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티
실제 경험한 일이다. 젊은 시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조그만 보따리장사 사무실을 차린 적이 있었다. 무슨 일이든 새롭게 시작한다는 것은 패기와 자신감을 가지고 시작하는 법. 즉 마음은 부자이지만 경제적으로는 윤택하지 못한 시절 40년 전의 얘기다.
명동 진고개 인근 허름한 7층짜리 빌딩의 맨 꼭대기 그야말로 승강기도 없는 옥탑방에 사무실을 차렸는데 어떨 땐 하루에 십 수 번도 더 오르내렸었다.(이 때만 생각하면 가끔 그런 생각이 잠길 때가 있다. 내가 암 수술을 두 번씩이나 받고 아직도 건강을 유지하며 건재한 것은 그 시절 승강기도 없는 빌딩을 오르내린 결과라고..“운동합시다.” 내가 이런 게시판에서 노닥거리는 거 같지만 매일 5km 이상 떨어진 면소재지 소공원의 운동기구를 터치만하고 돌아온다. 하긴 초등학교시절 집과 학교는 4km이상 떨어져 있었다. 아마도 그 덕일 수도…) 좀 엄한 얘기를 했다.
어느 날인가 점심식사를 하고 사무실로 올라가려는데 빌딩 입구에 아담한 보조 탁자가 버려져 있기에 내 책상 옆에 두면 시각적이기도 하겠지만 이런저런 잡다한 것들도 보관하면 실용적 이겠다 싶어 그 무거운 놈을 조금 전 점심 먹은 기운을 다 소진시켜 가며 가져 올라왔다. 그리고 책상 옆에 딱 붙여 놓으니 요샛말로 비쥬얼이 보통이 아니었다.
그 놈을 낑낑 거리며 가져오느라 땀도 흘렸고 손도 닦아야 했고,…연후 기분 좋게 책상에 앉아 그 놈을 쓰다듬고 즐거워하는데 갑자기(정말 순식간) 오한이 나고 온 삭신이 쑤셔오는 것이었다. 지금 이 나이 먹도록 그런 경험은 그 때가 처음이었다.
아무튼 그러는 나를 보더니 여직원이“어머! 사장님‘동티’나셨나 보다”그러나는 것이었다. “동티?”아주 짧은 언어로 반문을 했다. 그러자 여직원은 다시“네! 동티요!”하는 것이었다. “동티 그게 뭔데…”그렇게 단답형으로 대화를 주고받았었는데,… 난 사실 여직원이 그 단어를 말했을 때 그게 어떤 의미인지 몰랐었다. 나의 질문에 여직원은“자기한테 맞지 않는 물건 따위를 만지거나 그러면 병이 나거나 사달이 나는 거예요”라며 여직원의 부모가 겪었던 것 또는 이웃의 얘기를 장황하게 널어놓는 것이었다. 그리고“사장님! 이 거 빨리 제 자리에 가져다 놓으세요.”
‘동티’, 땅, 돌, 나무 따위를 잘못 건드려 지신(地神)을 화나게 하여 재앙을 받는 일. 또는 그 재앙. 건드려서는 안 될 것을 공연히 건드려서 스스로 걱정이나 해를 입음. 또는 그 걱정이나 피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원은 동토(動土)로 토지 신을 움직였다는 의미?
이 아침 버릇대로 조선닷컴의 기사를 검색하는데“[김대중 칼럼] 이 광풍의 끝은 어디인가?”가 눈에 뜨인다.(사실 어제 읽었어야 하는데, 난 맛 나는 건 항상 맨 뒤에 입가심으로 먹는다.) 칼럼을 읽어 내려가는 가운데…<<<집값 파동은 집권 세력의 기고만장 중 최고 작품(?)이다. 이념 지향적인 아마추어들이 집값을 주무르다가 동티가 난 것이다.>>> 바로 이 대목이다. 참 오랜 동안 잊고 있었던 단어다.
언젠가 이곳 게시판에 나 역시 삽살개 정권이 진짜 건들지 말았어야 할 실정 중 최악(最惡)의 문제꺼리가 바로 부동산이라고 열변을 토한 적이 있었다. 인간이 살아가며 물심양면(物心兩面)으로 부대끼고 접촉하는 것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정말 건드려서는 안 될 것들이 존재하는 모양이다. 삽살개 정권하에 동티 난 것이 어디 부동산뿐일까? 모든 정책 전반에 걸쳐 동티가 난 것이다. 문제는 아직도 2년 가까이 장구한 시간이 남아 있다. 그러나 지금도 늦지 않았다. 버릴 것은 버리고 선별해서 국정을 살폈으면 한다. 그러고 보니 건들지 말아야 할 밀실의 비서를 마구 주물고 만진 박원순의 말로야 말로 동티가 난 게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동티’ 조심 하자!
[김대중 칼럼] 이 광풍의 끝은 어디인가?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7/2020072703941.html
아! 이 말은 꼭 하고 마무리 짓고 싶다. 여직원 말대로 즉시 주워왔던 보조탁자를 다시 그 자리에 두고 왔더니 나의 동티는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삽살개에게 강권(强勸)하고 싶다.
실제 경험한 일이다. 젊은 시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조그만 보따리장사 사무실을 차린 적이 있었다. 무슨 일이든 새롭게 시작한다는 것은 패기와 자신감을 가지고 시작하는 법. 즉 마음은 부자이지만 경제적으로는 윤택하지 못한 시절 40년 전의 얘기다.
명동 진고개 인근 허름한 7층짜리 빌딩의 맨 꼭대기 그야말로 승강기도 없는 옥탑방에 사무실을 차렸는데 어떨 땐 하루에 십 수 번도 더 오르내렸었다.(이 때만 생각하면 가끔 그런 생각이 잠길 때가 있다. 내가 암 수술을 두 번씩이나 받고 아직도 건강을 유지하며 건재한 것은 그 시절 승강기도 없는 빌딩을 오르내린 결과라고..“운동합시다.” 내가 이런 게시판에서 노닥거리는 거 같지만 매일 5km 이상 떨어진 면소재지 소공원의 운동기구를 터치만하고 돌아온다. 하긴 초등학교시절 집과 학교는 4km이상 떨어져 있었다. 아마도 그 덕일 수도…) 좀 엄한 얘기를 했다.
어느 날인가 점심식사를 하고 사무실로 올라가려는데 빌딩 입구에 아담한 보조 탁자가 버려져 있기에 내 책상 옆에 두면 시각적이기도 하겠지만 이런저런 잡다한 것들도 보관하면 실용적 이겠다 싶어 그 무거운 놈을 조금 전 점심 먹은 기운을 다 소진시켜 가며 가져 올라왔다. 그리고 책상 옆에 딱 붙여 놓으니 요샛말로 비쥬얼이 보통이 아니었다.
그 놈을 낑낑 거리며 가져오느라 땀도 흘렸고 손도 닦아야 했고,…연후 기분 좋게 책상에 앉아 그 놈을 쓰다듬고 즐거워하는데 갑자기(정말 순식간) 오한이 나고 온 삭신이 쑤셔오는 것이었다. 지금 이 나이 먹도록 그런 경험은 그 때가 처음이었다.
아무튼 그러는 나를 보더니 여직원이“어머! 사장님‘동티’나셨나 보다”그러나는 것이었다. “동티?”아주 짧은 언어로 반문을 했다. 그러자 여직원은 다시“네! 동티요!”하는 것이었다. “동티 그게 뭔데…”그렇게 단답형으로 대화를 주고받았었는데,… 난 사실 여직원이 그 단어를 말했을 때 그게 어떤 의미인지 몰랐었다. 나의 질문에 여직원은“자기한테 맞지 않는 물건 따위를 만지거나 그러면 병이 나거나 사달이 나는 거예요”라며 여직원의 부모가 겪었던 것 또는 이웃의 얘기를 장황하게 널어놓는 것이었다. 그리고“사장님! 이 거 빨리 제 자리에 가져다 놓으세요.”
‘동티’, 땅, 돌, 나무 따위를 잘못 건드려 지신(地神)을 화나게 하여 재앙을 받는 일. 또는 그 재앙. 건드려서는 안 될 것을 공연히 건드려서 스스로 걱정이나 해를 입음. 또는 그 걱정이나 피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원은 동토(動土)로 토지 신을 움직였다는 의미?
이 아침 버릇대로 조선닷컴의 기사를 검색하는데“[김대중 칼럼] 이 광풍의 끝은 어디인가?”가 눈에 뜨인다.(사실 어제 읽었어야 하는데, 난 맛 나는 건 항상 맨 뒤에 입가심으로 먹는다.) 칼럼을 읽어 내려가는 가운데…<<<집값 파동은 집권 세력의 기고만장 중 최고 작품(?)이다. 이념 지향적인 아마추어들이 집값을 주무르다가 동티가 난 것이다.>>> 바로 이 대목이다. 참 오랜 동안 잊고 있었던 단어다.
언젠가 이곳 게시판에 나 역시 삽살개 정권이 진짜 건들지 말았어야 할 실정 중 최악(最惡)의 문제꺼리가 바로 부동산이라고 열변을 토한 적이 있었다. 인간이 살아가며 물심양면(物心兩面)으로 부대끼고 접촉하는 것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정말 건드려서는 안 될 것들이 존재하는 모양이다. 삽살개 정권하에 동티 난 것이 어디 부동산뿐일까? 모든 정책 전반에 걸쳐 동티가 난 것이다. 문제는 아직도 2년 가까이 장구한 시간이 남아 있다. 그러나 지금도 늦지 않았다. 버릴 것은 버리고 선별해서 국정을 살폈으면 한다. 그러고 보니 건들지 말아야 할 밀실의 비서를 마구 주물고 만진 박원순의 말로야 말로 동티가 난 게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동티’ 조심 하자!
[김대중 칼럼] 이 광풍의 끝은 어디인가?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7/2020072703941.html
아! 이 말은 꼭 하고 마무리 짓고 싶다. 여직원 말대로 즉시 주워왔던 보조탁자를 다시 그 자리에 두고 왔더니 나의 동티는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삽살개에게 강권(强勸)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