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글 목록: 2014년 8월월

여름 휴가 쇼핑기2 런던편

스코틀랜드와 런던에서는 쇼핑하는 마음가짐이 약간 다르다. 스코틀랜드에서 실용성이 별로 없어서 기념품에 가까울지라도 약간 독특한 물건들에 대한 기대를 했다면, 아무래도 런던에서는 더 쓸모있는 물건을 찾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지난번 글에 썼던 지팡이를 비롯해서 중절모, 가죽띠에 갈아 쓰는 면도칼 같은 물건들에 관심이 안 가는 것은 아니어서, 이번에 런던에 갔을 때 매장을 옮긴 지 얼마 안 됐는지 페인트 냄새와 새집증후군 냄새가 가득한 Bates에 들어가 모자들을 잠깐 둘러봤는데, 실용성은 그렇다치고 265파운드라는 놀라운 가격 때문에 바로 내려놓고 나왔다. 모자 하나에 50만원! 이 가격이 터무니없는 것이라고 단언할 자신은 없지만 내가 지출할 수 없는 금액인 건 맞다.)

먼저 들른 곳은 리버티 백화점. 옛모습을 잘 살린 건물이 듣던대로 인상적이었고, 자체 제작하는 패턴이 인쇄된 천이나 문구류가 좋아보였다. 옷이나 액세서리의 경우엔, 대중적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물건들이 많아서(남자 구두를 예로 들면 처치스나 크로켓앤존스 같은 곳들) 이것저것 골라 담는 재미를 느끼기는 조금 힘들듯 보였다.

그래도 그냥 나가기는 좀 아쉬워서 산 것이 지하 이발소에서 팔고 있던 KENT의 머리빗. Royal Warrant를 가진 영국의 켄트라 해서 머리가 갑자기 잘 빗어진다거나 헤어스타일이 급거 멋있어진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다만 작게 접을 수 있고, 이빨이 달려 있는 부분이 짧아서 머리의 일부분만 빗질하기 편한 점이 좋다.

PINK의 니트 넥타이와 KENT의 머리빗.

PINK의 니트 넥타이와 KENT의 머리빗.

런던에서 쇼핑하기 좋은 곳으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소는 Jermyn Street(저민? 제르민?)다. 남성복으로 더 유명한 곳은 Savile Row일지도 모르지만(숀 코너리가 제1대 제임스본드 시절 옷을 맞춰 입었다는 Anthony Sinclair, 넬슨 제독의 옷을 지었다는 Gieves & Hawkes 같은 곳들이 이곳에 있다지!) 며칠 여행하는 짧은 시간에 짧은 영어로 양복을 맞춰 입는다는 것은 아무래도 선뜻 엄두가 나지 않는 일이다. 그보다는 좀 덜 부담스럽고, 둘러보다가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으면 하나쯤 살 수도 있는 곳이 좋다.

사실 여기도 비싼 물건은 매우 비싸기 때문에 맘에 든다고 이것저것 다 살 수는 없다. 아무래도 단가가 낮은 셔츠 같은 물건에 손이 더 간다. 비교적 덜 부담스럽고 대중적인 가게 중 하나인 Charles Tyrwhitt에 들어가서 셔츠를 샀다. 1986년 창립해 아직 30년을 못 채운 이 가게는 역사가 200년에 달하는 곳도 많은 이 거리에서 여러 모로 명함내밀기 힘들어 보인다. 언제인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이 가게 온라인 매장에서 뭔가를 산 일이 있는데, 그 뒤로는 가끔씩 바다 건너 한국까지 카탈로그를 보내주고 있다.

셔츠는 세일해서 4벌에 100파운드. 1벌에 5만원이 안 되니 국내 제품들과 비교해도 싼 편이다. 품질도 디자인도, 영국이라 해서 특출날 것은 없는 물건이다. 다만 영국에 와서 셔츠를 살 때 독특하다고 느끼는 것은 치수를 재는 방식이다.

3년 전 출장 때 이곳에 와서 셔츠를 사면서(그때는 T.M.Lewin이었다) 치수재는 법을 보고 놀랐다. 목둘레와 화장(깃고대 중심에서 소매 끝까지의 길이.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올라 있는 이 말은 정체불명의 단어는 아닌 것 같은데, ‘화’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는 것을 보면 아마도 일본을 통해 들어왔을 현장 용어가 그대로 굳어진 것이 아닌가 싶다)을 재서 치수를 찾아 준다. 매장 벽면에도 이 치수에 따라 셔츠를 진열해 놨다. (3년전에 쟀던 치수가 ’14인치 반/33인치 반’이었는데 이번에는 ’15인치/34인치’로 늘어서 기분이 썩 좋지않았다.)

한국에서는 셔츠 사이즈를 보통 L/M/S로 표시하거나, 100/95/90과 같은 수치로 표현한다. 이렇게 하면 서너 종류의 치수만 갖추면 된다. 반면 목둘레와 화장을 조합하는 방식은 사이즈가 훨씬 세분화된다. 이를테면 Charles Tyrwhitt의 홈페이지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목둘레는 10종류, 화장은 7종류다. 이를 조합한 사이즈는 34종류가 나온다. (목은 매우 굵은데 팔은 매우 짧은 경우처럼 일반적이지 않은 사이즈까지 다 갖춰놓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7X10 해서 70가지 사이즈가 나오지는 않는다.)

한국보다 영국에서 셔츠 사이즈의 선택지가 훨씬 다양하다는 이야기인데, 문제는 한국에서도 전에는 이런 방식으로 사이즈를 분류했었다는 점이다. 어머니가 고르시던 아버지 와이셔츠 사이즈가 이렇게 돼 있었던 기억이 있다. 초등학교 때였으니 아마 1990년대 초중반쯤이었을 것이다. 좀 심하게 말하면, 셔츠 사이즈를 분류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그때에 비해 퇴보했다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이유를 설명한 글을 인터넷에서 본 적이 있다. IMF라는 사건과 한국 남자들의 특징이 맞물린 결과라는 얘기였다. 한국에서도 전에는 화장과 목둘레로 셔츠 사이즈를 구분했는데, 이렇게 하면 더 다양한 제품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의류회사의 재고비 부담이 늘어난다. IMF 시절 의류회사들은 재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이즈 구분을 단순화하게 되는데, 이것은 말하자면 기업의 편의를 위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한 셈이지만 복잡한 것을 싫어하는 한국 남자들 사이에서 의외로 큰 호응을 얻어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다는 얘기였다.

런던에서 셔츠를 고르면서 또 한 가지 생각한 것은 ‘셔츠 안에 속옷을 입어도 되느냐’의 문제다. 이제는 셔츠 안에 속옷을 입지 않는 사람들도 꽤 늘었고, ‘셔츠 안에 속옷을 입은 사람은 구속시켰으면 좋겠다’는 식의 약간 오글거리는 표현도 좀처럼 등장하지 않는 것 같지만, 이것은 아마도 영원한 떡밥이 아닐까 싶다.

7월 말은 런던에서도 여름이고 가장 더운 계절일 텐데, 덥긴 하지만 긴소매 셔츠를 입고 그 위에 재킷을 입는 차림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느껴졌다(야외에 오래 있거나 활동을 많이 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우리나라와는 날씨, 또는 기후가 확실히 다른 만큼 셔츠 안에 속옷을 입는다거나 여름에 반팔셔츠를 입는다고 해서 ‘복식의 기본을 모르는 짓’이라고 해버리는건 좀 너무하다는 생각이다.

셔츠 안에 속옷을 입으면 안된다고 할 때 으레 따라나오는 이야기 중 하나가 ‘셔츠는 속옷의 개념이기 때문에 속옷을 안에 입으면 속옷을 두 벌 입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인데, 본인이 그게 편하다는데 속옷을 두 벌 입는다고 뭐라할 것까지 있을까 싶다. 다만 속옷을 두 벌 입는 것이 더 편해서 그렇게 하긴 하지만, 속옷을 두 벌 입었다는 것을 만천하에 드러내보이고 싶지는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 셔츠(특히 흰 셔츠) 안에 입어도 겉으로 잘 티가 나지 않는 속옷 제품류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은 있다.

Jermyn Street는 3년 전에 영화 시사 때문에 런던에 출장을 왔다가, 주말매거진용 기사까지 취재해 가야 했던 사정 때문에 지면으로도 소개했던 적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인지 이번 여행이 끝나갈 때쯤 이곳에 다시 와서 길 이름을 적은 표지판을 보니 뭔가 약간의 감회가 있었다.

여름휴가 쇼핑기1 스코틀랜드편

아내와 함께 런던/에딘버러로 일주일간 여름휴가를 다녀왔다. 일정은 런던 3박 + 에딘버러 3박 + 히드로에서 비행기를 타고 와야 하므로 다시 런던 1박.

신혼여행 때는 선물 구입 외에는 쇼핑을 하지 않기로 했었다. (미리 계획을 세워서 가장 중요한 쇼핑 승부처인 하와이 와이켈레 아울렛을 2시간반만에 신속정확하게 클리어했는데도, 여기저기 다니는 동안 친구나 회사 동료들에게 줄 작은 선물까지 하나둘씩 챙기다 보니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쇼핑에 쓰게 되더라) 아내와 함께 간 해외 여행 중에서 우리가 각자 쓸 물건들을 쇼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던 셈이다.

그 결과 아내와 나는 쇼핑의 성향이 조금 다르다는 점을 알게되었는데, 아내는 실용적인 아이템을 한국에서보다 싸게 살 수 있을 때 관심을 보이는 쪽이었다. 예를 들면 시즌 마감 세일에 나온 원피스가 한국의 반값밖에 안될 때 지갑을 여는 것이다.

나는 그리 실용적이지 않더라도 한국에서 구할 수 없거나, 구하기 어렵고 조금 독특한 물건에 눈길이 가는 편이다. 해외여행의 특성상 너무 크거나 무겁거나 형태가 독특하면(지팡이나 긴 우산같은 것이 수하물에 들어가지 않을 때 들고 비행기에 탑승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 그래서 런던의 James Smith & Sons 같은 가게들은 왠지 들어가서 구경할 마음이 잘 안 든다) 안되는데, 이 조건에 썩 잘 들어맞는 물건 중 하나가 모자다.

이번 여행을 떠나기 전에도 내심 사오리라 마음먹었던 물건은 스코틀랜드의 전통 모자인 탐오섄터(Tam O`Shanter)였다. 모자 하면 런던의 Bates 같은 상점들도 떠오르긴 하는데, 왠지 런던보다는 스코틀랜드가 주변에 다녀온 사람도 적고 앞으로 다시 올 가능성도 낮은듯해서 좀더 기대가 됐다.

탐오섄터는 스코틀랜드 시인 로버트 번즈(Robert Burns)의 시에 나오는 주인공 이름이라고 하는데, 번즈는 놀랍게도 Auld Lang Syne(작자미상의 traditional melody가 아니라고 한다!)의 작가이기도 한 스코틀랜드의 국민시인이라니, 꽤 적절한 작명이라고 생각된다. 아무튼 나는 이 탐오섄터를 영국 군인들이 쓰고 있는 사진을 6.25전쟁 당시 영국군의 임진강 전투를 다룬 책 ‘마지막 한 발(to the last round)’에서 본것만 같이 기억하고 있었는데, 여행에서 돌아와 책을 다시 찾아보니 사진에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이 탐오섄터를 사오진 않게 되었는데, 자주 다녔던 에딘버러 로얄마일을 중심으로 한 상점가에 이것을 파는 곳이 생각보다 많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가게마다 흔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어쩐지 이곳에서도 그다지 주목받는 물건은 아닌 듯하다는 느낌 때문이었는지, 몇 군데서 본 물건에도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여행을 하는 동안 탐오섄터와 다른 모자라는 것을 알게 되어 하나 사오고픈 생각이 들었던 글렌게리(glengarry)도 사지 못했다. 조악한 물건 몇몇 개 말고는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묵었던 호텔 로비 벽에 장식돼 있던 사진. 이들이 쓰고 있는 모자가 글렌게리다. 접을 수 있도록 가운데 주름이 있고 깃털로 장식한다. 뒤통수에 리본이 있는 점도 특징이다. 둘레에는 보통 주사위(dice)무늬가 들어간다고 한다.

그러나 스코틀랜드는 역시 모직물을 잘 만드는 곳이어서(생각해보면 요 몇년사이 한국에서도 인기인 페어아일 Fair Isle도 스코틀랜드산이다), 쇼핑을 하고 보니 모직으로 만든 물건들을 많이 사오게 되었다. 먼저 해리스트위드. 에딘버러에는 트위드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숍들이 많고, 들어가보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해리스트위드다. 맘에 드는 탐오섄터와 글렌게리를 찾지 못한 아쉬움에 트위드 모자를 하나 샀다. 여행 기간에 생일이 끼어 있어 생일선물로 트위드 가방을 골랐다.

해리스트위드는 옷감의 브랜드로 알고 있었는데, 돌아와서 찾아보니 브랜드와는 약간 다른 개념인 듯하다. 해리스, 루이스 섬을 중심으로 하는 스코틀랜드 서북부 아우터 헤브리디스 제도의 각 농가에서 손으로 짠 트위드가 기준(해리스트위드라고 불리기 위해 충족시켜야 할 기준을 명문화한 법 Harris Tweed Act가 있다)을 통과하면 해리스트위드의 상징 Orb 마크를 주는 일종의 인증제에 더 가까운 모양이다.

Harris Tweed Act가 규정하는 해리스트위드의 충족 요건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Handwoven by the islanders at their homes in the Outer Hebrides, finished in the Outer Hebrides, and made from pure virgin wool dyed and spun in the Outer Hebrides.” 

Orb 마크는 영국에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등록상표 중에서 가장 오래됐다고 한다. 이 내용이 영국 정부에서 발행하는 지적재산권 관련 온라인 뉴스레터 ‘IP Insight’ 2012년 10월호에 실려 있는 모양인데, 인터넷에서 관련 링크는 찾을 수 있지만 모두 깨져 있다.

두껍고 뻣뻣하고 까슬까슬한 해리스트위드는 영국에서도 고리타분하고 촌스러운 옷감으로 잊혀져 가던 도중, 드라마에 등장하고 난 뒤 인기가 폭발했다는 잡지(GEEK)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얼마전 나온 신간 Vintage Menswear(런던의 빈티지 남성복 아카이브 매장의 옷들을 화보로 엮은 책)에도 트위드 재킷이 나온다. 여기서도 “누군가 전원 생활을 위해 맞췄을 옷”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 옷은 전쟁이 나는 바람에 주인이 찾아가지 못했다고 한다. 이런 일은 기성복이 대중화하기 전에는 종종 일어났던 모양으로, 이태의 수기 ‘남부군’에도 양복점에 가서 맞춰놓고 선불까지 한 옷을 미군이 들어오는 바람에 영영 못 찾고 마는 에피소드가 나온다.

트위드를 알리고 대중화하자는 취지의 ‘트위드 런(tweed run)’이라는 행사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트위드 옷을 입고 자전거를 타는 행사인데(자전거도 MTB나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최신형을 타진 않겠지!), 취지와 방법이 비슷한 ‘에딘버러 트위드 라이드’라는 행사도 있는 모양이다. 옷감을 주제로 한 이런 종류의 이벤트로는 seersucker day가 생각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한 적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으나 왠지 아직 자리를 잡은 느낌은 아니다.

그리고 에딘버러 성 기념품점에서 clan tartan이라는 상표가 붙은 울 넥타이를 샀다. 라벨에는 그 무늬를 쓰는 클랜의 이름도 적혀있었던 것 같은데 잊어버렸다. 스코틀랜드 하이랜드의 각 clan들은 저마다 고유의 tartan 무늬를 가지고 있다는 왠지 모를 믿음이 있는데,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라고 한다. 에딘버러에서 출발하는 하루짜리 투어의 가이드였던 Dave도 그 얘길 했는데, 영어가 짧아 모두 알아듣진 못했지만, clan마다 반드시 고유의 weaver가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하나의 weaver가 커버하는 지역에서는 무늬가 같았다는 줄거리였던 것 같다.

그리고 Barbour의 왁스. 에딘버러에는 바버를 들여놓은 매장도 곳곳에 있는데 일단 제품 종류가 한국보다 훨씬 다양하다. 한국에서도 구할 수 있는 제품 가격의 경우, 정확히 비교해보진 않았지만 체감상으로는 International 재킷류는 한국과 비슷하거나 그쪽이 약간 싸고, Beaufort 종류는 꽤 차이가 나지 않나 싶었다. 아무튼, 바버 매장에서 이 왁스를 만지작거리고 있는 나를 보고 아내가 “그냥 사”라고 하는 바람에, 드라이한 왁스재킷은 죽이되든 밥이되든 자가 리왁싱에 도전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났다.

 쓰다보니 글이 자꾸만 길어져서, 런던에서의 쇼핑후기는 다음 글로 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