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 시(詩)와 시어(詩語)

(한국식)
시(詩)와 시어(詩語)

~ 이상봉 / 철학박사

내가, 고등학교 다닐 때의 국어 교과서에는
“나의 침실로” 라는 시(詩)가 실려 있었다.

(아주 좋은 詩다.
그때, 하도 많이 읽어, 외어지게 되어서 그런지…
거의 6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어느 정도 머릿속에 남아있다.
하긴, 교과서에 실려 있던 것들이야, 그것 外의 것들도,
대부분, 어느 정도 남아 있기는 하지만.)

그 詩에는, 제목을 비릇하여… 모두, 6번이나,
침실(寢室)이라는 단어가 나오고 있다!

자아! 그렇다면…
그 詩를 쓴 시인(詩人)의 집에는
과연, 그 침실(寢室)이라는 것이 있었을까?

그렇다!
詩의 제목이 “나의 침실로” 라고 되어 있기는 하지만…
과연, 그에게 ‘나의 침실(寢室)’이라는 것이 있었을까?
그에게, 과연, 寢室이라고 부를 만한 방(房)이 있었을까?

나도, 그 詩를 쓴 그 사람의 집을 직접 가 보았는데…
그 집에, 침실(寢室)이라는 것은 없었다!
그렇다! 제 아무리 둘러 보고 살펴보아도
그 집에 침실이라는 것은 없었다.
아에 있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그 詩에 나오는 침실(寢室)이라는 말은,
그 당시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일개(一介) 詩語일 뿐이었고…
단지 詩的인 표현에 지나지 않는 허망한 말이었을 뿐이다!

이상화 고택 1-1

이상화 고택 1-2

침실(寢室)이라는 말,
그 말은, 일단, 서양式 언어로…
Living Room, Family Room, Dining Room, Bed room,
Guest Room, Bathroom, Kitchen 등등… 으로,
집의 구조가 용도별(用途別)로 지어지고,
그렇게 구분이 되어 있을 때에나 쓸수 있는 말이지…

한국式의 집에서…
그것도, 그나마, 좀 있는 집에서나 볼 수 있는
안방, 건넌방, 건넛방, 사랑방, 문간방 등등… 으로
되어 있을 때에 조차도…
그곳에 寢室이라는 것은 없었고…
또한 그 寢室이라는 단어 자체도 아에 없었다.
그렇지 않은가? 내 말이 틀렸는가?

[참고:
건넌방= 안방에서 대청마루를 건너 맞은 편에 있는 방,
건넛방= 어떤 방을 기준으로 건너편에 있는 방.
즉 대청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구분이 되는 것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 말이다.
경기도에서는 ‘거른방’이라는 말도 많이 사용하였지만.]

혹자(或者)는,
“방에서 잠을 자면, 그방이 寢室이 되는 것이 아니냐?” 라고,
할런지 모르겠으나…
그것은, 그야말로, 억지로 갖다 붙이는 아주 궁색한 변명일 뿐이다.
[그런 식의 말은,
“안방에 요강이 있으면 그곳이 바로 변소다!” 라는 소리와
똑같은 꼴이 되어 버리는 것이란다.]

그리고, 혹자(或者)는
“옛날에도 ‘침소(寢所)’라는 말은 있지 않았느냐?” 라고,
또 다시 항변 할런지 모르겠으나…
寢所라는 것은 “침소에 들다” 라는 말에서 처럼,
“자는 곳”이라는 말로, 이부자리 정도에 해당되는 말일 뿐이다.
그래서,
寢室이라는 말과 대치가 되거나 비교가 될수 없는 말이란다!

침실(寢室)이라는 말- 특히 ‘나의 침실’이라는 말- 속에는…
‘내가 잠을 자는 곳’이라는 의미 外에
“나만의 성(城 Castle), 나만의 공간(Space), 나의 안식처,
나의 비밀이 보장되는 곳” 이라는,
여러가지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아무튼, 이미,
우리는, 모두 다, 엄연히 알고 있지 않은가?
“한국式의 집에서는 방에서 밥도 먹고, 잠도 자고…
하다못해 그곳에 요강도 있었다.”는 것을.
그리고,
그런 식으로… 그렇게… 살아왔다!는 엄연한 사실을.

그런데,
그 무슨 억지 변명의 소리를 늘어 놓으려고…
애를 쓰려고 하고 있는가?

자아! 끝으로, 이 글의 요지(要旨)를,
아주 간단하게나마 설명해 줄 수 없느냐?고, 한다면…
아마도, 다음과 같은 것이 될 것이다!

한국에서의 ‘시(詩), 시어(詩語), 詩的인 표현’ 이라는 것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일컫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현실과는 아주 동떨어진 것들’
‘감상적(感傷的)이고 몽환적(夢幻的)인 표현들”
‘아름다운 단어들만 쭈욱 나열해 놓는 式의 표현들-
즉 소녀 취향적인 나약한 표현들’ 이 될 것이다!

“나의 침실로” 라는 시(詩)가
바로, 거기에 해당되는 詩라는 말은 아니고…
(그러니, 오해는 하지 마시라!)

내가 볼 때에…
한국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詩作品이라는 것들은,
대부분 다, 위에서 언급된 그런 류(類)의 내용을
지니고 있는 것들이라!는 소리다.

그렇다!
믿거나 말거나…
한국에서는, 주로,
그런 류(類)의 詩가 애송시(愛誦詩)로 각광을 받고 있다!

———————————————–

나의 침실로

– 이상화

마돈나, 지금은 밤도 모든 목거지에 다니노라, 피곤하여 돌아가련도다.
아, 너도 먼동이 트기 전으로 수밀도(水蜜桃)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 오너라.

마돈나, 오려무나.
네 집에서 눈으로 유전(遺傳)하던 진주는 다 두고 몸만 오너라.
빨리 가자. 우리는 밝음이 오면 어딘지 모르게 숨는 두 별이어라.

마돈나, 구석지고도 어둔 마음의 거리에서 나는 두려워 떨며 기다리노라.
아, 어느덧 첫닭이 울고 – 뭇 개가 짖도다. 나의 아씨여 너도 듣느냐?

마돈나, 지난 밤이 새도록 내 손수 닦아 둔 침실(寢室)로 가자 침실로!
낡은 달은 빠지려는데 내 귀가 듣는 발자국 – 오 너의 것이냐?

마돈나, 짧은 심지를 더우잡고 눈물도 없이 하소연하는 내 마음의 촛불을 봐라.
양털같은 바람결에도 질식이 되어 얕푸른 연기로 꺼지려는도다.

마돈나, 오너라. 가자. 앞산 그리매가 도깨비처럼 발도 없이 가까이 오도다.
아, 행여나 누가 볼런지 – 가슴이 뛰누나.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마돈나, 날이 새련다. 빨리 오려무나. 사원(寺院)의 쇠북이 우리를 비웃기 전에
네 손이 내 목을 안아라. 우리도 이 밤과 같이 오랜 나라로 가고 말자.

마돈나,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 다리 건너 있는 내 침실, 열 이도 없느니
아, 바람이 불도다. 그와 같이 가볍게 오려무나. 나의 아씨여, 네가 오느냐?

마돈나, 가엾어라. 나는 미치고 말았는가. 없는 소리를 내 귀가 들음은 –
내 몸에 피란 피 – 가슴의 샘이 말라 버린 듯 마음과 몸이 타려는도다.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 갈 테면 우리가 가자. 끄을려 가지 말고
너는 내 말을 믿는 마리아 –
내 침실이 부활(復活)의 동굴(洞窟)임을 네야 알련만….

마돈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얽는 꿈,
사람이 안고 궁구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느니.
아, 어린애 가슴처럼 세월 모르는 나의 침실로 가자.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마돈나,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도다.
아, 안개가 사라지기 전으로 네가 와야지.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 (1923) –

작자 이상화 (李相和, 1901∼1943):
이상화(李相和)는 일제강점기의 시인, 문학평론가, 독립운동가, 교육자.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호는 상화(尙火, 想華), 무량(無量), 백아(白啞)다.
대구 출생, 경성중앙학교와 일본 도쿄외국어학교 불어과를 졸업하였다.
주요작품으로는 “말세의 희탄, 가을의 풍경, 나의 침실로, 단조(單調),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중의 사망, 이별, 가장 비통한 기원” 등이 있다.

이상화는 1901년 5월 22일, 경상북도 대구부 서문로 12번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시우(李時雨)이며, 어머니는 김신자(金愼子)로 김해 김씨다.
4형제 중 둘째다. 형 이상정은 독립 운동가이며,
셋째 이상백은 한국 최초의 IOC 위원이자 한국 사회학계의 선구자이고
넷째 이상오는 정통 수렵가이자 바둑 유단자다.
그의 집안은 대구의 명문가로 아버지 이시우는 둘째 아들이었다.

[그의 큰아버지 이일우(李一雨)의 자손들은 대구의 명문가로 성장하였다.
할아버지 이동진은 자신의 재산을 털어 대구에
신식 학교인 우현서루를 열어 학생들에게 한학을 가르쳤고,
남녀, 신분을 가리지 않고 학생들을 받아들였다.
나중에는 교사를 초빙, 수학, 역사, 국어, 영어, 일본어 등 신식 학문을 가르쳤다.
할아버지 이동진의 뒤를 이어 큰아버지 이일우가 우현학교의 일을 맡아보았다.
큰아버지 이일우의 자손들은 대구의 명문가로 성장했는데…
2000년대 초반을 기준으로,
이일우의 자손들은 대학 학장 3명, 교수 10명, 의사 30명, 장군 2명,
언론 • 출판분야 11명을 배출하였다.
이상화는 다섯 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14세까지
큰아버지 이일우에 의해 양육되었으며,
큰아버지 이일우의 훈도를 받으며
우현학교(교남학교로 발전했다가 현재 대구 대륜중학교,
대륜고등학교가 되었다.)에서 수학하였다.]

~ Sang Bong Lee, Ph. D,
Dr. Lee’s Closing Arguments,
Dr. Lee’s Lessons: Discovering Your Nature,
Dr. Lee’s Iconoclasm (sblee707@hotmail.com)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