

20190117_152543[전시된 작품]

전통과 근대의 만남
우리 한복은 명절이나 결혼식 같은 특별한 날에 입는 옷입니다.
한복은 조선 후기 양식과 비슷하여 전통 한복이라고도 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근대 한복은 조선 시대의 한복보다 가까운 시기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낯선 옷으로 기억합니다.

근대 여성은 주로 한복을 입었지만 양장의 영향을 받고 일상생활 속의
활동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였습니다. 그 결과 저고리가
길어지고 치마가 짧아지거나, 고름 대신 브로치를 달고 레이스나
비로도[벨벳]와 같은 다양한 양장 소재의 옷감을 사용하였습니다.

지금 이 자리에 ‘전통 한복’‘근대 한복’이 만났습니다.
우리에게 예복으로 익숙한 ‘전통 한복’과 한때 일상복이었던
‘근대 한복’의 만남은 두 시대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이번 전시는 근대 한복의 다양한 변화를 선보이고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풀어가는 자리로 마련하였습니다. 젊은이에게는 호기심 어린 눈빛을,
어르신에게는 그리움과 아련함을 선사할 것입니다.
이제 근대 여성 한복을 만나러 갑니다.(옮겨 적음)

20190117_152600[솜저고리, 삼회장 저고리, 적삼, 반회장 저고리, 치마 등]

20190117_152631[솜저고리, 삼회장 저고리, 솜저고리, 저고리, 적삼, 치마 등]

20190117_152646[저고리, 적삼]

위쪽 저고리
면 1940년대 국립중앙박물관, 김경선 기증
겉감은 장미 무늬를 날염한 옥양목이고, 안감은 합성섬유로 만든 겹저고리이다.
단추나 브로치로 여밀 수 있게 하였고, 모양의 진솔 표시로 새 옷임을 알 수 있다.

아래쪽 적삼
비단 1940년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은조사 홑옷에 별무늬가 금박 되어 있는 저고리이다.
어깨와 겨드랑이에 바대를 부착하였고 여밈은 고름으로 하였다.

20190117_152722[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자료 전경]

1930~1940년대 새로운 소재에 눈을 뜨다
신문물의 유입과 생각의 전환은 의복의 간소화와 더불어 실용화 경향을 이어갔습니다.
저고리 길이가 허리선까지 길어지고 품도 여유 있게 커졌으며 소매의 진동과 소매통이
둥글고 넓게 변화하면서 편안해졌습니다.

고름이 짧아지거나 단추나 브로치가 고름을 대체하기도 하였습니다.
치마는 하나의 통으로 만들었고 길이가 짧아졌습니다. 또 버선 대신
양말과 구두를 신기 시작하였습니다.

한복의 변화는 옷감 소재에도 적용되었습니다.
주로 면, 마, 견직물을 사용하다가 조오젯과 같은 양장지로
저고리와 치마를 만들었고 모슬린이나 서지와 같은 모직물과
인견 등 수입 직물을 즐겨 사용하면서 유행을 이끌어갔습니다.

20190117_152830[겹저고리, 치마 / 저고리 1. 2. 3 / 저고리, 저고리, 마고자 / 아리랑 저고리, 치마 ]

20190117_152908[1950~1970년대 스타일로 승부하다]

1950~1970년대 스타일로 승부하다
한복은 일상에서 편리하게 입는 평상복과 실용적인 예복으로서의
기본 기능, 여기에 서구문물의 영향으로 서양 스타일이 더해졌습니다.

길어졌던 저고리의 길이가 조금 짧아졌고 앞뒤 길이의 차이를 두었습니다.
저고리의 도련과 소매의 곡선은 더 둥글게 변화되었고 깃 너비도 넓어졌습니다.
저고리의 고름은 리본처럼 묶기도 하고 브로치로 여밈을 대신하였습니다.

1970년대부터 한복의 예복화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실용성보다는 장식적인 성격이 강해져서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고
고름은 넓고 길어졌습니다.

치마 길이는 길어지고 폭은 에이라인(A-line)에 가까워졌습니다.
이때 유행한 아리랑 치마저고리는 저고리 고름을 리본형으로 만들고
서양의 드레스처럼 새롭게 디자인한 것입니다.(옮겨 적음)

20190117_152729[엄마의 공방 전경]

그리움이 담긴 엄마의 공방
‘엄마의 공방’은 김경선 여사와 故 김영숙 여사의 기증품을 중심으로
1950~1960년대 여성들이 한복을 손수 짓고 입던 방을 그대로 재현한 공간입니다.

그 시절에는 딸이 시집갈 때 혼수로 한복을 지어주었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옷감을 모아두었다고 합니다. 옷감을 두는 함과 재봉틀, 바늘, 실, 자, 골무, 가위,
인두, 다리미는 공방의 가장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20190117_152751[엄마의 공방]

딸의 혼수용 한복을 만들기 위한 엄마의 공방입니다.
옷감을 장롱에 모아두고, 완성된 의복에는 ‘진솔 표식(*, +)’을 하였습니다.
진솔옷은 만들어 한 번도 입지 않은 새 옷을 말합니다.

공방은 아래의 소장품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저고리, 치마(왼), 삼층장, 반닫이, 바늘꽃이, 의걸이장, 다리미 그 외의 전시품
김영숙 기증품(국립대구 박물관)
이혜영 기증품(국립중앙박물관)
시간 여행
김경선 기증품(국립중앙박물관)

20190117_152917[여성의 장신구 등…]

근대 여성, 한복의 변화를 시도하다
190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여성 한복의 변천은 대략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저고리의 형태, 옷감 재질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시기별
한복뿐만 아니라 화장품이나 브로치, 핸드백과 양산 등 소품과 최신 유행잡지도
함께 소개합니다.

근대 한복은 저고리의 품이 넉넉해지고 치마의 폭이 줄어들었으며
어깨허리 치마가 보편화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활동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기 때문입니다.

수입된 다양한 양장 옷감을 사용하고 단발머리와 파마머리도 선보이며
브로치, 구두와 같은 서양식 소품으로 멋을 추구하였습니다.

이러한 유행은 일제강점기와 대공황, 한국전쟁과 같은 격동의 시간을
겪으면서도 실용성과 탐미성을 함께 추구하였던 여성의 의지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20190117_152940[1950~1960년대 화장품]

20190117_152947[브로치(장신구) 종류]

장신구 : 몸치장을 위해 금과 같은 귀금속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장식적 물건

20190117_153002[핸드백, 양산, 구두, 고무신, 구두]

핸드백(1960-1970년대 국립민속박물관)

1. 양산(1960~1970년대 국립민속박물관)
2. 양산(1940년대 전후 시간 여행)

구두(1960년대 국립민속박물관)
고무신(1950년대 전후 의료선교 박물관)
구두(1940년대 전후 시간 여행)

20190117_153335[대구 여성의 곡진한 삶이 흐르는 반지 길]

‘반지 길’은 대구여성가족재단에서 근대 대구 여성의 활약을
주제로 엮어낸 역사 탐방로입니다. 반지 길은 국채보상운동 당시
반지를 빼내 빚을 갚고자 했던 남일동 패물 폐지 부인회의 의지를
반지 모양으로 형상화한 것입니다.

진 골목, 3.1만세운동길 등을 둘러보면서 대구 근대 골목
곳곳에 남아 있는 근대 대구 여성의 활약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190117_153335a[반지 길 안내도]

20190117_153246[대구 사진가들이 담아낸 근대 여성(영상) / 대구 녀성 극장 제1막~5막까지의 줄거리 전시]

20190117_153739[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20190117_153746[대구 녀성 극장]

anigif2[대구 녀성 극장 전시된 한복 애니메이션 편집]

20190117_153427[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좌측 김기준 여사의 두루마기
맏아들 결혼식 때 예복으로 지은 두루마기이다.
두루마기 안감은 화려한 삼색단을 사용하였고, 안주머니에
김기준 여사의 이름을 수놓았다.

허리 양쪽에 트임을 주어 손을 집어넣도록 하였다.

20190117_153414[한번 입지 못하고 고이 간직한 한복 사연]

대구 여성, 한복을 이야기하다.
늘 우리의 곁에 머물렀던 어머니와 할머니의 한복에 담긴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1960년대 양장이 보편화되고 한복은 예복화되면서 일상생활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점점 줄었습니다. 한복은 나들이 갈 때나 격식을 갖추는 자리에만 입었고 저고리에
브로치를 하고 같은 옷감으로 저고리와 치마를 맞춘 한복을 선호하였습니다.

이 부는 수많은 대구. 경북 지역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먼저 권분순여사, 이수억 여사, 김기준 여사의 한복에 담긴 소소한 이야기를 전합니다.
故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가 제작한 1950~1960년대 스타일의 웨딩 한복을 선보이면서
당시의 결혼 풍경을 사진으로 엮어봅니다.

끝으로 대구. 경북 지역 시민들이 보내준 장롱 속 빛바랜 사진들로
나만의 추억을 우리들의 기억으로 바꿔주는 소중한 자리를 선보입니다.

20190117_153449[특별한 순간, 일상과 함께 한 한복]

20190117_153713[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우측 이수억 여사의 저고리와 치마
봄과 가을에 입는 치마저고리로 장수를 기원하고 복을 비는
길상무늬를 저고리 전체와 깃에 수놓았다.
치마는 어깨 끈이 없는 전통 치마로 저고리와 같은 옷감으로 만들었다.

이수억 여사의 두루마기
겉감에는 비단을 사용하고 안감으로는 화려한 삼색단을 사용하였다.
1960년대 이후 한복을 예복으로 입으면서 맞춤 제작하게 되었다.
같은 옷감으로 목도리와 핸드백도 만들어 한 세트로 착용하였다.

anigif[전시된 한복 애니메이션으로 편집]

좀 더 자세히 즐감 하셨으면 하고 애니메이션으로 편집해서 올렸습니다.

20190117_153343[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자료 전경]

20190117_153358-vert[위 저고리 와 아래 바지(속곳)]

1. 저고리 / 비단/ 1950년대(이현숙 기증)
겉감은 명주를 안감은 무명을 사용하였다.
안갑은 한 장으로 만들어진 반면, 겉감에는 다양한 크기의
조각을 이어서 저고리를 만들었다.

2. 저고리
비단 / 1950년대(이현숙 기증)
분홍색 비단을 겉감으로 사용하고 안감으로는 무명을 사용하였다.
소매에 두 군데 무명실로 징근 흔적이 있어 만든 후 입지 않은 진솔옷이다.

3. 저고리
면 / 1950년대(이현숙 기증)
무명으로 만든 홑적삼이다.
저고리 안에 입는 속옷으로, 고름 대신 매듭단추를 달아 여몄다.
바느질된 부분이 터지지 않도록 양쪽 겨드랑이와 어깨 및 등에
천을 안에서 덧대었다.

4. 속바지
면 / 1950년대(이현숙 기증)
치마 안에 입는 바지로, 무명으로 만들었다.
여성바지는 주로 속옷으로 착용하였다.
이 속바지들은 가랑이를 연결하지 않아 밑의 전부가 트여있는 형태이다.

4번 속바지는 속곳이라고도 하였으며, 어릴 적 할머니가 입으셨지요.

20190117_153533[웨딩 한복]

웨딩 한복
이영희(1936~2018) 비단 1990년대 초반 매종드이영희

故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가 1995년 파리 컬렉션에 출품하기 위해
제작한 웨딩 한복이다. 1990년대 초반에 제작한 것이지만, 1950~1960년대
유행한 웨딩 한복 양식으로 만들었다.

덧저고리와 치마는 꽃무늬가 있는 단직물에 안감을 노방으로 하여
겹옷을 만들었다. 덧저고리는 깃이 없는 마고자형으로 만들었으며,
양쪽에 고름을 달아 여밀 수 있게 하였다.

치마는 바닥에 끌릴 정도로 길게 만들었으며, 어깨허리를 만들어
착용 시 흘러내리지 않게 하였다. 안에 입도록 만든 저고리는 국화와
나비 무늬가 있는 화문주에 안감을 노방으로 한 겹저고리로 되어 있다.
소매가 손등을 덮을 정도로 길이가 길다.

20190117_153600-vert[안개 꽃 면사포에 둘러싸인 하얀 목련 같은 한복]

추억의 웨딩 한복
전통 혼례 풍경이라고 하면 연분홍 연지 곤지를 얼굴에 찍고 화려한
족두리를 쓰고 두 손을 올려 살며시 얼굴을 가리던 신부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19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혼례로 신문물의 영향을 받아 신부는 족두리 대신
순백의 면사포와 하얀 꽃으로 장식한 화관을 썼습니다.
한복도 다채로운 색상의 한복 대신 순백의 한복으로 갈아입으면서
웨딩 한복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결혼식은 신식 스타일로 변했지만 앉기 혼례복은 한복을 이었습니다.
웨딩 한복은 1950~1960년대 전성기를 맞이하였고, 1970년대 초부터
예식장 문화가 발달하면서 서양식 웨딩드레스가 대체하게 됩니다.

당시 결혼식 풍경을 담은 사진과 함께 故 이영희 디자이너가 제작한
1950~1960년대 양식의 웨딩 한복을 소개합니다.

20190117_153632[그때 그 시절, 우리 어머니, 할머니의 한복 사진들]

그때 그 시절,
우리 어머니, 할머니의 한복 사진들

우리의 일상은 소박하기 그지없습니다.
그래서 그냥 지나쳐 버리거나 장롱 속에 꽁꽁 넣어둔 채
잊혀 간 것들이 많습니다.

우리에게 잊힌 계절을 다시 찾기 위해 국립대구 박물관에서는
대구. 경북 지역 여성들의 한복 입은 사진을 보내달라는 공모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수많은 분들이 사진을 보내주셨고 심지어 직접 찾아오셔서
사연과 함께 전달해주신 분도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성원에 감사드리며,
이 사진들을 보는 당신의 입가에 옅은 미소가 번지기를 기대합니다.

20190117_152319[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전시된 작품을 보면서 많은 것을 떠올렸습니다.
어머님의 공방에서는 옛날 우리 집 안방에 놓여있던 싱가 미싱…
어머님 생각에 눈시울이 붉어졌습니다.
그 당시 귀했던 벨벳 치마저고리는 친정어머님이 특별한 날 입고 나가셨죠.

제가 결혼할 때에도 철 따라 한복을 두어 벌씩 해서 넣어주셨지만,
저 역시 한복은 거의 입어보지 않고, 명절이나 결혼식 외에는 입지 않았기에
새 옷으로 장롱 속에 깊숙이 들어있다가 몇 번의 이사 와 정리를 하면서
필요한 사람에게 줘 버리거나 헌 옷을 사려 다니는 사람에게 주었지요.

지금도 입지 않고, 넣어둔 한복… 서너 벌은 됩니다.
두루마기와 목도리 핸드백까지 세트로…
사진과 작품들을 보며 옛 추억들이 떠올라 발길을 잡고 놓지 않아
오랫동안 머물다 왔습니다.

한 작품이라도 더 소개해들리려 노력은 하였지만,
마치려 하니 그래도 부족한 점이 많은듯합니다만,
즐겁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작품 소개를 마칩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