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딩크레딧이 올라가는데 자리에서 일어설 수 없었다.
무엇이 나를 붙잡았는지 모르겠다.
어쩌면 "이어도사나~~이어도사나~~"를 따라 부르게 하던
마지막을 장식하던 노래 탓일지도 모른다.
영화는 제주도가 바라보이는 구름층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서서히 지면으로 내려간다.
1948년 제주도에서 일어난 4.3사건을 주제로 하며
영화에선 실제적으로 좌악이 뭔지도 모르는 양민들의
죽음을 이야기하고파 한다.
죽이는 이도, 죽임을 당하는 이도 제대로 알기나 하는지.
어떻게 보면 묻어버리고 싶은 우리의 가슴아픈 기억을
감독은 다시 끄집어 내곤 거기에 죽어간 넋들에게 하나하나
위로를 해주고파 한다.
오멸 감독은 제주사람으로 제주를 주제로 한 영화를 찍었다.
‘끝나지 않는 세월2’ 라는 부제는 ‘끝나지 않는 세월’을 찍었고
제주를 사랑하고 제주영화를 찍다가 뇌출혈로 쓰러져 먼저 간
고인 김경률 감독을 기억하기 위해 붙인 제목이다.
일종의 김경록 감독을 포함, 죽은 자를 위한 위령제적인 영화다.
제주도 곶자왈 지형의 ‘큰 넓궤(동굴)’로 숨어든
마을 주민들은 숨어있으면서도 그 이유조차 모른채
소담을 나누고 즐거워하고 지극히 일상적인 대화를
나눈다. 목숨이 위태로워도 도새기(돼지) 끼니 걱정을
하고 순덕어멈이 갖고 온 지슬(감자)를 나눠먹으며
따뜻한 농담까지 나눈다. 그 장면에서 웃음이 나온다.
자막이 없으면 알아듣지 못할 사투리 탓이다.
끈질긴 삶을 잇게 해주는 감자.
이런 장면들이 상당히 시적이며
한 장면 한 장면들이 매우 아름답다.
정말 외국영화에서 한번씩 발견하는
액자같은 사진이랄까, 그런감동을
주는 컷이 많이 등장한다.
이들이 나누는 대화는 4.3 사건과는 거리가
먼 정겹고 웃음이 절로 나는 구수함, 그 자체다.
상당히 가슴에 남는 장면이다.
순덕어멈이 머리에 이고 온 말린
고추를 불로 태워 군인과 대치하는
굴 속 연기나는 장면과 함께 일품이다.
명장면이다.
제주의 용눈이 오름.
밤하늘의 별 뿐만 아니라
감독은 제주다운, 제주의美를
완벽하게 잡아낸다.
슬픈 만철을 멋모르고 이기려고
뛰어가는상표, 그들의 모습이다.
감독은 흑백과 칼라를 대비시켜
묘한 긴장감과 처음부터 몰입도를
완벽하게 완성시킨다.
처음에 다큐로 지겨울거라고예상하고
보지않다가 새삼스레 보게 된 수작중에 수작.
아픔과 아름다운의 묘한 모순이 있다.
신위 神位.신묘 神廟.음복 飮福.소지 燒紙
제사의 형식을 따라 조심스레 만들어진 무게가
느껴지는 영화다.
마지막 소지부분의 지방이 타는 모습에서 안도와
감동과 묵념과 함께 멋진 장면이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죽은 자 모두를 위로하는 위령제로 보인다.
4.3 사건의 내용을 떠나서도 감동받았다.
세계 영화제에서 상을 휩쓸고도 남을 영화임에 틀림없다.
많은 이들이 봤으면 하는 영화다.
jibong
2013년 4월 29일 at 12:04 오후
하나 물읍시다. 이 영화 만든이들이 4.3당시 제주에 살았나요? 아니거든 꼴값들 지지리도 덟게 한다고 이르시오. 영화로 만들면야 뭐든 못하겠오. 나 같으면 영화로는 당신이 당신의 아버지 어머니를 낳은 것으로도 만들수 있오. 내가 그렇게 만들어도 당신은 감동할 사람이구만.
Lisa♡
2013년 4월 29일 at 12:51 오후
아..이 영화는 4.3 사건을 배경으로는 하지만
그 문제를 다루진 않구요.
그 이면의 사람들 이야기라 그렇게 흥분하지 않으셔도
될 겁니다.
박산
2013년 4월 30일 at 2:01 오전
아직 못 본 영화입니다
그러나 다섯 번을 보셨다는 이생진 시인께서
지난 주 모꼬지 인사동 담론의 주제였습니다
4.3을 보는 눈은 제주를 오래 다니며 제주 본토인들과 대화를 해 본
제 입장에서는 그냥 고귀한 인간의 생명이 잔혹하게 사라져간 그 자체를
안타까워 우러르는 순수성을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지금의 잣대로 그 시대를 재단하여 좌우로 나뉘어 극단적 판단은
아주 위험한 일이란 생각입니다
이번 일요일은 용눈이오름 거기에 제가 있을 예정입니다
Lisa♡
2013년 4월 30일 at 7:41 오전
박산님.
부럽습니다.
용눈이오름 이제 사람들이 많이 가게 생겼어요.
지슬은 5번 봐도 괜찮고도 남을 영화입니다.
특히 제주사람인 경우엔 더 그렇겠죠.
좌우를 여기서 이야기한다는 자체가 웃기는 것이죠.
어느 시각에서 보느냐도 여기선 필요하지않고 그저
영화가 너무 아름답다는 말 밖에…엄청난 秀作입니다.
이 감독이 대단하게 느껴지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