質問者(질문자)를 向한 석가모니의 대답

Book 혹 (33%)

* 이상봉 박사의 강좌: “나, 지금 바로 여기에!”

質問者(질문자)를 向한 석가모니의 대답

~ 이상봉 / 철학박사

(질문자가 서로 다른데… 어떻게 같은 질문이란 말인가?)

석가모니(Buddha)가 어느 마을에서 묵어가게 되었는데…
아침 나절에 어떤 사람이 찾아와서 이렇게 물었다.
“하느님은 있는 겁니까?”
그러자,
석가모니(부다)가 “있습니다!”라고 대답(對答)했다.

점심때 쯤에 다른 사람이 찾아와서
“하느님은 있는 겁니까?” 라고 묻자,
이번에는 간단하게 “없소!”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나서, 저녁 때에 세번째의 질문자가 나타나서
“하느님은 있는 겁니까?”라고 물었더니…
“…” 부다는 아무 말도 없이 그냥 침묵만을 지켰다.

아침에는 “Yes”,
점심 때는 “No”,
그리고 저녁 때는 “Neither Yes nor No” 였다.

옆에서, 이 세가지의 대답을 모두 듣게 된,
부다의 제자인 아난다 (Ananda)는 혼동을 하게 되었고,
그렇게 서로 다른 대답을 하는 스승의 태도를 도저히 이해 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하루의 모든 일과가 끝나고, 잠자리에 들어가기 바로 전에,
입을 열지 않을 수가 없어서,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어떻게 똑같은 질문이었는데,
대답이 그렇게 서로 다를 수가 있습니까?” 라고 묻고야 말았다.

그러자,
부다가
“똑같은 질문이라니? 질문하는 당사자들이 서로 다른데…
어떻게 똑같은 질문이라고 하는가?”
“…???”

그렇다!
질문하는 사람이 서로 다른데(different questioners),
어떻게, 똑같은 질문(same questions)이 된단 말인가?
질문하는 사람이 다르면, 따라서 질문 자체가 다른 것이지!

부다의 이 말은, 진정으로 깊이가 있는 영적(靈的)인 말이다.
질문 자체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질문하는 사람에게 맞는 대답이 중요한 것일 뿐이다.

“아침에 나를 찾아 온 사람은 소위 無神論者였다.
그는 자기가 믿고 있는 그 생각 때문에, 늘 괴로워 하고 있기에,
나에게 와서 ‘신이 없음!’을 확인 받아 보고 싶었을 뿐이었다.
그래서 나는 그에게 ‘Yes (神은 있다)’ 라는 대답을 해 주었다.
점심 때의 질문자는, 소위 有神論 옹호자였는데,
자기 자신의 神에 대한 신념이나 경험은 전혀없이,
그냥 맹목적인 믿음 때문에 괴로워 하면서,
나에게서 자기의 맹신적인 믿음이 정당하다는 것을
확인 받아 보려고 하기에,
나는 ‘No (신은 있지 않다)’ 라고 대답한 것이다.
그리고 저녁 때의 사람은,
유신론자도 무신론자도 아닌, 순수한 靈的인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에게는 ‘있다! 없다!’ 라는 대답 자체가 필요 없어서…
그냥 침묵을 지켰을 뿐이다.
그 사람도 나의 침묵의 의미를 이해했고,
그래서 그 사람은 앞으로도 유신론이네, 무신론이네 하는 토론에
전혀 끼어들지 않으면서,
순수한 영적인 심신이 더욱 더 깊어지게 될 것이다.”
“… ???”

그리고 나서,
석가모니는 다음과 같은 말을 덧 붙였는데…
이 말이야 말로, 더 할 수 없이, 깊은 의미가 담겨 있으니…

“아난다야! 그대는 왜? 나의 대답에 말려 들어서 고생을 하고 있느냐?
내가 그 사람들에게 해 준 대답은, 사실상,
너에게 해준 나의 대답이 아니었는데…
나는 수 많은 사람들의 질문을 받게 되어 있고,
그 사람들에게 알맞는 대답을 해 주는 것인데…
왜? 자네가 일일이 그 대답에 끼어 들어야 한단 말인가?
지금 당장 ‘자네의 질문’이 있으면, 나에게 해 보아라!
내가 직접 ‘자네’에게 대답을 해 주겠으니…”
“… ???”

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묻고(Someone asks),
다른 사람이 대답하는 데 (Someone else answers)에,
필요없이 끼어들고 있을까?

아무 상관도 없는 그대가 끼어 들어야 할 까닭이 무엇인가?
(Why are you unnecessarily worried about that?)

사실상, 모든 문제 그 자체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당면 문제에 있어서 보다 중요한 것은 오로지 질문자일 뿐이다.
(The question is irrelevant, but the questioner is relevant.)

따라서…
단 한가지의 대답만을 ‘正答(정답)’이라고 定해 놓고서…
오로지 그 것만이 ‘옳은 것’이라고…
모든 인류들에게 강요하는 행위는 영원히 저주 받아야 마땅하다!

자! 이제야 내 말을 어느 정도나마 알아 들었는가?

~ Sang Bong Lee, Ph. D.
Dr. Lee’s Closing Arguments,
Dr. Lee’s Lessons: Discovering Your Nature,
Dr. Lee’s Iconoclasm.
* All rights reserved and copyrighted. (무단복제 사용을 금함)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