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李斯)는 진시황제(秦始皇帝)를 알뜰살뜰 갖은 간교한 언행으로 섬겨 재상이 된 인물이다. 이를테면 간신배의 표본이다. 그 덕에 일족은 모두 고위관직에 올라 누구도 다를 수 없는 최고의 권세와 권위를 누렸다. 어느 날, 이사가 축하연을 베푼 자리에 조정의 문무백관이 모두 참석해 축사를 올린다. 그런데 이사는 깊이 탄식하며 “나는 일찍이 스승 순자(荀子)로부터 매사에 성(盛)함을 금하라고 가르침을 받았는데, 오늘날 우리 일족은 부귀영화가 모두 극도에 이르렀다. 달도 차면 기울듯이 영원(永遠)기할 수 없는 법인데, 앞으로 나에게 닥쳐올 일이 두렵다”라고 말했다. 과연 그가 염려한 대로 얼마 뒤 그의 일족은 환관 조고(趙高)의 참소로 몰살당하는 비운을 맞았다.
어떤 분야든 최고의 지위에 오른 사람을 항룡(亢龍)이라고 한다. 즉, 하늘에 오른 용이라 아주 높은 지위를 얘기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항룡유회(亢龍有悔)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하늘에 올라간 용이 더 이상 올라갈 곳이 없어 내려갈 길밖에 없음을 후회한다는 뜻으로, 부귀영화가 최고도에 달한 사람은 쇠퇴할 염려가 있으므로 행동을 삼가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즉, 흥진비래(興振悲來)와 맥을 같이 하는 성어다.
용(龍)의 첫 단계는 잠룡(潛龍)으로, 물속 깊이 잠복해 있는 용은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으므로 덕을 쌓으며 때를 기다려야 하고,
잠룡의 수련기를 거쳐 땅 위로 올라와 자신을 드러내 덕을 만천하에 펴서 군주의 신임을 받게 되니, 곧 때를 얻어 정당한 지위에 있으면서 중용의 도와 선을 행하며 덕을 널리 펴서 백성을 감화시키는 것이 이른바 현룡(現龍)이라고 한단다.
현룡의 지세를 이어나가 하늘을 힘차게 나는 용은 본 괘의 극치로서 제왕의 지위에 오르는 것을 의미하니 곧 비룡(飛龍)이 된 것이고, 이렇게 절정의 경지에 이른 용이 곧 항룡(亢龍)인 것이다. 항룡은 하늘 끝까지 다다른 용으로 이를 두고 승천(昇天)했다고 하는 것이다. 하늘의 이치가 그렇다. 가장 꼭 데기에 오른 다음은 내려오거나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공자(孔子)가라사대, “항룡은 너무 높이 올라갔기 때문에 존귀하나 지위가 없고, 너무 높아 교만하기 때문에 자칫 민심을 잃게 될 수도 있으며, 남을 무시하므로 보필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따라서 항룡의 지위에 오르면 후회하기 십상이므로, 이것이 곧“항룡유회(亢龍有悔)”라는 것이다. 즉, 매사(每事) 적당한 선에서 만족할 줄 알아야지 무작정 밀고 나가다가는 오히려 일을 망치게 된다는 말이다.
중국의 현대판 시황제(習皇帝) 시진핑이“중국의 힘 드러내라”일갈(一喝)하고 오늘의 중국을 일궈내는데 초석을 다지고 혁혁한 공을 세운 덩샤오핑의 도광양회(韬光养晦)와 굿바이를 선언 했다는 것이다.
비록 타국의 원수이지만 그 오만함과 기고만장(氣高萬丈)이 하느님 똥꼬를 쑤셔 대는 격이다. 지난 날 우리가 국민 일인당 1만불 좌우 할 때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다며 샴페인을 터트리며 기고만장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 후유증이 아직도 발목을 잡고 국가 경제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음에, 이제 겨우 중국인민들의 소득이 7-8천불 왔다갔다…저토록 오만하고 기고만장 할 수 있을까? 뭐, 이 부분은 남의 나라니 그러거나 말거나이지만, 오늘 날 이 땅의 문재인과 그 패당의 하는 짓이 시황제(習皇帝)를 능가하는 오만함과 기고만장한 작태를 벌이고 있는 것이다.
죽을힘을 다 해 히말라야 준봉을 기어오르지만 내려올 때 역시 죽을힘을 다해야 무사히 내려 온다. 항룡(亢龍)의 기쁨만 만끽 했다간 한 방에 가는 수가 있다. 양국(兩國)의 항룡은 내려올 때를 지금부터 대비하는 것도 신상에 이로울 것이다. 항룡유회(亢龍有悔)의 성어를 거울삼고….
덧붙임,
썰을 다 풀고 나니 생각나는 게 있다. 약 20년 전 ‘용의 눈물’이라는 대하드라마가 있었다. 태조 이성계의 건국신화가 아니었나? 생각 들지만 드라마의 내용 보다는‘용의 눈물’을 한자로 바꾸면‘항룡지루(亢龍之淚)’ 쯤 안 될까? 아마도 이성계의 일생 중 조선을 건국하고 그 뒤 일어났던 개인적 풍상과 풍파를 두고 후회(亢龍有悔)의 눈물지은 게 아닐까? 결론 ‘항룡지루(亢龍之淚)’와 항룡유회(亢龍有悔)는 동의어로 보시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