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콜슨 화이트헤드 지음, 황근하 옮김 / 은행나무 / 2017년 9월
처음 책 출간 소식을 접하고서 소재가 무척 흥미를 이끌었다.
미국의 인종 문제는 항상 들끓고 있는 잠재적인 용광로란 사실을 이미 인지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미국 내의 소수 인종들에 대한 편견, 특히 흑인 노예제도의 해방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룬 책들을 읽었지만 이처럼 절묘한 조합의 구성은 확실히 모든 상을 휩쓸만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할머니 때부터 농장의 노예로 살아가는 코라라는 소녀의 탈출기는 그야말로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어떤 역동성 있는 극한대의 활발한 활동이 겹쳐 보이는 것이 아닌 흑인이 살아온 역사, 원하지 않았지만 저마다 다른 부족들 출신들이 모여 그들의 언어와 풍습, 노래를 통해 나름대로 인생에 대한 희석을 섞어 살아가는 묘사 장면들은 여전히 울림을 준다.
할머니 우지라가 살아왔고 자신의 어머니 메이블이 살았던 랜들 농장에서 코라는 태어났다.
노예들이 살고 있는 오두막 안에서도 벌어지는 땅이라고 해봐야 땅이란 용어 자체도 불리기 애매한 조그만 텃밭을 지키고 가꾸어 온 할머니의 죽음 뒤에 자신을 버리고 탈출한 엄마, 그런 환경 속에서 코라는 할머니와 엄마가 지킨 텃밭을 지키며 살아가는 노예 소녀다.
어느 날 새로 들어온 노예 시저라는 남자 노예로부터 탈출하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지만 단칼에 거절한다.
인간의 근본적인 태생 속에 갇혀있는 속박되고 한정 지어진 곳에 살다 보면 그 먼 어느 세상 밖으로 나가기란 쉽지 않다는 것, 하지만 결국엔 탈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닥치자 시저와 함께 야반도주를 하게 된다.
자신의 계획을 알고 쫓아온 친구 러비, 그렇지만 숨 막히도록 뛰어 달려온 지점에서 부딪친 백인들의 만남은 러비와 헤어지게 되는 결과를 만들어내고, 둘은 자신들을 도와주려는 사람의 집에 무사히 도착하게 된다.
책의 제목은 진짜 지하철도가 아닌 흑인 노예들을 탈출시키고 자유인의 신분으로 살아가기 위한 여정을 돕는 비밀 단체 조직 이름이다.
처음 제목을 접했을 때도 작가와 마찬가지로 19세기 노에들의 탈출을 돕는 이런 노선이 있었구나 하는 것을 생각했지만 실제 존재한 단체는 아니고 여기에 착안한 저자의 상상력이 노예의 탈출을 이야기의 설정으로 함께 끌어들임으로써 대단한 하나의 역사적인 이야기를 방불케 하는 문학작품으로 탄생이 됐다.
코라와 시저, 그들을 돕는 노예제도에 대한 반대를 품고 도와주는 백인들과 자유인 신분을 가진 흑인들의 도움은 지하철도의 명칭처럼 역과 역장이란 용어를 함께 사용하면서 비밀의 활동을 개시한다.
숨 막힐 듯 추적해오는 노예 사냥꾼 리지웨이의 추적과 함께 책의 공간 이동은 조지아에서 몸담아 살아온 두 사람이 그곳을 떠나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시작으로 한 때 다른 이름으로 정착할 수도 있겠다는 꿈을 무참히 저버린 리지웨이로 인해 또 다른 역 출발을 향해 가야만 하는 여정을 그린 이 책은 당시 각 주(州)마다 다른 법 적용과 흑인들을 대하는 태도와 제도적인 방침, 같은 백인이라 할지라도 탈출에 동조한 같은 인종을 색출해 죽이는 장면들과 붙잡힌 노예들의 처형 방법의 묘사들은 흑인 노예제도의 역사를 다시 되돌아보게 하는 시간을 느끼기에 아픔을 느끼게 한다..
코라는 묻는다.
– 자유인 신분이 된 흑인들이 제 주인들을 피해 달아났듯이, 백인들 역시 그들 주인의 폭정을 피해 새로운 시작을 하려고 이 땅에 왔다. 그러나 그들이 가진 이상은 다른 이들의 이성을 부정했다. 코라는 마이클이 랜들 대농장 뒤편에서 독립선언문을 암송하는 것을 여러 번 들었다. (중략)
코라는 그 말들을 거의 다 이해하지 못했지만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말은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았다. 모든 사람이 정말로 모든 사람을 뜻하는 게 아니었다면 그것을 쓴 백인들 역시 그 말뜻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었다. 흙처럼 손에 쥘 수 있는 것이든 자유처럼 그렇지 않은 것이든, 그들이 다른 사람의 것을 강탈했다면, 아니었다. 코라가 경작하고 일했던 땅은 인디언들의 땅이었다. 코라는 백인들이 여자와 아이들을 죽여서 그 종족의 미래를 씨앗부터 말살해버리는 대학살의 효율성을 자랑스레 얘기한다는 것을 알았다. -p 136
백인들의 머리에 새겨진 흑인들에 대한 각인, 멍청하고 자신들의 터에 또 다른 인종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생각의 뿌리 원천을 저자는 흑인 노예 소녀의 시선과 탈출을 통해 백인 사회가 이루어 놓은 역사의 허점을 비판하고 있다.
하류층 백인들의 이주로 인해 또 다른 일자리를 빼앗기게 된 흑인들, 자신들의 의지대로 정착하고자 했지만 결국 같은 부류의 인종들이라도 또 다른 생각들의 이견으로 인해 큰 아픔을 경험하게 되는 코라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의지는 결코 무너질 수가 없음을, 그래서 여전히 자신이 정착할 또 다른 새로운 미지의 땅을 찾아 나서는 그녀를 응원할 수밖에 없게 만든다.
이미 150여 년 전에 해방이 된 흑인들의 이러한 아픔이 있는 제도는 청산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비단 흑인 노예제도뿐만이 아니라 기타 다른 부분들에서도 완벽한 평등과 자유를 누리고 살아간다고 말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게 된다.
자신을 버린 엄마를 원망하고 그러한 엄마를 그리워하는 코라의 여정은 저자의 탁월한 역사를 관통해나가는 필치로 인해 기존의 다른 흑인 작가의 작품들과는 다른 문학작품을 접해보는 계기를 마련해 줬다.
자유와 평등에 대한 귀중하고 고결한 기쁨, 자신의 진정한 권리를 찾아가는 코라 라면, 아니 그 누구라도 자신의 삶을 개척하고 그런 가운데 진정한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주는 책이란 점에서 많은 울림을 주는 책이란 생각을 해 본다.
24년 만에 나온 퓰리처상. 전미도서상 동시 수상작으로 기타 여러 부분에 걸쳐 이름을 알리고 있는 작품답게 과연 이 책이 맨 부커상 수상에도 이름을 올릴 수 있을지, 드라마로도 만날 수 있다니 영상을 통한 기대도 해 보게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