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端宗)과 수양대군(首陽大君).

병약한 문종이 죽자 단종이 등극하지만 한명회의 계책대로 수양대군의 등극을 위한 정리작업이 시작되어 김종서와 그 아들이 죽고, 단종을 옹위하는 수많은 사람이 죽음을 당하여 세조가 등극하고 단종은 상왕으로 남게 된다. 병자옥사가 있은 뒤 상왕은 노산군으로 강봉되고 곧 서인으로 폐출되었다가 영월로 귀양을 가게 된다. 도사 왕방연(王邦衍)이 한양을 떠나 청령포(淸泠浦)에 단종을 가두고 떠나기 전날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님 여의옵고/이마음 둘데없어 냇가에 앉았으니/저물도 내안 같아야 울어 밤길 예놋다.”라고 읊은 시조는 간장을 끊고도 남는다. 왕방연이 사약을 가지고 왔으나 단종이 없어서 울고만 있을 때 공생(貢生) 한 놈이 활줄로 단종의 목을 매어 한 많은 숨을 거두게 된다. 그 공생이라는 놈은 문을 나가다 피를 토하여 죽고, 노산군의 시체는 강에 띄운다. 그 밤 영월의 호장(戶長) 엄흥도(嚴興道)가 몰래 시체를 건져 싸두었다가 관에 넣어 평토장(平土葬)을 하고 돌을 얹어 표를 하여 둔다.

 

이상은 세종(世宗)과 문종(文宗)을 모시던 수구파와 세조(世祖)를 옹위하던 개혁파 사이의 다툼에서 희생된 단종의 슬픈 생애 일부를 그린 것이다. 또한 위의 역사적 사실은 초등학교 때 배운다. 그러나 그 배움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삭히는 것은 개개인이 다를 것이다.

 

초등학교란 어리고 약할 때 이다. 처음 단종과 수양의 관계를 배웠을 때 거의 100% 단종은 희생자고 수양은 악마였다. 물론 이 썰을 푸는 본인도 단종의 슬픈 사연에 눈물까지 지었고 수양대군의 악랄함에 나와는 전혀 무관함에도 이빨까지 갈았던 경험이 있다. 그런데 나이가 듦으로 점점 그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다. 특히 나라가 어지러울 때 일수록 그 생각은 신념 같은 것으로 바뀌었다.

 

516군사혁명이 일어난 해 중학교2학년이었다. 그 전해 419가 일어났을 때 교실에서 학우 몇몇 놈이랑 무얼 알까마는 419에 대해 논쟁(?)이 벌어졌다. 당시 아버지는 피란지의 읍사무소 임시직(요즘으로 치면 비정규직 인가? 그 때도 그런 제도가 있었다.)으로 계셨는데, 어린 마음에 나라가 뒤집히면 아버지의 임시직마저도 잘릴 것 같아 시위대를 원망하며 419혁명 자체를 부정하며 놈들과 말싸움을 하다가 진짜 주먹다짐으로 변하고 코피가 터지고 담임선생에 의해 교무실로 끌려가오린 놈들이 뭘 안다고…’ 터진 코피에 귀싸대기를 덤으로 맞았던 기억이 있다.

 

과도기 두 혁명을 두고 생각해 보자. 419혁명이 일어났을 때 모든 국민은 이제야 나라가 안정 되고 국민의 삶이 나아지겠지 기대했었을 것이다. 그렇게 국민의 성원을 등에 업고 태동한 민주당 정권이 어땠는지 이곳에 설명하지 않아도 우리는 안다. 소위 지도자들 이른바 위정자들이 유약하고 물러 터지고, 주적은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이런 상황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는 시기에 516혁명이 일어났고, 똑 같은 혁명을 두고 갈라선 것이 오늘의 보수와 종북 세력인 것이다.

 

다시 단종과 수양의 역사적 사실을 되돌아보자. 역사엔 가정이 없다고 한다. 그래도 아쉬우니 가정(假定)을 해 보자. 열두 살의 어린 임금이 과연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물론 주위에 충신들이 많았겠지만 그 충신들이 어린 임금을 100% 보필하기만 했을까? 그 윗대에 영명한 세종대왕이 있었더라도 조선의 건국 초기였다. 누구라도 반심을 먹고 작당을 한다면 열두 냥짜리가 아니라 열두 살짜리 어리고 여린 지도자가 무사했을까?

 

야심도 야심이지만 수양대군 입장에서는 왕가(王家)의 웃어른으로서 건국한지 얼마지 않은 왕조를 지키고 싶었을 것이다. 저 여리고 어린 것을 그냥 두었다간 왕가가 무너질 것이라는 두려움이나 급박함이 있었을 것이다. 결국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은 구국의 행동이었던 것이다.

 

위에 언급했지만, 어떤 사건이나 사태를 두고 받아들이는 입장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머리가 다 굵은 어른이 되어서도 단종임금은 불쌍하고 수양대군은 악마로 여기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른바 단종빠라고나 할까? 물론 감성적으로 생각해 보면 그 마음 충분히 이해가 간다. 사람이라면 어찌 슬픔 비감이 아니 들겠는가?

 

그러나 이성적으로 나라, 하다못해 애국(愛國)은 아니더라도 우국(憂國)정도는 해 보자. 감성적으로는 단종의 애사(哀史)가 글자 그대로 슬픈 역사이지만, 이성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수양의 결정이 옳은 것이다.

 

오늘 아침 논장에 나와 보니홍준표 대표를 원망하는 글이 대부분이다. 나는 천만 번을 강조하지만 누구의 빠는 아니다. , 홍 대표를 두둔하고 싶은 마음 추호도 없다. 다만 그가 오늘날 보수의 대표로 선출 되었고 그 직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홍준표라는 구심점에 모이자는 것이다. 박근혜의 출당이 왜 필요할까? 박근혜를 출당 시키겠다는 홍준표에게 모든 원망과 저주가 쏟아진다.

 

박근혜의 억울함을 모르지 않는다. 그러나 소위 친박 의원 몇 사람 붙들어 앉히고 세력을 규합한다고 새로운 정치를 펼 칠 수 있을까? 그리고 그게 가능한가? 본인 역시 감성적으로는 허접한 썰 일지언정 박근혜의 억울함과 구명을 주장하고 펼친다. 미리 밝혔지만 단종의 슬픈 사연에 눈물까지 지었고 수양대군의 악랄함에 이빨까지 갈았었다. 그러나 이성 모드로 바꾸면 홍준표의 결정이 옳다고 생각한다. 더구나 이 나라는 대한민국이지 근혜민국이 아니다. 아무리 봉건군주제 시절이었지만 조선(朝鮮)이었지 단종 개인의 나라는 아니었던 것이다.

 

홍준표는 모든 비난을 받아가면서 수양대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현 시점은 그렇다. 그러나 시대가 다르지 않던가? 역할로 만족 할 수도 있고 실제 세조(世祖)로 등극할지는 아무도 장담 못하는 것이다. 시간을 두고 지켜보자.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