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산 [39] *-

14.봉화산(烽火山/137.9m)


1.
명칭과연혁

봉화산은중랑구묵동,신내동,상봉동에접하여있고,표고137.9m로평지에돌출되어있는독립구릉이다.동쪽에아차산에서부터주능선을따라용마산과망우산이이어지고,검암산(구릉산)까지연결이되어있으나봉화산은평지에솟아있다.북쪽으로불암산과수락산,도봉산과양주일대까지잘조망되며,서쪽과남쪽으로도높은산이없어남산과한강이남지역도조망할수있는지역이다.봉화산과아차산주능선은약2km정도거리에있다.

조선시대지도에는이곳까지도아차산에포함시키고있으며,’대동여지도’에보이는아차산봉화는바로이곳봉화산봉화대을가리키고있다.봉화산은일명‘봉우재’라고불리기도하는데,1963년1월1일부로경기도양주군구리면에서서울에편입되었다.봉화산이라는이름에서봉화와관련이있는지역임을알수있는데,이곳은북쪽의한이산으로부터연락을받아목멱산으로전달하는아차산봉화대가있던곳으로,봉수대가복원되어있다.

산정상부에는‘봉화제도당’이라현판이쓰여진기와건물과1981년태릉경찰서에서세운무선중계소철탑,그동쪽아래에는산신제를준비하는민가가있다.그리고무선중계소가세워져있는정상부에서약4∼5m정도낮은지점에20여평정도평탄하게조성된지역이있는데,운동기구와의자등체육시설이들어서있다.체육시설을조성하는과정에서상당히많은부분의지형이훼손된것으로생각된다.

2.실태와관리

묵동산46-1번지일대봉화산은근린공원인‘봉화공원’으로지정되어있다.1977년7월9일건설부고시제138호로977,500㎡가공원으로도시계획결정고시되었고,1979년7월7일서울특별시고시제310호로지적고시되었다.봉화산근린공원에는5개의산책로5km가조성되어있으며,간이운동장14개소에성인운동기구10종56개가설치되어있다.인근에옹달샘이4개소있어연인원30만명의시민이이용하고있다.봉화산의주요수종은소나무이며,아까시나무도많이있다.기슭에는먹골배로유명한배나무밭이많이조성되어있는데점차주택지역으로잠식되고있다.

3.사적과문화재

1)고구려유적(高句麗遺蹟)

봉화산정상부에평탄하게조성된지점의하단부를돌아가며석축시설이발견되었다.석축부분은마치머리띠를돌리듯이정상부에서3∼4m아래부분을돌아가며7∼8단,높이1m정도로쌓았다.특히정상으로오르는주된통로인남쪽등산로부분에는이석축시설에서돌출된시설이있다.이돌출부는방형으로현재암반층위에들여쌓기를하면서3단을쌓고약50cm정도뒤에다시3단정도를쌓았다.

이곳은조선시대의봉화터라는점에서이석축시설도봉화터와관련된유적으로볼수도있으나,석축시설의구조가구의동유적등다른고구려유적과매우유사하고,유적전역에서고구려토기가발견되고있음을감안하면,이유적은고구려에의하여축조되었을가능성이크다.

2)아차산봉수(峨嵯山烽燧)

아차산봉수는봉화산정상부에있었다.봉화산은높은산이아니지만,주변에큰산이없어봉화를올리면눈에잘띄었기때문에봉수대를설치한것으로보인다.이곳에서는북쪽으로불암산과양주방면,동쪽으로는아차산능선,남쪽으로는장안평과한강일원,서쪽으로는남산일대가잘조망된다.

아차산봉수는지금까지주로아차산성정상부에있었다는견해가제기되어왔으나,『대동여지도』나조선시대『읍지』의지도에나타난아차산봉수의위치는6번국도북편아차산서쪽에있었음을알수있고,그위치는바로현재의봉화산일대이다.그리고『세종실록』지리지에는“가구산은양주부의남쪽에있는데북쪽으로는대이산과서쪽으로는도성의목멱에이어진다”는기록이있다.

이봉화산의원명칭이가구산이었으며,이미세종때부터봉화대가있었음을짐작하게한다.『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아차산봉수는북으로대이산에응하고,서쪽으로도성의목멱제1봉에응한다”라고기록하고있다.이처럼아차산봉수는조선시대서울로이어지는5로의봉수중제1로의제1횃불길목에속하며,북쪽으로는한이산또는대이산에서연락을받아,서쪽으로목멱산봉수에연락해주는역할을하였던중요한봉수였다.

그러나현재봉화산정상부에는불을피워올렸던연대시설은전혀남아있지않다.기록에4개의발화하는석축대시설이있었다고한점으로미루어후대에모두파괴된것으로생각된다.봉화산동쪽정상부바로아래부분에는봉화산당제를준비하는민가가한채있는데,그한쪽기단부를이루는곳에길이20m,높이1m정도의석축단이있다.이석축을쌓는과정에서연대시설이나고구려시대유구의상당부분이파괴된것으로보인다.

한편봉화산봉수대는중랑구묵동산46-1번지2,966㎡,신내동산139번지668㎡,상봉동산6번지274㎡,중화동산1번지152㎡등연면적4,060㎡의봉수대터에대해철저한고증을거쳐1993년12월10일서울특별시기념물제15호로지정되었다.이어봉수대복원작업에들어가1993년12월∼1994년9월까지연조1개,상·하단석축,봉수대입구계단정비공사를하였다.아울러주변의무선통신시설이설과철거작업을진행하여1994년11월7일에봉수대복원사업이완료되었다.

3)봉화제도당(烽火祭都堂)
봉화제도당은산신각으로봉화산정상에서약간남쪽으로내려와상봉동산46번지에위치해있다.일반적으로봉수대근처에서는제사와기도를국법으로금하였음을감안하면,이산신각은봉수의기능이상실되고난이후에설치된것으로생각된다.이산신각은신내동·중화동·상봉동의주민들이도당굿과산신제를지내기위해세웠는데약400년전처음지어졌을때는초가단칸이었다.

1900년에정면4칸,측면2칸의건물로개축하고단청을하였으며,신당의규모는건평약5∼6평정도였다.그러나1992년여름에일어난화재로소실되어지금은붉은벽돌과시멘트로지은새건물이들어서있다.당초건물안에안치되었던불상은높이5척의석불1구였는데,언제부터인지고깔에옷을입힌산신할머니의소상으로대체되었고,무릎위에는마을사람을의미하는작은인형을얹어놓았다.

4)숙선옹주(叔善翁主)안씨묘역

봉화산북쪽기슭묵1동200번지에는태종의후궁인숙선옹주의묘역이있다.선빈안씨는세종3년(1421)숙선옹주로봉해졌고,태종의12남익녕군(益寧君)은그의아들이다.묘비와석상·석등이남아있으며,원비문은17세기초에세워진듯하며,지금있는비문은원비문을고쳐1855년새로세운것이다.석등은전형적인조선초기석등의형태를보여준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