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movie_image.jpg

스티븐 달드리 감독.

Extremely_Loud__Incredibly_Close_2012_DVDSCREENER_XViD_AC3-ART3MiS_avi_00192379.jpg

깨어질 듯한 유리알 같은 푸른 눈을 가진 소년 오스카.

탬버린을 두드리고 걸어야 하고, 지하철을 타지 못하고,

친구들에게 왕따 당하는 아이. 건너 편에 사는 친할머니와 무전기로

서로 연락하는 사이 이기도 한 오스카. 죽은 이들의 세상은 지하

100층까지 엘리베이터를 만들어 지하세계를 만들면 어떨까

상상하고, 아빠와 함께 맨하튼 제 6자치구를 찾아나서던 소년.

약간은 특별하고 좀 자폐적이고 의외의 천재성을 지닌 오스카.

어느 날 그토록 사랑하는 아빠는 비행기가 쌍둥이 빌딩에 부딪혀

회의 참석차 갔던 빌딩 안에 갇히게 되고 결국 화재로 목숨을 잃게 된다.

그 후, 오스카는 마음을 안정시키지 못한다.

부모부재가 주는 소년의 마음을 보여주는 영화다.

movie_imageㅜㅛ.jpg

시간이 흐른 후 아빠의 기억을 찾으려 아빠 옷장을 뒤지다

파란 꽃병을 깨뜨리게 되고 그 속 봉투에 든 작은 열쇠 하나를 발견하게 된다.

봉투에는 단지Black이라는글자만 적혀있다.

그때부터 전화부에서 찾은 472개의 블랙이라는 이름을 찾아나서고

그 중 216 군데 주소를 알게 된다.

지나가다가 꽂아 본 수많은 열쇠구멍은 148개..아무 것도 맞지않았다.

열쇠는어떠한사건과도 오스카와 관계되는 일에 연관되어있지 않지만

영화 전체 흐름에 있어 중요한 모티브이다.

movie_imageㄱㄷ.jpg

원작을 읽으면 아마 할아버지 시대부터 내려오는

사정이 깊이 관여해 있을 법한 구성이다.

말 못하는 아니 하지않는 할아버지가 할머니 집에

세들어 산다는 걸 알게 되고 손바닥에yes와 no만을

쓰고 다니며수첩에 한없이 말을 적어 보여주는 할아버지가

자기를 도와 같이 다니면서 구부정한 어깨, 그리고 여러 모션들에서

오스카는 그 분이 독일인이었던 자기 할아버지라는 걸 안다.

movie_imageㅠㅎㄹ.jpg

스티븐 달드리를 좋아한다.

그의 영화를 좋아한다.

그래서 기대했고 기대 이상이다.

맑고 투명하고 깊이있는 영화다.

세심하게 봐야 할 영화.

소년의 눈이 상당히 인상적이고 비현실적이다.

ㄴ.jpg

유명 배우 많이 등장한다.

감독의 재량 아닐까.

톰 행크스, 산드라 블록 외에 조연급배우들이 상당하다.

막스 본 시도우(할아버지역)

존 굿 맨(도어맨역)

제프리 라이트(블랙역)

비올라 데이비스(에비 블랙역)

8 Comments

  1. Hansa

    2012년 3월 21일 at 1:41 오전

    있던 부모가 없는 세상에 사는 아이…

    음음..

    말씀대로 조연들 면면이 빛나는 영화이군요.

       

  2. 푸나무

    2012년 3월 21일 at 2:25 오전

    이 책 엄청나게 재미 있습니다.
    굉장히 복잡하구요.
    무지 섬세해서
    영화가 재미 있을까,…. 싶은데
    잼있어요?
       

  3. Lisa♡

    2012년 3월 21일 at 6:31 오전

    한사님.

    조연들이 많이 등장하지는 않지만
    감독과의 인연으로 나온 것 같습니다.
    톰 행크스도 정말 조금만 나오지요.   

  4. Lisa♡

    2012년 3월 21일 at 6:32 오전

    푸나무님.

    이 책 리뷰 올렷나요?
    엄청 복잡해서 영화로 어떻게 만들까
    다 고민했다는데 그걸 다 담을 수는
    없겠구요…나름 유명감독이니까 잘 만들었습니다.   

  5. 김진아

    2012년 3월 22일 at 1:11 오전

    부모부재가 낳은…상처를 지닌 아이들..

    그런데..
    우리 나라엔 부모가 있어도 없는거와 같은 상황에 처한 아이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에
    놀랍니다. 영화..궁금해요. 궁금해집니다.   

  6. 나를 찾으며...

    2012년 3월 22일 at 1:20 오전

    이 영화였군요?
    전 무슨 영환가 했네!!^^

    꼭 볼게요..리사님 추천 영환데~ㅎ
    그런데 제목이 넘 철학적이당!~ㅋㅋㅋ
    이 나찾이 이해하기 쉬울런지 몰르겠어요..^^   

  7. Lisa♡

    2012년 3월 22일 at 1:35 오전

    진아님.

    아버지가 늘 자상하고 같이 잘 놀아주는
    세상의 전부인데 911로 잃고 맙니다.
    거기다 마지막 전화 목소리가 떠나질 않지요.

    이 아인 세상의 반을 잃은 거지요.

    부모가 다 있다고 잘 하는 건 아닌데
    이 아빤 특별했거든요.
    그 아빠도 아빠가 없이 컸구요.   

  8. Lisa♡

    2012년 3월 22일 at 1:35 오전

    나찾님.

    영화도 다분히 철학적이라고 해야하나요?
    형이상학적이라고 해야하나요?
    잘 보셔야 해요.
    워낙 광범위적인 이야기를 줄여서 만든 영화거든요.   

Leave a Reply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