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장관과 신언서판(身言書判)
한동훈 장관과 신언서판(身言書判)
.
與 ‘한동훈 추대’ 결론 못냈다… 대세론 속 반대도 만만찮아
.
등신들!! 발가벗고 줘도 못 처먹는 국힘당 등신들.
지금 친윤이냐 아니냐 윤 대통령 아바타냐 아니냐가 중요 하냐?
.
우리 말 중에 재미나는 표현이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 하나‘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라는 표현이 있다. 말인즉, 내용이 좋으면 겉모양도 반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또는 겉모양새를 잘 꾸미는 것도 필요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화법이다. 이런 표현도 있다. ‘뚝배기 보다 장맛’이란, 겉모양은 별 볼일 없으나 내용이 알차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일 게다.
그런데….나의 산골일기에서 가끔 등장하는 어떤 이웃은 자신의 요리 솜씨를 매번 끔찍할 정도로 망치고 있다. 이 문제로 지금 나와 갈등(다음 기회에 별도로 썰을 풀겠지만….)을 빚고 있기도 하고.
이런저런 음식을 만들어‘얼른 건너오십사’전화가 온다. 마지못해 가보면 늘 1회용 그릇과 종이컵 그런 식이다. 딴에는 설거지 꺼리를 줄이겠다는 심산이겠지만, 아무리 가까운 이웃이라고 하지만 초청한 손님 앞에 마치 길거리 호떡가게에서 호떡 담아주는 종이컵 내밀듯 한다면 그 음식(요리)이 맛나기 전 필리핀 모처의 관광지 지명처럼 기분‘팍상한’다. 결국 장맛은 어떨는지 모르지만 뚝배기 때문에 기분 잡치는 것이다. 얻어 먹으러가 간 것도 아닌데….따라서 장맛도 중요하지만 뚝배기가 멋지면 맛없는 장맛도 살아난다. 아름다운 미인이 어떤 실수를 하면 무엇이든 용서가 되듯 말이다. 한동훈 장관은 맛 나는 음식도 되지만 아름다운 그릇도 되기에 이 썰을 푸는 것이다.
신언서판(身言書判),
중국 당나라 때의 인재 전형 방식에서 유래한 말이다.해당 인사의 외면세계와 내면세계를 평가하는 판단기준이 되는 것이다. 신체, 말, 글, 판단력의 네 가지 조건을 의미하며, 이를 만족하는 인물은 능력이 충족된다고 생각했다. 현대 사회에서도 적합한 인재를 찾기 위해 서류 심사와 면접을 진행하는데, 이는 신언서판의 원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신(身)이란,
사람의 풍채와 용모를 뜻하는 말이다. 이는 사람을 처음 대했을 때 첫째 평가기준이 되는 것으로, 아무리 신분이 높고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라도 첫눈에 풍채와 용모가 뛰어나지 못했을 경우,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게 되기 쉽다. 한동훈은 어디로 보나 첫 번째 조건을 충족시키고 남을 신(身)의 소유자다.
둘째 언(言)이란,
사람의 언변을 이르는 말이다. 이 역시 사람을 처음 대했을 때 아무리 뜻이 깊고 아는 것이 많은 사람이라도 말에 조리가 없고, 말이 분명하지 못했을 경우,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게 되기 쉽다. 그래서 언은 변정(辯正)이 요구되었다. 변정이란 즉 분별력 있는 바른 언어를 말하는 것이다. 160~180 마리의 개를 혼자서 능수능란하게 다룰 수 있는 능변가(能辯家)다. 가끔은 주둥아리만 찬란한 놈(년)들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런 아류는 능변가가 아니라 유세(遊說)라고 한다. 찢명이 색돌이 아류다.
셋째 서(書)는,
글씨(필적)를 가리키는 말이다. 예로부터 글씨는 그 사람의 됨됨이를 말해 주는 것이라 하여 매우 중요시하였다. 그래서 인물을 평가하는데, 글씨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지 못한 사람은 그만큼 평가도 받지 못한 데서 서에서는 준미(遵美)가 요구되었다. 솔직히 나는 굉장한 악필(惡筆)이다. 그러나 글을 쓸 때 정성은 다 한다. 이곳 페친 중에 자신의 필법(筆法)을 완전히 구성한 분이 계시지만, 한동훈 장관이 이런저런 필적을 남길 때보면 그야말로 일필휘지(一筆揮之)로 그침이 없다. 한마디로 명필이다. 색돌이 놈이 주뒝이는 까졌지만 남들 다하는 출판기념회를 왜 안 할까? 그 놈 글씨 그건 진짜 글씨가 아니라 지렁이가 제 멋대로 기어가는 초등1년생만도 못한 꼬라지다. 미국 유학했다고? 초등생 때부터는 아닐 것 아닌가? 모국어인 한글을 우습게 안 탓이다. 자국의 글을 우습게 보는 인간들이 모국을 그리고 그 국민을 사랑할 턱이 없다. 그런 놈은 첨부터 뺀찌를 놔야 한다.
넷째 판(判)이란,
사람의 문리(文理), 곧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아는 판단력을 뜻하는 말이다. 사람이 아무리 체모(體貌)가 뛰어나고, 말을 잘하고, 글씨에 능해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아는 능력이 없으면, 그 인물됨이 출중할 수 없다 하여 문리의 우장(優長)할 것이 요구되었다. 좀 어려운 대목이다. 쉽게 한마디로 표현하면 옳고 그름, 좋고 나쁨, 언행의 구분 즉 말로할 것인지 행동으로 옮길 것인지..등등 판단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이게 옳은 건지 저게 그른 것인지 잘라야 할 것인지 말아야 할 것인지… 물에 물탄 듯 술에 술 탄 듯 이것도 저것도 아니, 그러다 색돌이에게 찾아가 자신의 정치역정을 단 30분 만에 헌신짝 버리듯 한 무능의 대명사로 전락한 맹물 김기현 같은 인간에게 꼭 필요한 것. 그것을 우리의 한동훈 장관은 자연적으로 배태(胚胎)하고 있는 것이다.
춘향전에 나오는 금준미주(金樽美酒), 옥반가효(玉盤佳肴)가 괜히 생겨난 얘기가 아니다. 금과 옥으로 만든 잔과 쟁반에 담겨진 술과 음식은 보기만 좋은 게 아니라 식욕을 돋우고 맛도 날 게 분명하다. 이런 것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금상첨화(錦上添花)라고 하는 것이다. 그게 한동훈 장관이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