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P_Widget에서 호출한 생성자 함수는 4.3.0 버전부터 폐지예정입니다. 대신
__construct()
를 사용해주세요. in /webstore/pub/reportblog/htdocs/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3620 한자쓰기 시험 필요할까? - Media Gaze…
한자쓰기 시험 필요할까?

나는 70년대, 80년대 흑백신문을 읽으면서 한자읽기를 익혔다.

그땐 신문의 헤드라인, 사설만 읽어도 웬만한 한자의 독해는 저절로 익혀졌고, 나 또한 신문을 읽으면서

한자읽기와 독해를 습득한 케이스다. 지금은전문적 한문서적이 아니면 읽고 뜻을 이해하는데지장을 느끼지

못할 만큼은 된다.

신문을 통해 한자를 배우다보니 맹점이 하나 있기는 하다.

읽고 해석하기는 불편하지 않을만큼 가능하지만, 쓰는 것은 거의 젬병에 가깝다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같이 펜을 잡고 필기할 일이 없어진 세상에 일상에서 한자를 직접 쓸 경우가 얼마나 되겠는가…

자기 이름석자 정도 쓸 수 있고,화혼(華婚), 부의(賻儀) 정도만 일필휘지 할 수 있다면, 적어도 내 경우로 봐서는

한자를 쓰지 못해서 불편한 경우란 거의 없었던 듯 싶다.

요즘엔 경조사 봉투에마저 한석봉붓글씨가 박혀서 나오기에 그 넉자마저 익히지 못한들크게 불편함이 없다.

아이가 중간고사를 준비하면서 한자쓰기 시험에크게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

내 개인생각엔 한자읽기와 독해는 어휘의 풍부함을 위해서라도 공교육 학습이 필요하지만, 읽기와 뜻만

알고있으면컴퓨터 워드나 한자사전이 다 알아 써주는 요즘 ‘한자쓰기’까지 익혀둘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선택과 집중의 관점에서 ‘읽기’에 집중하되 ‘쓰기’는 뒷날의 선택으로미뤄놓아도 좋지 않겠냐는

것이다. 물론 한자쓰기까지 완벽히 익혀서 나쁠거야 없겠지만, 실용학문을 익히기에도 벅차고 뇌용량이

비좁을 터에실생활에 덜 사용하는 한자쓰기를 익히는데 학습역량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을까하는 의문이 드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전자계산기가 있는데 왜덧셈/뺄셈, 곱셈/나눗셈을 배우는 것이며,정보의 바다 인터넷이 있는데

암기과목을 왜 공부하느냐 타박할 분들 계시다.하지만 수학이란 학문은 그 자체가 두뇌의 발달, 그리고 논리적

이해를 다루는데 필요한학문이고, 인터넷 검색도 기초 암기지식의 바탕위에서더 풍부한 지식검색이 가능하기에 ‘한자쓰기’와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내 반론이다.

결론은 한국의 중고등 공교육 현장에서 한자공부의 범위는 한자독음과 뜻 익히기, 그리고 다양한 고사성어를

익히는데 보다 집중하고, 그보다 훨씬 더 많은 내공과 힘, 시간을 쏟아야 하는 한자쓰기는 그 이후에 필요에

의해 스스로 찾아 익히도록 했으면 싶다.

우선중고생의 중간고사, 기말고사에서 ‘한자쓰기’의 부담은 제(除)하는 것이 필요치 않을까…

9 Comments

  1. 오현기

    2009년 4월 28일 at 12:24 오전

    영어공부도 초딩은 읽기, 중딩에서는 듣기, 그리고 고딩은 말하기, 쓰기까지로 점진적으로 집중코스를 확장하여 학습시키는 방법이 지금처럼 4가지를 모두 한꺼번에 잡으려는 학습법보다 어쩜 효과적일 수 있을 지 모른다. 쓰기, 말하기는 못하더라도 읽기, 듣기능력만 웬만큼의 경지에 올라도 얼마나 훌륭한가?    

  2. 미뉴엣♡。

    2009년 4월 28일 at 5:45 오전

    정신문화(교양)면에서
    한자공부 필요하다는
    생각인데 시험까지는..ㅎ

       

  3. 밤과꿈

    2009년 4월 28일 at 6:27 오전

    한자는 고사하고
    인터넷을 돌아다니다보면

    우리 한글의 맞춤법도 제대로 못 쓰는 걸 어찌하오리까…
       

  4. 중국에서

    2009년 4월 28일 at 10:16 오전

    챙피한 이야기지만, 중국에서 14년을 살고 있습니다.그런데, 손으로 중국어를 쓰는 것은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컴퓨터는 ok.사실 중국인 대학생들도, 쓰기 힘들어 할때가 많습니다.왜냐면, 손으로 안써 버릇하기 때문입니다.외국어는 듣고->말하고->읽고->쓰기 순이 투자대 효과가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5. Hansa

    2009년 4월 28일 at 2:22 오후

    오현기님의 한자 배우기 전략에 공감합니다.
    그림글자를 모두 익힐 이유가 없겠지요. 중국에서도 편한 글자를 쓰는 세상입니다.
    읽을 줄 알고 뜻을 알고, 글자는 워드로 변환 가능할 정도로 배우면
    한자 사용에 거의 불편함이 없습니다.
    추천합니다!! 하하

       

  6. 봉쥬르

    2009년 4월 28일 at 4:00 오후

    정말 예전에 스트레스 많이 받았습니다
    좋은 지적이고 제안이십니다
    실제가 그러하고요.
    독해는 되는데 쓰라면 그림은 떠오르는데 끼워 맞추질 못하겠더라구요^^   

  7. 오현기

    2009년 4월 28일 at 6:10 오후

    공감을 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자쓰는 것을 넘어서 한자쓰는 순서 같은 것을 암기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시대에 뒤쳐져도 한참 뒤쳐진 교육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등장이후 천지가 개벽했는데, 과거식으로 발상하고 사고하는 것은 고루하다고 봐요.    

  8. Lisa♡

    2009년 4월 29일 at 8:01 오전

    이 거 추천하는 거 맞죠?   

  9. tony

    2009년 4월 30일 at 9:53 오전

    한자쓰기는 한국인들에겐 필수인것 같습니다.
    단어 하나에 너무 다른 뚯을 많이 갖고 있다 보니까 한자를 필히 알아야 겠더라구요.
    영어를 하는사람이 단어를 쓸줄 모른다고 생각해보세요.
    공부도 시기가 있는데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배울때 열심히 한자도 써 봐야 나중에 후회 안하게 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