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로윈 데이가 하루 앞(현지시간)으로 다가왔다. 캐나다와 미국을 비롯한 북미에서는 매년 10월 31일 저녁, 호박 속을 파 만든 램프 등을 들고 각양각색의 분장을 한 어린이들이 동네 곳곳에서 줄지어 다니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할로윈(Halloween)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기독교가 전래되기 전 1세기 중반, 당시 영국에 살고 있던 켈트족의 정신적 지주였던 승려 드루이드 (Druid)에 의해 전파되었다는 것이 신학자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할로윈은 가톨릭 교회에서 유래됐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기원전 5세기경 켈트족이 거주하던 지금의 아일랜드 지방과 북부 유럽의 지역은 겨울이 길어 10월 31일을 여름의 마지막으로 보고 11월 1일을 새로운 해의 첫날로 기념했는데, 수확의 계절이 끝나고 어둡고 추운 겨울이 시작되는 10월 31일을 당시 사람들은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가 불분명한 날이라고 믿었던 것으로 유래되고 있다.
죽은 사람들의 혼령이 다시 땅으로 내려와 농사를 망치게 하며 사고를 일으키고 살아 있는 사람들의 몸을 빌려 거처를 마련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온 마을 사람들은 이날 육체를 점령당하지 않기 위해 난방을 중단하고 몸을 차갑게 해서 혼령으로부터 몸을 보호했다고 한다.
그리고 귀신처럼 분장하고 시끄럽게 마을을 돌아다님으로써 기거할 육체를 찾아 헤매는 혼령들을 놀라 달아나게 했고 이미 혼령에게 몸을 점령당했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장작더미에 올려 놓고 화형에 처하여 귀신이 산 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본보기를 보여 주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후, 기원후 1세기경 로마인들이 켈트족의 풍습을 받아들이게 됐고 그들은 사람을 불에 태우는 행위는 하지 않았고 대신 인형을 불에 태웠다고 한다. 이 풍습이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 변해 귀신이 몸에 들어온다는 의식은 약해지고 도깨비, 귀신, 마녀와 같은 복장을 하고 모이는 축제 형식으로 발전되었던 것이다.
이 풍습은 이민자들에 의해 북미로 전해졌으며 오늘날 어린이들의 축제로 자리 잡게 됐다. 해마다 이날이 되면 어린이들이 귀신 또는 마귀 복장 등을 한 채 친구들 또는 엄마의 손을 잡고 동네를 배회하며 이웃집 곳곳 현관문을 두드려 댄다.
방문한 집에서 문을 열어 주면 트릭 혹은 트릿(Trick-or-treat)”을 외치며 캔디나 쵸코 등을 얻어 간다. 하지만 트릭 혹은 트릿(Trick-or-treat)은 켈트족의 풍습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며 11월 2일 영혼의 날(All souls day) 행사로 유럽 사람들이 마을을 돌며 사각형의 ‘영혼 케이크(Soul cake)를 구했던 데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근데, 언제부턴가 이 풍습이 우리나라로 전파되면서 잘못된 미풍양속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서울을 비롯한 일부 대도시 특급호텔에서는 해마다 부유층을 겨냥해 적게는 5만 원의 입장료 또는 일 인당 30만 원 가량의 거금을 받고 각종 이벤트를 벌인다.
최근 들어선 동네 어린이 집까지 할로윈 축제를 하느라 법석을 떤다. 수년 전만 해도 극히 일부 영어 유치원 등에서나 진행하던 할로윈 행사를 이제는 대부분의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에서 지극히 당연한 듯이 진행하고 있다.
물론 요즘 아이들이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김치나 파전보다 피자나 햄버거를 더 선호한다고 해서 나무랄 수만은 없다. 또 시대가 시대이니만큼 해외 문물이나 풍습을 받아들인다고 해서 무작정 나쁘게만 치부할 수도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이 할로윈에 대한 정확한 유래나 기원에 대한 상식은 없이 그저 남이 하니 나도 따라 한다는 식의 축제 개념으로만 여긴다는 데 문제가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