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즈
제시 버튼 지음, 이나경 옮김 / 비채 / 2017년 9월
예술가들에게 자신들의 작품을 통해 대중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소재의 대상들로서 자신의 뮤즈들의 역할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로댕과 카미유의 관계, 클림트, 에곤 쉴레, 그 밖의 문학가들에게도 뮤즈들의 역할은 그들의 원천적인 영감을 불어넣어 준다는 점에서 일반인들의 눈과 귀를 풍요롭게 만들어 준다.
두 번째로 만나는 저자의 작품은 이전의 작품에서 보이는 주인고 여성이 시대의 흐름에 맞으면서도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는 의지를 그렸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이번 작품에서 만나는 분위기 또한 그렇게 다르게 보이진 않는다.
아마도 저자의 생생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여성’이라는 이름 앞에 동등한 기회를 두고서 불리했던 기억들,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면서 말하고 싶었던 부분들을 통해 독자들에게 요즘 많이 출간되는 ‘페미니즘’의 한 갈래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 작품은 예술과 여성의 능력, 시대가 주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나가는지에 대한 관점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이란 점에서 인상적이다.
두 시대의 공간과 흐름을 ‘그림’이란 소재를 두고 펼치는 이야기의 구성은 1936년 에스파냐에 잠시 휴양처럼 오게 된 올리브란 여성과 1967년 트리니나드 토바고 출신의 흑인 여성인 오델을 내세우며 연관성을 부여한다.
영국에 온 지 5년 되는 오델은 스켈턴 미술관에 타이피스트 자리를 얻으면서 안정적인 직업을 갖게 된다.
어느 날 친구 결혼식에 자신이 쓴 축사를 읽으면서 그녀가 쓴 글에 반해 접근한 청년 로리 스콧이란 백인 청년은 자신의 어머니가 갖고 있던 그림 한 점을 오델에게 보여준다.
<루피나와 사자>란 신화를 모티프로 한 그림으로 이 작품은 그동안 유명한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표현으로 나온 적은 있지만 요절한 천재 작가 이삭 로블레스의 미발표 유작으로 알게 된 이 작품에 대한 관심은 미술관장인 로드에 의해 본격적으로 전시 계획을 하게 만든다.
자신의 어머니가 왜 이 그림을 소장하고 있었는지, 오델을 채용하고 그녀가 쓴 글을 런던 리뷰에 보냄으로써 그녀의 능력을 알리게 된 마저리 퀵은 이 그림이 이삭이 그린 것이 아님을 어떻게 알게 된 것일까? 에 대한 궁금증은 각기다른 주인공들의 삶을 통해 보인다.
이야기의 흐름은 오델이 퀵의 실질적인 신분의 존재와 그녀가 말하지 않는 비밀들은 무엇인지, 이 그림과 연관된 그 어떤 숨겨진 사실들은 무엇인지를 알아가는 과정과 그림을 실제적으로 그린 사람은 이삭이 아닌 올리브란 사실을 깨달아가는 과정들이 교차되면서 독자들에게 추리를 하게 만든다.
지금도 그렇지만 보통 뮤즈 하면 여성들을 떠올린다.
편파적인 시각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고정된 이미지의 탈피를 이 책을 통해 보인 저자의 의도는 그런 점을 의식해 또 다른 뮤즈의 탄생을 알리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그동안 독자들이나 일반인들의 생각을 바꾸게 했다는 생각이 든다.
1930년대의 올리브는 미술 화상인 아버지로부터 능력을 인정받지 못한 여성이다.
당시의 분위기상 같은 미술 작품을 두고서 볼 때라도 여성과 남성이 그린 작품을 비교할 때는 아무리 뛰어난 작품을 그린 여성이라도 그 능력을 인정받지 못했던 시대였고, 전시 조자도 꿈꿀 수없었던 분위기 탓에 올리브는 자신이 그린 그림과 이삭이 그린 그림을 바꿔치기한 테레사에 의해 숨겨진 화가로서의 능력에 만족한다.
여기엔 자신이 사랑한다고 믿는 이삭이 있었기 때문이고 이삭의 이름을 빌려 자신의 그림이 세상에 나오게 된 그 사실 자체만으로도 만족을 했던 여인이자 욕망과 자신의 재능을 모두 이루어내려 했던 청순한 여인이었다.
에스파냐의 내전과 세계대전으로 인한 피치 못할 결과를 초래한 과정들을 통해 작품의 유한성은 유지됐고, 오델 또한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알아챈 퀵이란 존재가 있었기에 세상에 자신의 작품을 내놓을 수 있었다.
두 사람의 조합과 한 사람의 능력을 제대로 알아보고 그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이뤄주게 한 또 다른 사람들의 결합은 1936년과 1967년이란 긴 시간의 공간을 넘어 마주 보게 하는 결실에 이르기까지 작품을 읽으면서 진취적인 여성들의 모습을 보게 한다.
올리브는 이삭이 그녀의 뮤즈였고 그런 올리브의 능력을 알아본 테레사는 과정이 어떻든 올리브의 또 다른 뮤즈, 오델의 능력을 알아본 퀵은 오델의 뮤즈였다.
이렇듯 남녀의 구분을 떠나 진정한 능력 하나만 가지고 인정해주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없었던 당시의 시대적인 흐름 속에 두 여성들이 느꼈던 한계들은 우회해서 세상에 드러내 보인 올리브의 경우나 흑인 여성이란 차별을 딛고 자신만의 글을 세상에 내보인 오델이란 모델을 통해 저자가 말하고자 했던 ‘뮤즈’의 개념을 바꾸어 놓게 한 작품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전작인 ‘미니어처 리스트’에서 보인 시대의 섬세한 고증을 바탕으로 한 여성의 강인함을 내세운 이야기의 전개도 좋았지만 이번 작품에서 보인 ‘예술’이란 장르에서 여성의 역할이 뮤즈에서 그친 것이 아닌 진정한 한 개인의 뛰어난 재능을 차별화된 시각의 고정의 틀을 깨며 그린 작품이란 점에서 즐겁게 읽은 책이다.
우리도 90 년대에 들어서야 직장에서 남녀차별이
없어지기 시작했지요.
그럼에도 그옛날 사임당이나 허난설헌이 인정을
받은걸 보면 그분들이 많이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 합니다.
소설속의 두 여인도 30넨이란 세월의 간격이 있지만
목표는 하나였으리라 여겨집니다.
^^