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미술 프로젝트 우수작가전 / 심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20190423_153901[대구문화예술회관 2층 13전시실 출입구 전경]

2019 대구아프페스티벌 참가 작가의 작품전을 1층부터 2층 11전시실
내부 21분의 작가의 작품까지 소개를 마쳤으며, 12 전시실에서 전시되고 있는
대구아트페스티벌 2019 ‘특별전 박보배밋나’ 전까지 소개를 드렸습니다.

오늘은 그 마지막 ‘청년미술프로젝트 우수작가전 심윤’ 전을
소개하므로 대구아트페스티벌 2019 미술전 대단원의 막을 내리겠습니다.
제 블로그에서는 전시일정이 따로 잡혀 있지않으니 언제든 오셔서 즐감하시면 됩니다.

20190423_153942-1[심윤 작가 약력]

20190423_153942-2[‘새하얀 바다위로, 지도의 끝’을 가보려는 작가 심윤. 작가 노트 중에서]

이미지 묘사와 구축에 충실하던 심윤의 작업에서 색이 사라지고 윤곽이 흐려졌다.
작품에 나타난 선의 윤각이 흐러졌다기보다 새로운 작품은 화면 전체가 안개로 덮인
듯한 모습으로 재시된다. 기존의 작품에서 보인던 명료한 묘사위에 밤안개가 서린
듯한데, 이런 작업에서는 크고 분명한 이미지에서 볼 수 없는 심연의 중량감이 느껴진다.

크고 분명했던 이미지의 과도함에서 심연의 중량감이 강조되는 경향으로 작품이 전화된 것이다. 묘사의 충실성과 크기의 과도함 때문에 생기는 이미지의 충격이 감소되고, 흐려진 표면으로 인해 묵직한 양감이 강조된다.

작품은 이제 표면 너머의 양감으로 ‘묘사의 이면’으로 우리의 시선을 읶르고 있다.
작가는 이런 전환, 그림 표면에서 그림 밖으로 향하던 이미지의 발화를 정반대의
방향으로 바꾸어 그림 표면에서 그 이면으로 나아가면서 그림의 안쪽으로 관심을
끌게하는데, 작품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된 것일까?

그간 심윤의 작품은 얼굴 중심의 인물을 과도한 사이즈로 작업하여, 큰 사이즈의 표면의 명중함을 통해 보는 이들을 압도해왔다. 보는 이들에게 심윤의 작품은 언제나 표면에서 외부의 공간을 향해 말하는 모습으로 다가왔다면, 최근 일련의 작업에서 심윤은 작품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기존의 방식을 바꾸어 보는 이들이 작품을 향해 묻는 방식으로, 즉 보는 이들이 작품 속이 궁금하도록 베일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안개서린 표면처럼 흐릿하게 뭉개진 표면이 그 너머를 더욱 더 갈망하게
하는 감지된 것이 무엇인지 궁금하게 만드는 베일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엿보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모든 것을 드러내는 작업방식을 취하면서도‘보이면서 가리는’ 방식으로,
‘그리면서 감추는’ 방식으로 그 방법을 전환한 것이다. 중략

-남인숙(전 대구예술발전소 소장)-글 일부 옮겨적음

20190423_153912[입구쪽에서 담은 좌측과 중앙 전시실 전시된 작품 전경]

작품명은 적혀 있지 않아서 담아온 순서대로 소개합니다.
위에 옮겨 적은 남인숙(전 대구예술발전소 소장)의 글을 참고하며
작품을 보시고 각자의 느낌대로 감상하면 되시겠지요.

20190423_154016

20190423_154028

20190423_153955[전시실 내부 전시된 작품 전경]

20190423_154033

20190423_154038

20190426_135458

20190423_154057

20190423_154122[전시실 내부에서 담은 입구쪽 전시된 작품 전경]

20190423_154106

20190423_154001

20190423_153933[전시실 출입구 우측 전시된 작품 전경]

심윤의 작업은 군사 훈련 중이거나 전쟁에 참여하고
있는 군인들의 집단 초상을 흑백의 화면 위에 올려 놓는다.

짙은 회색에 가까운 어두운 톤과 흐릿한 형태는 리얼리즘을
표방하는 그의 재현 언어를 대상의 외형적 모방이라는 차원으로부터
대상이 함유하는 사건의 내러티브의 차원으로 이동시킨다.

덧붙여 이미지를 배반시키는 역설적인 제목은
전생에 대한 작가의 냉소적인 시선을 드러내기에 족하다.

-김성호(미술평론가)- 글 옮겨적음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